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wo Genera of Trichodoridae (Trichodoroidea : Nematoda) New to Korea

        이영배,Lee Young-Ba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1976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15 No.2

        전국식물기생선충 분포조사기간에 채집된 선충중에서 Dorylaimida 목, Trichodoroidea 상과의 Trichodoridae 과선중이 분류동정되었다. Trichodorus cedarus는 콩, 배추, 보리 및 사과등에서 채집되어 분류동정되었으며, Paratrichodorus porosus 콩, 마늘, 배추 및 옥수수 등에서 검출되었다. Trichodoroidea 상과의 선충은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기록되지 않았었다. Trichodorus cedarus Yokoo, 1964 and Paratrichodorus porosus (Allen. 1957) Siddiqi 1973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from the speciemens collected during the nationwide survey. Both the genera and the species are new to Korea.

      • SCOPUSSCIEKCI등재

        허혈-재관류에 의해 유도된 백혈구-혈관내피세포 유착에 대한 Videomicroscopy 영상소견

        이영배,강한석,박신병,Lee, Young Bae,Kang, Han Sug,Park, Shin Byung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10

        Purpose : Recent evidence suggests a possible role for leukocytes in brain injury following ischemia and reperf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temporal profile of ischemic tissue damage and leukocyte response after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MCAO) with reperfusion in the mouse. Methods : Focal cerebral ischemia was made by temporary occluding of the stem of the proximal MCA. Two groups of the mouse were investigated : (1) sham operation(n=10), and (2)those having the arterial occlusion released after 90 minute(n=20). By 4 hours(n=10) and 24 hours(n=10) after the onset of ischemia-reperfusion, fluorescein videoimages were under-taken in the pial venules of the mouse using a closed cranial window technique. Rhodamine 6G was administered as a $80-100{\mu}l/min$ i.v. loading dose and a $30-40{\mu}l/min$ i.v. maintenance dose in saline to selectively label circulating leukocytes. Neuropathologic evaluation for brain injury was accomplished using the histochemical stain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TTC) and hematoxylin and eosin(H & E) stain. Results : The mean number of adherent leukocytes to cerebral venules in the 90 minutes MCAO and 24 hours reperfusion group were $306{\pm}24$ compared with $72{\pm}8$ in the sham operation group. In the TTC staining method, the cortical infarct affecting 34.8% of hemispheric volume were created in all of animals (n=10) undergoing 90 minute MCAO with 24 hours reperfusion, but the infarcted area were not found in the other(sham operation and 90 minute MCAO with 4 hours reperfusion)groups. In the H & E stain, the brain tissue following 90 minute MCAO with 4 hours reperfusion revealed only a pyknosis of the nuclei with shrunken cytoplasm, but infiltrated leukocytes were not observed. After 24 hours of reperfusion, a many leukocytes were infiltrated within parenchyma and blood vessle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feasiblity of continous in vivo monitoring of leukocyte adherence in cerebral venules and suggest that reperfusion induced leukocyte adherence to venular endothelium may contribute to tissue injury following focal cerebral ischemia.

      • 감나무의 Ethanol 추출액(抽出液)이 척출가토(剔出家兎) 장관운동(腸管運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이영배,신홍기,김기순,Lee, Young-Bae,Shin, Hong-Kee,Kim, Kee-Soon 대한생리학회 1977 대한생리학회지 Vol.11 No.1

        Diospyros Kaki Thunberg is the species of persimmon tree that grows in Korea. Although its fresh or dried fruits are often served as a desert, it has little been known if persimmon tree has any specific pharmacological action. The leaves and branches of persimmon tree has long been used as folk remedies for palsy and frostbit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and it is also in use for the treatment of hiccup and nocturnal enuresis in chinese herbal medicine.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a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Diospyros Kaki Thunberg ethanol extract (KTEE) into the animals lowered arterial blood pressure. Lee concluded from his study on the mechanism of depressor action of KTEE that at least a part of depressor response he observed was caused by acetylcholine-like action of KTEE. On the other hand little study has been made on the effect of KTEE on the motility of isolated animal intestin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effect of KTEE and the mechanism of its action on the motility of isolated rabbit duodenum. Ethanol extract of Diospyros Kaki Thunberg was prepared by boiling 1 kg of dried branches of persimmon tree in 1 liter of ethanol and the motility of isolated rabbit duodenum was recorded on physiograph by means of force transducer connected with Magnus apparatus. Doses of KTEE used were $5{\times}10^{-4}gm/ml,\;1{\times}10^{-3}gm/ml,\;and\;2{\times}10^{-3}gm/ml$. And the isolated duodenum was separately pretreated with acetylcholine $(5{\times}10^{-7}gm/ml)$, pilocarpine $(2.5{\times}10^{-6}gm/ml)$, histamine $(5{\times}10^{-6}gm/ml)$ and barium chloride $(2.5{\times}10^{-5}gm/ml)$ in order to find out interactions of these drugs with KTE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At doses of $5{\times}10^{-4}gm/ml,\;1{\times}10^{-3}gm/ml$ KTEE reduced contractions of isolated duodenum, while tonus as well as contaction of duodenum were depressed with $2{\times}10^{-3}gm/ml$ of KTEE. 2. Since the inhibitory effect of KTEE on the intestinal motility was not blocked by pretreatment with acetylcholine, pilocarpine, and barium chloride,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inhibitory action of KTEE on intestinal motility is mainly Caused by its antihistamine effect. 3.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principal substance of KTEE responsible for inhibition of intestinal motility may also have a vasodilating activity and would not be an acetylcholine-like substance in case it is same substance as that cause depressor responses.

