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정층 마이크로 반응기에서의 폐목재 열화학적 전환 특성

        이인구,이재구,김재호,이시훈,Lee In-Gu,Lee Jae-Goo,Kim Jae-Ho,Lee See-Ho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6 資源 리싸이클링 Vol.15 No.1

        고정층 마이크로반응기를 이용하여 폐목재의 열화학적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 조건들-반응온도, 승온속도, 입도, 수분함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시료는 소나무, 참나무, 아카시아, 은행나무의 폐목재칩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시료의 평균 수분 함량은 $35wt\%$이었으며 다른 바이오매스와 마찬가지로 회분함량은 $0.5wt\%$ 이하로 나타났다. 시료들의 평균 발열량은 4,550kca1/kg이었다. 열화학적 전환에 따라 발생된 생성물분포는 시료종류, 수분함량, 입도와 같이 시료의 물성에 따라 다소 달랐으며 평균적으로 액상 $40wt\%$, 고상 $20wt\%$,그리고 기상 $40wt\%$를 보였다. 생성가스의 조성은 거의 모든 실험변수에 영향을 받았으며, 평균적으로 수소 $40wt\%$, 일산화탄소 $30wt\%$이었으며 메탄은 $10wt\%$ 정도이었다. The effects of operation conditions, such as bed temperature, temperature rising rate, particle size, moisture content and so on, on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waste wood have been determined in a micro fixed bed gasifier. The samples were waste wood-chips such as pine, oak, acacia and ginkgo. The thinning timbers used as reactants in the experiments had $35wt\%$ moisture content, $0.5wt\%$ ash content and 4,550 kcal/kg heating value on a dry basis. A typical product distribution was a $40wt\%$ liquid, $20wt\%$ solid, and $40wt\%$ dry syngas. The syngas concentration was affected by operation conditions and average syngas concentration was $H_2:40vol\%,\;CO:30vol\%,\;CH_4:10vol\%$.

      • KCI등재후보

        어린 쥐의 필로카르핀에 의해 유발된 경련에서 이미프라민의 조절 효과

        이인구(In-Goo Lee),김영훈(Young-Hoon Kim),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2

        Purpose : Norepinephrine has modulatory effects on neuronal excitability and, in some cases, has a proconvulsant effect. Intraperitoneal imipramine treatment increases norepinephrine level, and to a lesser extent, dopamine and serotonin in brain dialysate from rats. We sough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mipramine on pilocarpine-induced seizures in the immature rats. Methods : Right and left cortical and hippocampal electrodes were placed in 10~15 day old Sprague-Dawley rats. The following day 3-hour video EEG recordings were obtained to monitor electrographic seizures and status epilepticu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high dose(200mg/kg:HD) and low dose(75mg/kg:LD) pilocarpine. A first group of rats received HD pilocarpine alone(n=25), or pretreatment with 0.5(n=6), 1(n=6), 2(n=6), 5(n=6), or 10(n=11) mg/kg of imipramine. A second group of rats received LD pilocarpine alone(n=6) or pretreatment with 2mg/kg of imipramine(n=6).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isher exact test. Results : Treatment with IID pilocarpine alone resulted in electrographic seizures in 76%(n=19) and status epilepticus in 44%(n=11). In the HD pilocarpine group, status epilepticus was seen in 100% of rats pretreated 1, 2, and 5mg/kg imipranmine. 90.9% of the rats pretreated with 10mg/kg of imipramine developed seizures and 36.4% developed status epilepticus. Imipramine at 0.5, 1, 2, and 5mg/kg increased the incidence of seizures and status epilepticus in the HD pilocarpine group, but the incid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status epilepticus(p<0.05). The latency for the occurrence of first status epilepticus was 12.3±1.3 min in the HD pilocarpine along group, and it was 21±3.8 min and 25.3±5.7 min in the group pretreated with 5 and 10mg/kg imipramine, respectively(p<0.02). Treatment with LD pilocarpine alone resulted in seizures in 50% and status epilepticus in 16.7. In the LD pilocarpine group with imipramine 2mg/kg pretreatment, 83.3% had seizures and status epilepticus. Imipramine at 2mg/kg increased the incidence of seizures and status epilepticus in the LD pilocarpine group, but the in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status epilepticus(p<0.05). Conclusion : Imipramine exhibits a proconvulsant effect at low doses and an anticonvulsant effect at high does in the pilocarpine seizure model in immature rats. There may be a dose-dependent effect on monoaminergic receptors which results in increased neuronal excitability. 목적 : Horepinephrine(NE)은 신경원의 흥분성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경련조장 효과를 보이는데, 이미프라민을 쥐에게 투여하면 뇌에서 NE가 증가한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를 두고 이미프라민 투여가 생체(in vivo) 상태에서 쥐의 간질양 뇌파 활동을 변화시킬 것이라는 가정하에 사람의 측두엽 발작과 여러면에서 유사한 필로카르핀 경련 모델을 만들어 용량에 따른 이미프라민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뇌정위 교정장치를 이용한 수술을 통해 10-15일 된 Sprague-Dawley계 쥐에게 양측 피질과 해마에 뇌파기록을 위한 전극을 부착시키고, 다음날 30분간의 기선뇌파를 기록한 후 이미프라민이나 생리식염수를 투여한다. 그리고 다시 30분 후에 고용량(200mg/kg:HD) 또는 저용량(75mg/kg:LD) 필로카르핀을 투여하고, 이후에도 2시간동안 경련과 경련지속상태를 기록하기 위하여 영상뇌파기록이 진행되었다. 실험은 두 개의 군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첫 번째 군은 HD 필로카르핀만을 투여한 대조군(n=25)과, 0.5(n=6), 1(n=6), 2(n=6), 5(n=6), 그리고 10mg/kg(n=11)의 이미프라민을 투여한 후 HD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실험군으로 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 군은 LD 필로카르핀만을 투여한 대조군(n=6)과 2mg/kg의 이미프라민을 전처치한 후 LD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실험군(n=6)으로 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은 Fisher exact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 HD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대조군의 경련 발생률은 76%였으며, 첫 번째 경련까지의 잠복시간(latency)은 9.3±1.1분이었다. 2) HD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대조군의 경련 지송상태 발생률은 44%였으나 1, 2 그리고 5mg/kg의 이미프라민을 전 처치한 후 같은 용량의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100%이었다(p<0.05). 그러나 10mg/kg의 이미프라민을 전 처치한 경우는 경련지속상태 발생률이 36.4%로서 대조군 보다도 낮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3) HD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첫 번째 경련지속상태까지의 잠복시간은 12.3±1.3분이었으나 5와 10mg/kg의 이미프라민을 전 처치한 후 같은 용량의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는 각각 21±3.8분과 25.3±5.7분으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p<0.02) 4) LD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대조군의 경련지속상태 발생률은 16.7%였으나, 2mg/kg의 이미프라민을 전 처치한 후 같은 용량의 필로카르핀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83.3%로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p<0.05) 결론 : 어린 흰쥐를 이용한 필로카르핀 경련 모델에서, 저용량 이미프라민(0.5, 1, 2mg/kg) 투여는 경련 조장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고용량 이미프라민(5, 10mg/kg)은 경련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성질은 모노아민 재흡수를 차단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모노아민 재흡수에 대한 이미프라민의 이러한 효과가 모노아민계 수용체를 활성화 시키고 후에 신경원의 흥분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Prostaglandin E-2와 열성 경련 재발

