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 사회 검정교과서의 교과 역량 구현 비교분석 : 3-4학년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이바름,정문성 한국경제교육학회 2022 경제교육연구 Vol.29 No.3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conomic area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ich have been applied since 202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ases were presented differently or major activities were similar, but changes were attempted by supplementing and adding detailed activities, and some publishers organized the content order differently. As for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learning content confirmation, data comparison analysis, data survey, report preparation, discussion, simulation-role play, and other types were evenly balanced, but data comparison analysis was the most common, which seems to b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and economic areas. Although the subject competency had a lot of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in general, other subject competencies were also dealt with evenly.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meaning or distinction of competency i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so agreement on this is necessary. Only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and competencies is more detailed and systematized can the curriculum competency be considered and embodied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of diversification of textbooks, more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ext curriculum development and qualification standards.

      • KCI등재

        사회과 역량 평가 방안 연구 -사회과 교과 역량별 하위 평가 요소와 수준 설정을 중심으로

        이바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실효성 있는 역량 교육과 평가를 위한 구체적 대안을 사회과 교과 역량을 중심으 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역량 평가 방안은 역량의 의미, 역량의 요소, 역량의 수준, 역 량 평가 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역량의 의미는 무엇이고 어떠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지 실체를 정리하여 역량을 발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음 으로 역량 하위 요소 별 수준을 설정하여 역량이 단계별로 어떻게 발달해가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역량은 총체적, 단계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역량을 이루는 요소도 단계적으로 수준별 로 제시되어야 평가 결과에 따라 학생들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역량 평가 설계 시 고려사항을 토대로 역량 평가 설계 방법과 예시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동 안 역량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으나 구체적으로 역량이 무엇이고,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를 교육과 정 체제나 교수학습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평가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현장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pecific alternatives for effective competency education and assessment, focusing on social studies competency. The competency assessment alternatives covered in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1) meaning of competency, 2) element of competency, 3) level of competency, and 4) consideration when designing competency assessment. First, the substance of what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competency is and what elements are composed of was summarized. Therefore, we tried to find out what it was like to exercise competence in detail. Next, the level for each sub-factor of competency was set to present a standard for how competency develops step by step. Since competencies have overall and step-by-step characteristics, elements that make up competencies are also presented step by step. This is because only then can students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feedback according to the assessment results. Finally, based on the consideration when designing competency assessment, Competency assessment design methods and assessment examples were presented. Although the importance of competency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pecificall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plan that can be easily applied in the field, focusing not only on the curriculum system or teaching and learning, but also on the assessment of competencies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 협동학습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바름,정문성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구조가 개별·경쟁학습구조에 비해 다문화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협동학습은 수업의 민주화, 학습공동체로서 동료의 학습에 대한 사회적 책임, 학습자료원으로서 학생들의 활용, 구성원 재능의 발굴기회 극대화, 이질적 구성의 장점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협동학습의 경험이 학생들의 다문화 태도를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임의의 초등학교 5학년 60명을 실험집단, 55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설계를 하였다. 총 4주간 10회의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협동학습으로, 비교집단은 개별·경쟁학습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태도 총점수의 차이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영역 인지태도, 정의태도, 행동태도 중에서 행동태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업내용은 다문화와는 전혀 관계없는 내용이었다. 협동 학습은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행동을 통한 체험이 행동적 영역의 태도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추측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using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on multi-cultural attitude of prim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two classes(60)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and two classes(SS) of individual-competitive learning structure were selected. The subjects were 115 fifth grade primary students from Inchon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operative learrung structure class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ulticultural ettitudes of primary students, especially on actual domain. It means that positive interdependent experience of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affected positively on multicultural attitude in actual domain.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쟁점과 대안: 교육과정 문서의 체제와 진술 방식 및 용어를 중심으로