      • KCI등재

        기억의 복원, 잊혀진 풍물 예인의 초상 : 나주지역 풍물꾼 이주안의 공연 예능을 중심으로

        이영배(Lee, Young-bae)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6 No.-

        This study is the record of a poongmul artiste in Naju district. The artiste is Lee Ju-an. He was ignored in the history of poongmul or local culture. But, He needs to be revived in the history of poongmul or local cultu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his cultural portrait through the memories about him. His daughters or colleagues are key informants who remember him as a excellent performer.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ir oral statements. First, it examined his mind of poongmul, and the socio-cultural features of his performance. Second, revealed more details of the aspects of his performance. This study would be well worth in point of representation of a ignored, marginal culture.

      • KCI등재

        이경화 풍물 예능의 문화적 혼종성과 그 의미

        이영배(Lee, Young-ba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2 No.-

        이 글은 풍물 예인 이경화를 통해 풍물문화의 혼종적 성격을 묘사하고자 하였다. 이경화의 풍물 예능은 전통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당대의 사회문화적 변동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풍물 연행 문화의 근대적 성격을 한층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나주지역을 중심으로 전통적 가치와 근대적 가치가 교차, 충돌, 변화하던 그때의 양상을 문화적 기억의 형식 속에 담고 있다.<br/> 요컨대 이경화 풍물의 문화적 혼종성은 당대의 문화적 변동 과정에서 진로와 전망을 모색했던 풍물 예인과 그 연행 문화의 전형을 보여주는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지녔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ore the specific and various change in appearance of the modern poongmulgut(=korean farm music) in Naju province. Poongmulgut is a cultural style and collective memory, or media. The play as cultural memory has broken and fragmented in korean socio-cultural changes. <br/> Gyeong-hwa lee is the player of typical characteristic of cultural hybridity in poongmulgut history. Her poolmulgut play has the traditional and modern features. Therefore, it can be defined as the reconstruction of cultural memories in hybrid times, in the conflict of interests and desires etc.

      • KCI등재

        자율과 횡단, 문화 재생산의 이중 효과

        이영배(Lee Young-ba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3

        이 글은 ‘해남큰굿’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연행 주체의 자율성을, 그들이 상속받은 문화자본의 성격과 그것을 유지 존속하고자 하는 그들의 아비투스에 대한 논의를 통해, 검토한 것이다. 또 상이한 문화자본이 공존하거나 경쟁하는 문화-장의 구조적 성격과 그 구조의 횡단을 통해 새롭게 배치·전개되어야 할 사회 공간 형성의 문제를, 굿문화의 전망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덕흥, 이진, 동현마을에서 벌어진 ‘해남큰굿’의 준비과정과 진행 내용의 특징을 정리하고 그 문화적 의미를 살폈다. 둘째 그것의 문화적 효과를 논의하였다. 즉 주체의 측면에서 자율적인 문화생산/재생산 주체의 형성과정에 대해 검토하였고, 구조의 측면에서 공존과 혁신이 가능한 문화-장의 생성과 실천 전략을 현재 우리가 처한 사회적 상황에 견주어 그 가치와 전망을 제시해보았다. ‘해남큰굿’은 그 전개과정에서, 굿문화 전승과 연행주체의 자율성을, 마을주민, 행사 수행 주체, 그리고 다양한 참가자들의 횡적 연대와 공감을 중심으로 만들어내었다. 그것은 망실된 집합적 기억의 상기과정을 통해 현재의 문화적 상황에 대한 대항적 기억을 산출하는 것이었으며, 전승력의 확보를 통해 굿문화의 약화된 역능을 회복하고자 한 실천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 on cultural reproduction projected and performed as traditional festival and play of ‘Hae-nam’ province. This study do not suggest such as unique principle of traditional culture in those projects. Rather, this paper deals it as restored behavior or the ongoing event of culture.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cultural events projected and performed in ‘Hae-nam’ province by means of such as those concept as Pierre Bourdieu’s ‘habitus’ and ‘field’. Then, it examined the cultural significances producted in those events. And lastly, it discussed the value and vision of culture in the present social situation of korea. And as a result, I found follows. 1)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gut’(korean traditional festival and play) in ‘Hae-nam’ province made the subject of the performance the autonomous one of cultural production. 2) it produced a counter-memory against the present cultural system.