        이승희(Seung Hee Lee),최병준(Byung Joon Choi),이인구(In Goo Lee),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목 적 : PG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열성 경련이 있는 경우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PGE를 뇌실 내로 주입하면, 경련을 중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 경련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열성 경련시 PGE값을 알아보고 열과의 반응을 보았으며, 처음 열성 경련시의 PGE 값의 변화에 따라, 추후에 열이 나는 에피소드가 있을 때 생기는 열성 경련의 재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 보았다. 방 법 : 가톨릭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초 회의 열성 경련을 가지고 온 환아를 검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아에서 뇌 척수액을 채취하였으며, PGE를 방사면역측정법(Prostaglandin E2 [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n Inc.)으로 측정하였다. 열성 경련 환아 중, 36개월까지 추적할 수 있는 경우를 결과 대상에 포함시켰고, 추적 검사 기간 동안 항경련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열성 경련 환아에서 얻은 PGE 레벨을 온도에 따라 다시 살펴 보았고, PGE 값에 따른 재발 시기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결 과 : 열성 경련 환아 총 105명을 36개월까지 추적 할 수 있었다. 열성 경련이 있는 군에서 PGE 값은 열이 38.4℃ 이하인 경우는 27.7±21.0 pg/㎖, 38.5℃ 이상 39.4℃ 이하는 83.6±38.3 pg/㎖, 39.5℃ 이상인 경우는 205.6±40.0 pg/㎖, 4개월에서 6개월 재발군은 134.9±74.6 pg/㎖, 7개월에서 9개월 재발군은 118.9±39.6 pg/㎖, 10개월에서 12개월 재발군은 133.5±69.2 pg/㎖, 13개월에서 18개월 재발군은 106.5±106.4 pg/㎖, 19개월에서 24개월 재발군은 123.7±100.6 pg/㎖와 25개월에서 36개월 재발군은 142.1±172.5 pg/㎖이었다. 결 론 : 열성 경련 환아에서 증가한 PGE 값은 온도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재발군에 따른 PGE를 고찰하여 본 결과, PEG 값에 따른 재발 시간 변화의 연관 관계는 없었다. 앞으로 열성 경련에서 증가된 PGE 값 역할에 대한 좀 더 포괄적인 연구가 추후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되며, 아울러 열이 있을 때 흔히 먹이는 해열제와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는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Concentrations of prostaglandin(PG)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s very low in physiologic conditions and are known to increase in response to febrile convulsions. And,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prostaglandin E-2(PGE) in unanesthetized cats is accompanied by a rise in body temperature, a decrease in convulsions, and a modulation of the convulsive thresholds, but the possible physiological role of different PGs in induction, termination, and recurrences of seizure activity is not clear. We observed the change of PGE according to temperatures in first febrile convuls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urrence of febrile convulsions and PGE. Method : In the present study, the body temperatures of patients with initial febrile convulsions were measured. Spinal taps were performed. All CSF samples were stored in a deep freezer at 30℃ until the time of analysis and tested by Prostaglandin E2 [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 Most children were treated with antipyretics immediately and tepid water massage. 105 patients with febrile convulsions could be studied for 36 months and the times of recurrence after first febrile convulsion during those period were measured. During febrile convulsions, no anticonvulsants were used. Based on 105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s, we analyzed the result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levels of PGE at temperature 38.4 ℃, 38.5 ℃ temperature 39.4 ℃, and temperature 39.5 ℃ were 27.7±21.0 pg/㎖, 83.6±38.3 pg/㎖, and 205.6±40.0 pg/㎖. The levels of PGE during 3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79.1±15.8 pg/㎖, those during 4-6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34.9±74.6 pg/㎖, those during 7-9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18.9±39.9 pg/㎖, those during 10-12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33.5±69.2 pg/㎖, those during 13-18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06.5±106.4 pg/㎖, those during 19-24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23.7±100.6 pg/㎖, and those during 25-36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42.1±172.5 pg/㎖. Conclusion : Significantly elevated concentrations of PGE in febrile convulsions were found and related to increased body temperature. In the recurrent groups of febrile convulsion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GE levels and recurrences time of febrile convulsions. It is not clear that increased PGE levels are, at least in part, to be related to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We think that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role of increased PGE in first febrile convulsion and the relationship to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 KCI등재후보

