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 Gene Polymorphisms are not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in a Korean Population

        Sam-Youn Lee(이삼윤),Ji-in Yu(유지인),Soo-Cheon Chae(채수천)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

        TSLP 유전자는 IL-7와 유사한 새로운 조혈성 사이토카인이다. 인간의 TSLP는 상피세포, 기질세포 및 비만세포에서 만들어진다. TSLP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윤활성 활액에서 높은 발현을 나타낸다. 이전 연구에서 우리들은 사람의 TSLP유전자에서 4개의 유전자다형성 및 한 개의 변이를 발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들이 발굴한 TSLP유전자의 유전자다형성의 유전자형 및 대립형질의 비율을 건강한 정상인과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비교분석하였으며,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 있어서 유전자형에 따른 RF 및 anti-CCP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양쪽 그룹에서 이들 유전자다형성에 의한 일배체형 비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류마티스관절염 환자군과 건강한 정상인 군 사이에 있어서 유전자형, 대립형질 비율뿐만 아니라 일배체형 비율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TSLP유전자의 유전자다형성은 류마티스관절염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암시한다.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 is a novel IL-7-like hematopoietic cytokine. Human TSLP is produced by epithelial cells, stromal cells, and mast cells. The TSLP gene is highly expressed in synovial fluid specimens derived from rheumatoid arthritis (RA) patients. We previously identified fou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one variation site in human TSLP gen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enotypic and allelic frequencies of the TSLP SNPs between RA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NP genotypes and the RF levels and anti-synthetic cyclic citrullinated peptide (CCP) levels in RA patients. We then calculated the haplotype frequencies defined by these SNPs for both groups. The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the TSLP SN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RA patients and the healthy controls. We also found that TSLP SNPs in the RA patients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levels of RF or anti-CCP. Our results suggest that TSLP SNPs are not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RA.

      • KCI등재후보

        심근경색 모델 흰쥐에서 스트레스가 B-type Natriuretic Peptide 발현 및 심박변이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삼윤(Sam Youn Lee),이미경(Mi Kyoung Lee),김남호(Nam-ho Kim),주민철(Min Cheol Joo),조항정(Hyang Jeong Jo),강지숙(Ji Sook Kang),김병숙(Byung Sook Kim),윤선식(Sun Sik Yoon),최을식(Eul Sig Choi),이문영(Moon Young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3

        심박변이율의 감소는 심근 경색 환자에서 예후의 악화와 관련되어 있다. 심박변이율 중 very low frequency가 심부전환자의 예후를 판단할 수 있는 독립적 인자로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심실의 압력 증가에 반응해서 생성되는 B-type natriuretic peptide가 심근 경색의 예후 인자로서 사용할 수 있음 역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모델을 제작하여 일정의 회복 기간을 거친 다음 다시 일정 기간의 스트레스를 겪게 한 후 심박변이율의 변화 및 심실 조직에서의 BNP 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15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인위적 스트레스 및 수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 n=5),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후 restraint stress를 받지 않은 군(MI+No Stress, n=5),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후 1주일 동안 restraint stress를 받은 군(MI+Stress, n=5)으로 분류하였다. 심근경색 모델 제작 직후 15분 이상 심전도의 변화를 기록하였으며, 2개월 정도 후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동물을 두 군으로 나누어 그 중 한 군에는 1주일 동안 restraint stress를 가한 후 restraint stress를 가하지 않은 동물과 심박변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심실 조직은 좌심실 전벽 부위의 위축을 관찰할 수 있었고, 대식세포에 의하여 응고, 괴사된 심근세포의 탐식과 혈관이 풍부한 육아조직 및 섬유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심박변이율은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직후 심박수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 to normal intervals (SDNN), very low frequency (VLF) 및 low frequency (LF)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심근경색 수술을 받았던 동물에서 두 달 정도의 회복 기간을 거친 후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군은 심박수 및 기타 심박변이율 분석에서 SDNN 값을 제외하고는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던 반면 1주일 동안 스트레스를 받은 군에서는 심박수가 다시 유의하게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SDNN, VLF 및 LF 역시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심근경색 동물에 대해 1주일 동안 스트레스를 가한 결과 심박변이율이 감소하고 심실에서의 BNP 발현은 더욱 증가하여 악화함을 보여주고 있다. Diminishe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associated with less favorable prognosi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MI). It has been reported that very low frequency (VLF) power in HRV analysis is an independent risk predictor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can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of M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tress has an effect to the changes of BNP expression and/or heart rate variability in MI model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CON), MI group (MI+No Stress), and MI followed by stress group (MI+Stress). MI+Stress group rats were raised for a two month recovery period after the operation, followed by being exposed to restraint stress for 2 hours per day for 1 week. Electrocardiogram was recorded after the operation and the last day after 1 week of stress. The frequency components of HRV were calculated in the frequency domain such as VLF, low frequency (LF), high frequency (HF) and so on. In HRV analysis,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 to normal intervals (SDN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VLF and LF also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MI+Stre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 addition, BNP expression in western blotting was shown the strongest bands in MI+ Stress group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NP and HRV were aggravated by stress in MI rat model. (Korean J Str Res 2010;18:275∼285)