      • KCI등재후보

        복원의 다의성, 전승과 창조의 딜레마

        이영배(Lee Young-Bae) 실천민속학회 2009 실천민속학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무주 두문마을 낙화놀이의 복원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승과 창조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낙화놀이가 생산ㆍ전승ㆍ향유된 문화사회적 맥락을 떠나, 하나의 문화 자원으로서 현대 사회의 축제적 필요에 의해 활용될 때는 그 문화 자원이 가진 독특한 특성이 무시될 수 있다. 특히 관광의 수요를 창출할 목적으로 낙화놀이의 문화적 형식만을 차용하여 그것을 상품화할 때, 결과적으로 그 문화적 가치는 축소될 것이다. 이러한 사정들을 고려해 볼 때, 문화 자원의 가공은 자원의 특성에 따른 기획과 실행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이는 문화의 전승과 창조에서 그 방향과 가치를 묻는 문제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 두문마을 낙화놀이이의 복원 과정을 다층적으로 조망하는 작업과 함께, 먼저 그 특이성 혹은 문화적 역동성을 분석하여 민속문화로서 낙화놀이의 진정한 가치와 창조적 활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생산자들은 삶의 지리를 안전하게 확보하기 위해 낙화놀이를 그들의 자원으로서 활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관도 낙화놀이를 특성화하고 여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모델로 진전시키려면, 무주기업도시 사업의 핵심 시행 지구로서 이미 검증된 두문마을의 자연지리적 조건과 거기에 묻혀 있는 문화자원들을 더 발굴 복원하고 그것을 연계시켜 그 공간을 문화-생태적으로 축조할 필요가 있다. 생태문화 연구 프로그램 창출하고, 자본의 지배로부터 다수 개인들의 해방을 추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rganized the restoration process of Nakhwa-nori transmitted in the district of Muju and examined problems of transmission and creation. Nakhwa-nori is a fireworks display to appreciates fireworks. It is dangling all over the ropes. Also, it plays on 15th of January, 8th of April, or 15th of July by the lunar calendar. Anseong-dumun Nakhwa-nori is a cultural resource. When being applied this cultural resources in compliance with the festival necessity, We must take care not to leave the context of it's performance.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d the restoration process of Nakhwa-nori. Futhermore, examined multiple senses of that process. Nakhwa-nori is a ecological and anti-capital culture. Therefore, It carefully needs to be preserved in order to liberate cultures from control of capital.

      • KCI등재
      • KCI등재

        풍물굿 연구의 심화를 위한 제언

        이영배(Lee Young-Bae)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풍물굿 연구사에서 가능한 종합적인 분수령이 되는 연구물과 새로운 시야로 그 문화적 실체에 관한 논의를 한층 더 진전시켜낸 연구 업적과 내용을 살펴보고 둘째 구두전승물로서 연속성ㆍ선택성ㆍ변이성을 특성으로 하는 풍물굿에 대한 정의와 성격을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규정할 수 있는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셋째 풍물굿의 문화적 실체를 좀 더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는 연구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풍물굿을 농경문화라는 무의식적 대지 위에 다양한 결을 가진 문화의 지층들로 형성된 문화적 다양체로 규정하고서, 그 문화적 실체를 가능한 한 심도 있게 드러낸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풍물굿 연구의 담론 공간을 위상학적으로 구성하여 그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또한 문화 다양체로서 규정한 풍물굿에 대하여 그 실체를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새로운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 풍물굿 연구는 그 대상의 실체와 성격으로부터 연구의 입장이 정립되어야 하고, 분석 방법과 내용이 구체화되어야 하며, 그 성과가 가늠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풍물굿의 실체가 무엇인가 하는 점을 중요하게 제기하였으며, 그에 따라 개념적으로 풍물굿을 정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풍물굿은 ‘문화적 다양체’라는 개념 속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개념은 역사적 시ㆍ공간성, 사회 구조와 그 계층성ㆍ민중성ㆍ계급성, 문화적 관습과 취향 등이 행위의 단편들로 저장되어 있다가 현재 시점에서 재현되는 풍물굿의 실체를 좀더 분명하게 드러내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풍물굿은 이러한 행위의 단편들이 집단적 의식과 무의식의 장에 차이와 반복의 패턴으로 저장되어있으며, 지금 여기에 재현되는 공연 행위의 총체적 기록물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studies of 'Pungmul-gut' in view of cultural studies and to reveal the meaning and value of 'Pungmul-gut'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ory. Also, it deals with 'Pungmul-gut' that varies crossing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levels of culture. The study of 'Pungmul-gut' has to establish the viewpoint of study, to embody the way and content of analysis, and to judge the result by the substance and character of that. In this sense, it is suggested importantly what is the substance of 'Pungmul-gut', and what is the concept of that. It is necessary that we study 'Pungmul-gut' in the concept of cultural multiplicity. It is cultural multiplicity to be stored in the form of strips of behavior through historical times and spaces, social structure and class, cultural practice and habitus. Clearly, this concept is to reveal the substance of 'Pungmul-gut' to be represented here and now. 'Pungmul-gut' is a performance to be stored in the form of strips of behavior in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refore, as a social and cultural event, 'Pungmul-gut' is the collective product of performance behaviors that is represented by the pattern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that signify ideological,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 KCI등재후보