        간질환아에서 항경련제 투여가 혈청 갑상선 호르몬값에 미치는 영향

        이인구(In-Goo Lee),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 No.1

        저자들은 장기간 항경련제 투약을 받고 있는 간질 환아에서 혈청 갑상선 호르몬값(thyroxine; T, free thyroxine; FT, triiodothyronine; T 및 thyrotrophin;TSH)의 변화를 알아보고저, 항경련제 치료군(valproic acid(VPA) 투여군, carbamazepine(CBZ) 투여군, diphenylh-ydantion(DPH 투여군. phenobarbital(PB) 투여군 및 combination (COM, 병용) 투여군)의 환아 89명과 대조군의 소아 40명에서 혈청 T, FT, T 및 TSH값을 각각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정량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청 T, FT 및 T평균값은 대조군의 것과 각각 비교하여 CBZ 투여군과 병용투여군에서, 그리고 혈청 T 및 FT값은 DPH 투여군에서 각각 유의한 저하가 있었고, 이중 혈청 FT의 평균값은 항경련제 치료군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저하를 보였다(P<0.01). 2. 혈청 갑상선 호르몬 가운데 한 개 또는 그 이상이 대조군의 평균에서 2배의 표준편차 이하로 저하된 낮은 값을 보인 환아는 총 79명중 43명(54.4%)에서 있었다. 이중, 혈청 FT의 낮은 값은 가장 많아 79명 중 37명(46.8%)에서 있었고, 항경련제별로 보면 CBZ 투여군에서 가장 많아 16명중 13명(81.3%)에서 있었다. 3. 혈청 TSH값이 대조군의 평균에서 2배의 표준편차 이상으로 증가된 높은 값을 보인 환아는 총 79명중 1명(1.3%)에서 있었다. 이 환아는 또한 혈청 FT값의 저하를 동반하고 있었으며 추적 조사해 본 결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임상 소견은 인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질 환아에서 혈청 호르몬값에 대한 항경련제의 영향은 주로 CBZ 및 DPH의 단독투여와 관련이 깊었으며, 이는 약물을 병용 투여시 더욱 현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갑상선 호르몬 가운데 혈청 FT값의 측정은 항경련제 투여와 관련된 갑상선 기능의 이상을 찾아내는데 가장 예민한 방법임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mmonly used anticonvulsant drugs on the thyroid hormones in epileptic children. authors examined 79 patients(male 50, female 29)) of five anticonvulsant-treated groups sho received valproic acid(VPA.n=26).carbamazepine(CBZ.n=16). diphenylhydantoin(DPH.n=13) and phenobarbital(PB. n=9) respectively, or a combination of these(COM.n=15) for the periods varying from 4 months to 6 years, and a control group of 40 children(male 30. female 10).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10.75±1.19 years and that of the controls 10.88±2.36 years. None of the controls received drugs with known effect on thyroid or pituitary function, and all subjects were clinically euthyroid. All sera from patients and conrols were obtained immediately from blood samples and stored at -20℃ until they were assayed at the same time. In all 119 children, the serum levels of thyroxine(T), free thyroxine(FT), triiodothyronine(T), and thyrotrophin(TSH) were measured by a radioimmunoassay. The comparison of the control and anticonvulsant-treated groups was conducted by means of analysis of variance. In the cas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unnet multiple comparison tests were performed to check which group i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erum levels of T. FT and 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CBZ and COM, as compai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and those of T and FT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DPH. 2. Forty-three of 79 patients who treated with various anticonvulsant drugs had low serum thyroid hromonal levels below 2 SD from the mean of control group. Of the 79 patients 37(46.8%) had low serum level of Ft. and abnormally low FT was most common in the group treated with CBZ and it was observed in 13 of 16 patients(81.3%). 3. One of the 79 patients had high serum TSH level above 2 SD from the mean of control group, and the patient was clinically euthyroid during the study. Our study revealed that the decreasing effects on serum levels of thyroid hormones by anticonvulsant drugs were mainly related to the treatment of CBZ, DPH and COM. Also, we demonstrated that estimation of the serum level of FT was a suitable test for the initial laboratory work-up to detect thyroid hormonal abnormality in epileptic children taking various anticonvulsant drugs.