      • KCI등재후보

        흉부 둔상에 의한 대정맥파열 2례

        류대웅 ( Dae Woong Ryu ),이미경 ( Mi Kyung Lee ),이삼윤 ( Sam Youn Lee ) 대한외상학회 2012 大韓外傷學會誌 Vol.25 No.4

        Cardiac rupture after blunt trauma is very rare and caval injury is even rarer. However, cardiac rupture after blunt trauma is associated with very high mortality and can occur without a high speed collision or severe thoracic injury. Symptoms are not expressed in all patients in the early stage, so the condition is easily overlooked if patients have an associated injury, minimal thoracic injury or relatively stable vital signs. We report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wo cases of vena caval injury after blunt trauma with slight thoracic injury. (J Trauma Inj 2012;25:287-290)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폐암세포주에서 저용량 시스플라틴에 의해 유도된 자가포식

        신정현 ( Jeong Hyun Shin ),장혜연 ( Hye Yeon Jang ),정진수 ( Jin Soo Chung ),조경화 ( Kyung Hwa Cho ),황기은 ( Ki Eun Hwang ),김소영 ( So Young Kim ),김휘정 ( Hui Jung Kim ),이삼윤 ( Sam Youn Lee ),이미경 ( Mi Kung Lee ),박순아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0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9 No.1

        Background: Most lung cancer patients receive systemic chemotherapy at an advanced stage disease. Cisplatin-based chemotherapy is the main regimen for treating advanced lung cancer. Recently, autophagy has become an important mechanism of cellular adaptation under starvation or cell oxidative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utophagy can occurred in cisplatin-treated lung cancer cells. Methods: H460 cells were incubated with RPMI 1640 and treated in 5 μM or 20 μM cisplatin concentrations at specific time intervals. Cells surviving cisplatin treatment were measured and compared using an MTT cell viability assay to cells that underwent apoptosis with autophagy by nuclear staining, apoptotic or autophagic related proteins, and autophagic vacuoles. The development of acidic vascular organelles was using acridine orange staining and fluorescent expression of GFP-LC3 protein in its transfected cells was observed to evaluate autophagy. Results: Lung cancer cells treated with 5 μM cisplatin-treated were less sensitive to cell death than 20 μM cisplatin-treated cells in a time-dependent manner. Nuclear fragmentation at 5 μM was not detected, even though it was discovered at 20 μM. Poly (ADP-ribose) polymerase cleavages were not detected in 5 μM within 24 hours. Massive vacuolization in the cytoplasm of 5 μM treated cells were observed. Acridine orange stain-positive cells was increased according in time-dependence manner. The autophagosome-incorporated LC3 II protein expression was increased in 5 μM treated cells, but was not detected in 20 μM treated cells. The expression of GFP-LC3 were increased in 5 μM treated cells in a time-dependent manner. Conclusion: The induction of autophagy occurred in 5 μM dose of cisplatin-treated lung cancer cells.