        무위(無爲)의 공동체와 민속의 공동(共同)성

        이영배(Lee, Young-ba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1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1 No.-

        이 글은 낭시의 공동체론이 지니는 특수성과 이론으로서의 일반성에 주목하여, 그 공동체 사유의 핵심 개념들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낭시의 공동체론은 단수성을 축으로 하여 펼쳐지는, 유한성과 분유의 의미 계열로 정리할 수 있었고 개념들의 의미연관 속에서 원인도 기원도 없는 편위에 의해 무위의 공동체가 도래 혹은 펼쳐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낭시의 공동체론에 잠재된 두 가지 모순을 지적하고 그것을 비판과 긍정의 상호침투적인 관점 속에서 논의해보았다. 즉 자본의 한계 없는 축적과 탈취 경향 속에서 전유될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전(前)자본주의 또는 전(前)근대성에 잠재된 공동성의 이해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는 전자본적 또는 전근대적 공동성이 민속이 놓인 조건과 밀접하다는 관점에서 검토하였는데, 현대사회의 공동체적 전망과 관련지을 수 있는 현재적 사례를 통해 그 가능성에 대해 예시적으로 논의하였다. 공동체라는 말은 정감 어린 개념적 형상을 지니고 있지만, 억압적인 정동적 개념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공동체는 폐기되기보다는 우리가 현존하기 위한 조건들을 붙잡기 위해 구성하거나 복원하는 힘으로 적극 사유될 필요가 있다. 공동체는 어떤 선험적인 존재론적 토대임과 동시에 고쳐 써 나가는 게 가능한 텍스트, 즉 글쓰기의 행위가 된다는 점을 낭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이미 그 내재적 총체성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해 파편적 부분적 사건적 다중적 분열적인 것이 되어가고 있다. 마찬가지로 민속의 공동성도 그 문화적 현재성 속에서 동일성과 총체성을 표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따라서 그에 대한 연구도 새로운 접근 방식과 패러다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Jean-Luc Nancy’s theory of community in terms of the special and universal nature of his theory. To do so, the key concepts of Nancy’s idea about community were also focu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Nancy’s theory of communit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of meanings : finitude and sharing, with the notion of singularity as the central axi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eanings of each core concept of Nancy’s theory with regards to community are semantically interrelated. In this condition, the inoperative community appears or spreads by clinamen with neither cause nor origin. Furthermore, two potential contradictions in Nancy’s theory of community were highlighted and discussed critically and affirmat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ism and infiltration.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ppreciating Nancy’s theory of community due to the tendency towards a limitless accumulation and appropriation of capital in a capitalist society. Additionally, the understanding of the common that is immanent in pre-capitalism or pre-modernity was examined. This analysis was based on the view that the common which is pre-capitalist and pre-modern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conditions under which folklore is positioned. Lastly,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and existence of the common of folklore was discussed through present cases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al outlook on modern society. The word ‘community’ has a familiar and conceptual meaning but is not regarded as a repressive and affective concept, and the notion of community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as a force for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conditions for our existence. According to Nancy, community becomes an act of writing, or a text that can be rewritten as well as play a role as a transcendental and ontological foundation. This suggests that in modern society, community has already deviated from its immanent totality. In other words, this type of community becomes more and more fragmented, partial, eventual, multiple, and divided. In this regard, the common of folklore cannot be simply understood as representing identity and totality in terms of present trends in folk culture, and new approaches to thi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