      • KCI등재후보

        소아 간질의 임상적 고찰

        변종인(Jong-In Byun),김영훈(Young-Hoon Kim),이인구(In-Goo Lee),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 No.1

        We performed this prospective study to analyse the clinical findings on 457 epileptic children (male 250, female 207) whose seizure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among 1,052 patients under 15 years of age seen at the child neurology clinic of Kangnam St. Mary's hospital from 1981 to 1990.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investigation was 3.6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sex distribution, the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1.3:1 2. In the age distribution at the onset of first seizure, the proportion of patients below 5 years of age occupied more than a half of all the patients with epilepsy(58.4%), of whom the patients in the group of less than 2 years of age accounted for 34.5%, and the patients in the group of 3-5 years of age stood at 23.9%. 3. With regard to family history, a positive past history of febrile convulsion was present in 21.9% of patients, and 11.6% of parents and siblings. On the other hand, a positive history of 21.9% of patients, and 11.6% of parents and siblings. On the other hand, a positive history of epilepsy was present in 2.6% 4. The causative factors of epilepsy were identified in 31.9% of the 457 patients in this study. Of these factors, four leading ones in order of frequency were birth asphyxia/trauma(25.7%), congenital abnormalities(19.4%), CNS infection(16.7%) and head injury(16.0%). 5. Classification of epilepsy revealed generalized seizures in 37.2%, partial seizures in 52.3%, and mixed seizures in 10.5% of the cases.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 was tonic and/or clonic seizures(26.7%) in generalized seizure and simple partial seizures(38.1%) in partial seizure. 6. Abnormal EEG findings were in 77.4% of patients with partial seizure, 43.5% of patients with generalized seizure and 75.0% of patients with mixed seizure.

      • 미숙아의 신생아 경련

        박주형(Joo Hyung Park),정인아(In Ah Jung),한지윤(Ji Yoon Han),성인경(In Kyung Sung),이주영(Ju Young Lee),윤영아(Young Ah Youn),이인구(In Goo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1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0 No.3