      • KCI등재
      • 원발성과 이차성 기흉에서 비디오흉강경수술의 임상결과

        최순호,류대웅,이미경,이삼윤 원광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9 圓光醫科學 Vol.24 No.1

        배경: 젊은 성인에서 자발성기흉의 치료는 논란이 많다. 흉관삽관술로 구성된 고식적인 치료는 흉관 삽관시기의 이환율, 장기간의 입원 그리고 일정기간 안에 수술을 요한다. 젊은 성인에서 기흉은 보통 폐 첨부의 기포를 동반한 것처럼, 저자는 첫 기흉의 발생 시기에 기포의 흉강경하 절제는 낮은 이환율과 짧은 입원 일을 동반하는 효과적인 치료이며 개흉술에 대한 훌륭한 대체수단이라고 가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166명의 기흉환자에서 비디오흉강경수술을 시행하였다. 155명은 남자이었고 11명은 여자이었다. 평균 나이는 29.3±6.7세(15-75세)이었다. 환자는 특히 날씬하고 키가 컸으며 증상의 발현시기에 경도의 호흡곤란과 흉통을 보였다. 폐 첨부의 기포는 조직 검사로 확인을 하였다.130명의 환자는 5일이상의 지속적인 공기누출과 흉부 컴퓨터사진상 다발성 기포 때문에,15명은 반대편 기흉으로, 7명은 양측성 기흉, 그리고 5명은 흉관삽관술의 치료 후 재발한 경우로 수술을 받았다. 모든 환자에서 Endo-GIA stapler 에 의한 폐 쐐기절제수술과 탈크도포, 그리고 늑막찰과상이 수행되었다. 추적 동안에 환자의 재발 과 잔존 만성 흉통을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사망은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명에서 과도한 늑막찰과상에 기인한 출혈로 재수술,9명의 환자에서는 7일 이상의 지속적인 공기누출, 그리고 3명에서 재발을 보였다. 재발은 수술 후 1-3개월 동안에 발생하였다. 그리고 또한 16명에서 경도의 잔존 흉통을 호소하였지만 진통제는 필요하지 않았다. 입원 일은 원발성 기흉 환자에서는 5.2±2.4일 그리고 이차성 기흉환자는 7.5±3.2일 이었다. 결론: 늑막유착술을 동반한 폐 첨부의 쐐기절제수술은 낮은 이환율과 짧은 입원 일을 동반하고, 초기 흉관삽관술이나 개흉수술 같은 고식적인 수술에 대한 매력적인 대체수단이다. 흉강경수술은 자발성 기흉 환자를 위한 효과적으로 처음 시도하는 수술일 수 있다. 이 질환의 병태생리상 기흉 환자는 기흉의 재발 때문에 엄밀한 추적을 요한다. Background:The treat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 in young adult has been controversial. Conventional treatment consisting of chest tube thoracostomy may be associated with morbidity at the time of tube insertion, prolonged hospitalization, and interval operation in many patients. As spontaneous pneumothorax in young adults is usually associated with apical blebs, we hypothesized that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VATS) resection of the blebs at the time the first pneumothorax may be effective treatment associated with low morbidity and short hospital stay, and also viable alternative to thoracotomy. Method & materials. From Jan.2005 to Dec.2006,a series of 165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were treated by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there were 135 men and 11 women. The mean age was 29.3±6.7 years old(range:15to 78 years).Patients were predominantly tall and thin and also mildly symptomatic at the time of presentation. Apical bullae was confirmed in the pathologic specimen.139 patients was treated for persistent air leak(>5days) and multiple blebs & bullae on Chest CT, 15 patients for contralateral pneumothorax. 7 patients for bilateral pneumothorax, and another 5 patients for recurrent pneumothotax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Stalpling of blebs and bullae with Edo-GIA stapler and pleurodesis by Talc poudrage and pleural abrasion was performed in all cases. During follow-up patients were observed for recurrence and residual chronic chest pain. Results: There was no postoperative death.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reoperation due to excessive pleural abrasion in one patient and continued air leaks more than 7 days in 9 patients, and recurrence in 3 patients.Recurrence were occurred during postoperative 1 to 2 months also mild chronic residual chest pain also noted in 16 patients, but no required analgesics. The hospital stay was mean 5.2±2.4 days in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mean 7.5±3.2 days in secondary pneumothorax. Conclusions: VATS wedge resection of apical bullaes with pleurodesis is associated with low morbidity and short hospitalization, and provides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treatment of initial tube thoracostomy and possible interval repeat thoracostomy or operations. VATS may be an effective first line treatment for spontaneous pneumothorax.Due to the pathophysiology of this disease, patients should be closely followed for the occurrence of the pneumothorax.