        배 경 : 신생아기에는 뇌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경련이 일생 중 가장 흔히 발생하며, 특히 미숙아에서 경련의 발생 빈도가 높다. 신생아 집중 치료가 발전하면서 미숙아의 생존율이 향상되었지만, 생존한 미숙아들의 신경학적 후유증의 빈도 역시 증가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미숙아로 출생하여 경련을 일으킨 환아들을 대상으로 병력,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예후를 관찰함으로써 미숙아 경련의 특징과 위험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9년 3월에서 2012년 2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연령 37주미만으로 출생한 환아 중 경련이 발생한 환아 1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재태 연령 30주 미만의 환아에서 신생아 경련 발생률이 높았고, 경련의 발생 시기는 생후 1주일 이내가 많았으며, 경련 형태는 비정형적 경련이 많아 일반적인 신생아 경련과 동일하였다. 뇌파검사에서는 75%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였는데, 대부분이 간질모양파를 보였고(77.8%) 나머지는 배경파가 억제되어 있었다. 뇌 영상 검사에서는 62.5%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는데, 대부분이 뇌실 내 출혈(80%) 이었다. 경련의 위험인자로는 절반의 환아에서 출생 시 가사가 관찰되었고, 주산기 병력을 가진산모인 경우도 43.8%를 차지하고 있었다. 경련을 조절하기 위하여 phenobarbital, phenytoin, 그리고 midazolam을 사용하여 대부분(76.9%)은 조절되었고, 조절 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4.3±4.2일 이었으나 3명은 사망 시까지 경련이 조절되지 않았다. 항경련제의 투약을 중지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53.4±28일 이었다. 그리고 추적 관찰 기간 중 경련을 경험한 미숙아의 절반 이상이 정상 발달을 보이고 있었다. 결 론 : 출생 시 가사가 미숙아의 신생아 경련 발생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로 생각 되지만 산모의 주산기 병력 역시 신생아 경련 발생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산모가 주산기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출생 미숙아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검사를 통해 경련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뇌파검사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Purpose : Neonatal seizures are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neonatal neurologic dysfunction, and the lifespan risk for seizures is highest in the neonatal period, especially in preterm infants.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and analyze the risk factors and clinical profiles of seizures in preterm infants. Methods : Sixteen cases of preterms with seizur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etween Mar. 2009 and Feb. 2012. Results : The average gestational age was 30.3±4.1 weeks and 11 patients (68.7%) experienced seizures within 1 week after the birth. Eight cases (50%) had a perinatal asphyxia during the delivery and 7 cases (43.8%) had a history of perinatal maternal illness. Various types of seizures were observed of which subtle seizures were the most common (50%). Electroecephalographies were performed in 12 cases, which showed abnormal findings in 9 cases (75%). Neuroimaging studies were performed in 16 cases and showed abnormal findings in 10 cases (62.5%). Thirteen patients were discharged in the improved state and 3 patients expired. Eight cases had normal outcome, while 3 cases showed developmental delay. Prognosis was unknown in 2 cases due to follow up loss. Conclusion : Neonatal asphyxia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urthermore, infants with a history of perinatal maternal illness appear to be at risk for neonatal seizures. EEG is a sensitive method for assessing seizure activity and prognosis. Monitoring high risk infants with asphyxia and a history of perinatal maternal illness, and early postnatal tracing with EEG is required to detect and manage high risk preterms.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과 열성경련플러스(GEFS+)에서 인터루킨-1β 촉진자의 다형성

        정승연(Seung Yun Chung),박양준(Yang Joon Park),김영훈(Young HOon Kim),이인구(In Goo Lee),황경태(Kyung Tai Whang),이준성(Joon Sung Lee),김혜성(Hye Sung Kim),이권행(Kweon Haeng Lee),임성빈(Sung Vin Y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1

        목 적: 최근에 IL-1β 유전자 촉진자 부위의 위치 -511(IL1B -511)에서 단일염기다형성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열성경련에서 IL-1β 유전자 촉진자의 다형성 이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상반된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IL-1β 유전자의 위치 -31과 -511에 촉진자 부위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단일뉴클레오티드 염기 C/T대립 다형성이 열성경련의 감수성과 연관이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단순열성경련, GEFS+ 및 건강한 대조군에서 IL1B-31과 -511 다형성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방 법: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및 성모자애병원 병원 소아과에서 진단받은 열성경련 환아 72명, GEFS+ 환아 23명 및 건강한 대조군 174명, 총 2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L1B -31 C/T 유전형과 IL1B -511 C/T 유전형은 PCR-제한절 편길이다형성으로 결정하였다. 결 과 : IL1B -31 유전자에 대한 유전형 분포와 대립유전자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동형접합자, C/T이형접합자 및 T동형접합자의 분포는 열성경련 환아군에서 22.2%, 50.0% 및 27.8%이었고, GEFS+ 환아군에서 21.7%, 43.5% 및 34.8%이었으며, 건강한 대조군에서 27.6%, 49.3% 및 24.1%이었다. IL1B -511 유전자에 대한 유전형 분포와 대립유전자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동형접합자, C/T이형접합자 및 T동형접합자의 분포는 열성경련 환아군에서 23.6%, 47.2% 및 29.2%이었고, GEFS+ 환아군에서 26.1%, 39.1% 및 34.8%이었으며, 건강한 대조군에서 27.6%, 49.3% 및 24.1%이었다. 결 론: 이러한 결과는 IL1B -31과 -511 유전자가 한국인 열성경련의 유력한 유전적 표지는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Purpose : Studies gave conflicting results as to the association between febrile seizures(FSs) and IL1B promoter polymorphisms. In the present stud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unction-related two single nucleotide base C/T biallelic polymorphisms in the promoter region at positions -31 and -511 of the IL1B gene are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FSs, the frequencies of the polymorphisms were investigated in children with FSs and GEFS+, and normal control subjects. Methods : 72 FSs, 23 GEFS+ and 174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out a collaborative study of Catholic Child Neurology Research Group. IL1B promoter -31 C/T and -511 C/T genotyping was performed by means of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esults : The distribution of IL1B -31 genotypes and the frequencies of allele in children with FSs and GEFS+, nd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stributions of IL1B -31 genotypes(CC, CT, TT) are 22.2%, 50%, and 27.8% in children with FSs, 21.7%, 43.5% and 34.8% in children with GEFS+, and 27.6%, 49.3% and 24.1% in healthy control subjects. The distribution of IL1B -511 genotypes and the frequencies of allele in children with FSs and GEFS+,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stributions of IL1B -511 genotypes(CC, CT, TT) are 23.6%, 47.2%, and 29.2% in children with FSs, 26.1%, 39.1% and 34.8% in children with GEFS+, and 27.6%, 49.3% and 24.1% in healthy control subjects. Concl usi on : Theses data suggest that genomic variations of IL1B promoter might not be one of the susceptibility factors for FSs in the Korean population.

      • SCOPUSKCI등재

        Kainic Acid로 처리한 해마박편배양 마우스 간질모델에서 치아이랑 Parvalbumin 면역 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정희선,신미영,김영훈,이인구,황경태,김명석,Chung, Hee Sun,Shin, Mi-Young,Kim, Young-Hoon,Lee, In-Goo,Whang, Kyung-Tai,Kim, Myung-Su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2

        목 적 : 중증 측두엽간질환자와 kainic acid(KA)로 처리한 측두엽간질 동물모델에서 해마 치아이랑의 사이신경세포가 소실된다. 측두엽간질 마우스모델인 마우스해마의 기관형 배양에 의한 KA 간질모델에서 parvalbumin(PV)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치아이랑에 분포하는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를 감별염색하여 세포체 및 그 가지돌기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측두엽간질의 병태생리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 법 : 실험적 간질 모델은 C57/BL6 마우스의 해마박편을 이용한 기관형 배양에서 $10{\mu}M$ KA 투여로 유발시켰으며, PV 항체를 이용한 광학현미경적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치아이랑에 분포하는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를 감별염색하여 형태학적 차이를 관찰하였고, 또한 이들 세포의 세포수를 계측하고 KA처리 후 배양하면서 시간경과(8, 24, 48, 72시간)에 따라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KA 처리를 하지 않고 배양된 해마조직박편(대조군)의 치아이랑에서 PV 면역반응성 세포는 가지돌기 나무가 잘 발달되어 있고 사이신경세포로서 이들은 주로 과립층과 이층 밑의 다형층에 산재하였다. $10{\mu}M$ KA에 1시간 정도 노출되었을 때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돌기에는 염주상이 형성되었고 가지돌기는 가늘어져 있었다.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는 KA 처리 후 배양액에서 KA를 제거한 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형태학적 회복을 보여주었다. KA 제거 후 8시간 회복군에서 세포돌기의 염주상은 볼 수 없었으며 가지돌기는 가늘어져 있었다. KA 제거 후 24, 48, 72시간 회복군에서도 염주상은 거의 볼 수가 없었으며 가지돌기의 두께도 회복되었다.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KA 처리군과 KA 제거 후 8시간 회복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세포수의 감소가 있었으나 KA 제거 후 24시간 회복군, KA 제거 후 48시간 회복군 및 KA 제거 후 72시간 회복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 었다. 결 론: 이러한 결과는 KA에 의하여 유발된 치아이랑 사이신경세포의 세포소실이 일시적이며 가역적인 현상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Purpose : Loss of hippocampal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has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severe temporal lobe epilepsy and in animals treated with kainic acid(KA). Interneurons contain $Ca^{2+}$- binding protein parvalbumin(PV). The effects of kainic acid on parvalbumin-immunoreactive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were investigated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Methods : Cultured hippocampal slices from postnatal day nine C57/BL6 mice were exposed to $10{\mu}M$ KA, and were observed at 0, 8, 24, 48, 72 hours after a one hour KA exposure. Neuronal injury was determined by morphologic changes of PV-IR interneuron in dentate gyrus. Results : Transient(1 hour) exposure of hippocampal explant cultures to KA produced marked varicosities in dendrites of PV-IR interneuron in dentate gyrus and the shaft of interbeaded dendrite is often much thinner than those in control. The presence of varicosities in dendrites was reversible with KA washout. The dendrites of KA treated explants were no longer beaded at 8, 24, 48 and 72 hours after KA exposure. The number of cells in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was decreased at 0, 8 hours after exposu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4, 48 and 72 hours recover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ed that loss of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is transient, and is not accompanied by PV-IR interneuronal cell death.