      • 개흉 환자에서 흉막 유착을 위한 탈크의 임상적 이용 : 탈크 흉막유착술

        최종범,이삼윤,이철범 圓光大學校 大學院 1996 論文集 Vol.16 No.-

        탈크(talc)는 늑막을 자극하여 섬유화와 늑막유착을 일으키는 효과적인 약제이기는 한나, 사용후 여러 부작용과 합병증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개흉후 철저한 흉막 유착이 필요한 27례의 환자에서 국산의 탈크를 흉막유착제로 사용하고 합병증의 정도와 그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탈크는 속발성 자연기흉 환자 18례, 원발성 자연기흉 환자 2례, 외상성 기흉 4례, 폐 악성종양 1례, 농흉 2례에서 사용되었다. 주로 지속적인 공기누출과 심한 폐기종을 가진 고령의 기흉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병변인 폐기포는 봉합기로 정상적인 폐실질과 차단하고 말단ㄴ부위의 절제없이 3-0 Vicryl호 연속 봉합하였으며, 주 병변외의 작은 ㅍㅖ기포나 공기누출 부위는 4-0 나 5-0 pROLENE으로 연속 봉합하였다. 벽측늑막(PARIETAL PLEURA)에는 기계적 찰과상을 만들고 탈크 분말은 폐측늑막에 고루 발랐다. 탈크를 사용한 환자에서 그에 의한 사망이나 감염은 없었다. 11례 (40.7%)에서 술후 일시적인 발열이 있었으며, 4례 (14.8%)에서 술후 일시적인 효소치의 상승을 보였다. 21례 (77.8%)에서 수술 2일 이내에 공기 누출이 소실되었고, 술후 평균 27개월의 추적으로 기흉의 재발은 없었다. 탈크의 사용으로 개흉절개의 둥통이 부가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공기 누출을 동반하는 다발성 폐기포 병변이나 폐괘성 폐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개흉시 선택적으로 탈크를 흉막에 도포하므로써 합병증이 적고 효과적인 흉막유착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alc is avery effective pleural irritant, producing fibrosis and adhesion, but it has been associated with numerous side effects and complications. Twenty-seven patients underwent talc poudrage between March 1991 and August 1995. The patients ranged in age from 18 to 77 years. Of the 27 patients who underwent the treatment, 18 had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ces, 2 had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ces, 4 had traumatic pneumothoraces, 2 had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and 1 had lung cancer. All patients had continuous air leakage with bullous exclusion technique using a Proximate RL stapler ("Ethicone) for the treatment of pneumothoraces. There were no talc- related deaths or infections. Complications included mild fever in 40.7 % (11/27), temporary elevation of hepatic enzyme in 14.8 % (4/27), and delayed moderate pain requiring analgesics in 11.1 % (3/27). There was no recurrence of air leakage or pneumothorax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mean 27 months. This study suggests that proper selection of patients and talc poudrage will result in effective treatment with low morb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