      • KCI등재후보

        발달지체아에서 Denver II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전민철(Min-Cheol Jeon),김영훈(Young-Hoon Kim),정승연(Seung-Yun Chung),이인구(In-Goo Lee),김종완(Jong-Wan Kim),황경태(K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1

        목적: 덴버발달선별검사(DDST)는 1967년 발표되고 한국에서는 1987년 한국판 DDST가 만들어져 사용되었고 1992년에는 덴버 II가 발표되어 더 개선되고 표준화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정기검진아 및 발달지체아들에게 덴버 II가 이들을 평가하는데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은 1993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약 3년 6개월간 발달지체를 주소로 강남성모병원 소아발달 클리닉을 방문한 244명으로 운동발달지체주소군(I군), 언어발달지 체주소군(II군) 및 기타군(III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덴버 II는 한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고 검사자는 훈련된 동일인으로 하였으며 각 군에 덴버 II를 검사하여 이들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덴버 II로 검사한 소아는 총 244명이었는데 남녀비는 2.4:1로 남아가 많았으며 검사시 평균연령은 25.1개월이었다. I군은 68명이었고, 남녀비는 1.6:1, 평균연령은 11.8개월이었으며, II군은 84명, 남녀비는 4.6:1, 평균연령은 35.6개월이었고, III군은 92명으로 남녀비 13:1 평균연령은 25.4개월이었다. 2) 덴버 II를 검사한 결과 비정상, 정상, 의심의 분포를 보면 I군은 각각 76%, 13%, 10%, II군은 76%, 10%, 14%, III군은 38%, 53%, 9%이었다. 3) 덴버 II를 시행한 소아 중 신경학적 이상이 있었던 환아는 I군 75%, II군 74%, III군 39%이었으며 질환은 I군은 뇌성마비, 중추성 근긴장저하증, 영아연축, 근병증 등의 순이었고 II군은 정신지체, 발달성 언어장애, 간질, 뇌성마비 등의 순이었으며, III군은 정신지체, 간질, 뇌성마비 등의 순이었다. 4) 덴버 I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I군 각 각 0.88과 0.41, II군 0.90과 0.27, II군 0.81과 0.77이며, 전체적으로 0.87과 0.59이었다. 결론: 덴버 II는 발달지체를 주소로 내원한 소아에게 있어서 민감도에 비하여 특이도가 낮았으며 특히 언어지체 주소군에서는 위양성률이 높아 발달지체아의 발달선별검사로서 유용성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덴버 II는 발달지체아를 주소로 내원한 우리나라 소아에게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고 우리나라 소아에게 적합한 발달선별검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Purpose :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are in widespread use, but few reliable and valid tests are available. One of the oldest and best know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was recently restandardized and revised as Denver II. Because the Denver II was published without evidence of its accuracy in developmental screening, we evaluate its accuracy in chi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 see whether it can be used on Korean children. Methods : The Denver II was translated and was administered to 244 children attending the child development clinic in Kangnam St. Mary’s Hospital to evaluated motor delay(Group I, n=68), language delay(Group II, n=84) or other problem(Group III, n92) Results: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and the mean age of the subject were 2.4:1 and 25.1 months overall, 1.6:1 and 11.8 months in Group I, 4.6:1 and 35.6 months in Group II, and 1.3:1 and 25.4 months in Group III 2) The distribution of results(abnormal, normal and questionable) were 76%, 13% and 10% in Group I, 76%, 10% and 14% in Group II, and 38%, 53% and 9% in Group III. 3) The neurologic problems were determined 75%(cerebral palsy, central hypotonia, infantile spasm, myopathy etc.) in Group I, 74%(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epilepsy, cerebral palsy etc.) Group II and 39%(mental retardation, epilepsy, cerebral palsy etc.) in Group III. 4)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Denver II were 0.88 and 0.41 in Group I, 0.90 and 0.27 in Group II, 0.81 and 0.77 in Group III, and 0.85 and 0.59 overall. Conclusion : Although the Denver II in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developmental delay has a excellent sensitivity, it has a poor specificity, especially in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language dela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enver fail to reliably identify children in need of developmental delay evaluation. So the Denver II should be standardized and modified to be used on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후보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에서 Mg-free Medium과 4-Aminopyridine에 의해 유발된 간질양 뇌파에 대한 Lamotrigine의 효과

        윤종서(Jong Seo Yoon),이인구(In Goo Lee),최병준(Byung Joon Choi),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3 No.2

        목 적 : Lamotrigine(LTG)은 최근에 개발된 항경련제 중 하나로 작용 기전에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실험 모델에 따라 항경련 효과를 보이는 적절한 용량 역시 결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저자는 뇌의 발육이 미성숙한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을 제작하여 Mg-free medium 뇌척수액에서 4-aminopyridine(4-AP)으로 간질양 뇌파를 유발시킨 후 이를 가장 잘 억제할 수 있는 LTG의 농도를 알아보고, 또한 이를 통한 간질양 뇌파의 억제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밝혀진 LTG의 작용 기전 외의 다른 기전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 법 : 생후 19-23일 사이의 Sprague-Dawley 흰쥐를 이용하여 대조군(n=12)과 실험군으로 나눈 후 실험군은 LTG 농도에 따라 400(n=9), 800(n=7), 1,000(n=8) µM 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마취 상태에서 뇌를 꺼내어 기본 뇌척수액(NaC1 125 mM; KC1 2.5 mM; NaHPO 2 mM; MgSO 1.25 mM; NaHCO 25 mM; CaC1 mM; glucose 10 mM, pH 7.3-7.4)에 담그고 vibratome으로 400µm 두께의 해마 박편을 만들었다. 대조군은 해마 박편을 Mg-free medium 뇌척수액에 옮겨 놓고 200µM 농도의 4-AP를 첨가한 1시간 후에 CA1 영역의 피라미드 층에서 뇌파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과 같은 인공 뇌척수액에 각각 400, 800, 1,000 µM의 LTG를 첨가하고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 LTG의 간질 간기 뇌파에 대한 효과 : 간질 간기 뇌파는 대조군과 LTG 투여군 모두에서 나타났다. 첫 번째 간질 간기 뇌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시간은 대조군에서 52.7±26.9초이었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길어져 800 µM군에서는 225.0±28.2초, 1,000µM군에서는 322.1±116.4초였다(P<0.05). 간질 간기 뇌파의 지속시간은 대조군에서 64.6±35.6초였으나, LTG 800µM군에서 가장 짧아 39.9±12.6초였다. 2) LTG의 간질 뇌파에 대한 효과:간질 뇌파는 대조군과 LTG 400µM군의 모든 박편에서 나타났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발생 빈도가 줄어 800µM군에서는 57.1%, 1,000µM군에서는 12.5%에서만 나타났다. 첫 번째 간질 뇌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시간은 대조군에서 142.1±52.6초였으나 400 µM군에서는 304.4±84.5초, 800 µM군에서는 689.8±213.1초였다(각각 P<0.05). 그리고 1,000 µM군에서는 2,071초로 실험군 중 가장 긴 잠복시간을 보였으나 간질 뇌파가 발생한 경우가 1개의 박편 밖에 없어 통계적으로 의의를 구할 수 없었다. 간질 뇌파의 지속시간은 대조군에서 1,534.7±339.3초이었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짧아져 800 µM군에서는 126.5±76.1초이었고(P<0.05), 1,000 µM군에서는 42초였다. 결 론 :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에서 4-AP와 Mg-free medium에 의해 유발되는 간질양 뇌파를 억제하는 LTG는 800 µM 이상의 농도일 때 가장 효과적인 항경련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LTG의 기본 약리 기전이 sodium 통로를 억제하는 것이지만 고농도에서는 potassium 통로에도 작용해 흥분성과 억제성 아미노산의 방출을 억제하고, 억제되었던 GABA의 활동을 증가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In order to elucidate the actual mechanism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Lamotrigine(LTG) that suppresses epileptiform discharges, we observed epileptiform discharges from hippocampal slices of immature rat in 4-aminopyridine(4-AP) added Mg -free medium of 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aCSF) with various LTG concentrations. Methods : We divided 19-23 day-old Sprague-Dawley rats into 4 groups; control group(n=12) and 3 LTG group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LTG such as 400(n=9), 800(n=7), and 1,000(n=8) µM. The rats were anesthetized and their brains were taken, soaked in aCSF(NaC1 125 mM, KC1 2.5 mM, NaHPO 2 mM, MgSO 1.25 mM NaHCO 25 mM, CaC1 2 mM, Glucose 10 mM, pH 7.3-7.4). And then the brains were cut into 400 µm hippocampal slices by a vibratome. The slices of control group were soaked in 200µM 4-AP added Mg-free medium of aCSF for 1 hour, and then extracellular recordings were performed in hippocampal CA1 pyramidal region. The slices of LTG groups were soaked in the solution containing 400, 800, and 1,000µM LTG, then extracellular recordings were performed. Results : Interictal discharges were observed in all the control and the LTG groups. The latency to the first interictal discharges after 4-AP addition was 52.7±26.9 sec in control group, but was 225.0±28.2 sec in 800 µM and 322.1±116.4 sec in 1,000 µM group of LTG(P<0.05). The duration of interictal discharges was 64.6±35.6 sec in control group, but was the shortest in 800µM group of LTG at 39.3±12.6 sec. Ictal discharges were observed in all of control and 400µM group, but the frequency wa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57.1% in 800µM, 12.5% in 1,000 µM group. The latency to ictal discharge after 4-AP addition was 142.1±52.6 sec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304.4±84.5 sec in 400 µM group and 689.8±213.1 sec in 800 µM group(P<0.05). The duration of ictal discharges was 1,534.7±339.3 sec in control group, but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it was 126.5±76.1 sec in 800 µM group(P <0.05) and 42 sec in 1,000 µM group. Conclusion : The antiepileptic effects of LTG were most significant when the concentration, inhibiting epileptiform discharges induced by 4-AP and Mg -free medium in hippocampal slices of immature rats, was 800uM or higher. Although the basic pharmacologic mechanism of LTG is the inhibition of sodium channel, it may also work on potassium channel at higher concent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