        이바름,조수진,설규주,강대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의 체제, 진술 방식 및 용어 관련 쟁점과 개선 방안을 일반사 회 영역을 중심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의 쟁점 및 개선 방안의 내용은 크게 과목 체제와 성격 및 목표, 교과 및 과목 내용 체계표의 구성, 성취기준과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유의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과목 체제와 성격 및 목표’와 관련해서 중학교 사회를 중학교 지 리와 일반사회로 분리하고, 교과 역량도 사회과 전체 역량과 더불어 일반사회 영역 역량을 재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중·고 사회과 목표도 사회과 전체 목표 하에 통합적 성격의 목표, 영역별 목표, 과목별 목표를 각각 제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교과 및 과목 내용 체계표 구성’과 관련해 서, 용어를 명확히 하고 별도의 기능 체계표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교과 및 과목 내용 체계표의 분리와 더불어, 주제 및 학습요소, 성취기준, 교과 역량 및 기능을 결합한 대안적인 내용 체계 표 양식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성취기준과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유의점’과 관련하여, 성취기준에서 사 회과 역량 및 기능을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목적어와 서술어를 조합하여 진술하거나, 내용 요소와 역량 및 기능을 다양하게 조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성취기준 진술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과 서 개발이나 검정 과정에서 교과서의 다양성을 저해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유의점은 교육과 정 문서에서 삭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과목 체제, 성격, 목표, 역량, 내용 체계표, 기능,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유의점 등과 관련한 쟁 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ssues and improvements related to the format, ways of describ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terminology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the social science domain. The issues and improvement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covered in this study are largely divided into those on: 1) subject system and nature & goals, 2) the composition of subject content structure, 3)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things to note in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First, in relation to the subject system and nature & goals, it is suggested to divid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to middle school geography and social science, and to establish social science competency as well as overall social studies competenc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goals should be presented as integrated goals, goals for each area, and goals for each subject respectively, based on the overall goals of social studies. Second, when it comes to the subject content structure, more clarified terms and a separate function structure are required. In addition to separating general subject and specific subject content structure, an alternative content structure is proposed that combines themes & learning elements, achievement standards, subject competencies & functions. Thir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things to note in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new ways of describing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considered to specify the related competencies and to use appropriate verbs for the objects to articulate social studies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5권 제1호 (2022) 24 competencies and function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hings to note in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hould be deleted from the curriculum document because they could decrease the diversity of textbooks . In conclusion, examining issues related to the subject system, nature & goals, competency, content structure, functions, achievement standards, the expla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he precauions of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s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 재밍 환경하에 Link-16 시뮬레이터 설계 및 시간 동기 유무에 따른 성능 분석

        이바름,정은경,최상호 에스케이텔레콤 (주) 2013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23 No.2

        본 논문에서는 Matlab Simulink를 이용하여 재밍 환경하에 전술데이터링크 (Link-16)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시간동기 유무에 따른 Link-16의 성능분석을 실시한다. 시뮬레이터는 CCSK (Cyclic Code Shift Keying) 데이터 심볼 변조 및 대역확산기, MSK (Minimum Shift Keying) 칩 심볼 변조기, Raised Cosine 필터, 주파수 도약 하에 항재밍 능력을 시험하는 재밍 모듈, 도플러 페이딩 채널 모듈, 시간 동기를 위한 timing recovery 모듈, 비트오율 점검기 등으로 구성된다. 전술용 데이터링크의 표준 채널모델인 two-ray 라이시안 도플러 페이딩 모듈을 채택하며 데이터 링크의 항재밍 능력 시험을 위해 톤 재밍, 펄스 재밍, 부분대역 잡음 재밍이 가능한 재밍 모듈을 설계 내장한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주요 채널 파라미터로 (비트 에너지/재밍잡음 스펙트럼 밀도), 재밍 대역, 도플러 주파수, k factor를 정의한다. 설계된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각종 재밍 환경 하에서 Link-16의 비트오율 성능분석을 실시하며, 시간동기 유무에 따른 시스템 성능의 비교로 전술데이터 링크의 재밍 생존성을 함께 시험한다.

      • KCI등재

        초등 사회 디지털 교과서 속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디지털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이바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4

        This study analyzed a unit covering digital cont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lementary social digital textbooks had the most elements of ‘understanding digital media’ and ‘access and util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de, there were many elements of ‘understanding digital media’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third year and the second semester of the fourth year.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ifth and sixth grades, there were many elements of ‘access and util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environment.’ It is noteworthy that the ‘response and participation related to digital society (media)’ were not mentioned in the curriculum, but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 and the elements of ‘digital information criticism’ or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additional activities in digital textbooks, even though neither the curriculum nor textbooks were presente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civic education, where critical approach and sovereign participation are important, and unlike book-type textbooks, digital textbooks can provide additional contents and are easy to effectively access a suitable digital environment. Nevertheless, the frequency of ‘digital content production’, ‘digital information criticism’, and ‘digital media-related response and participation’ was not high in both book-type and digital textbook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teachers use digital textbooks,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possible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more factors related to ‘digital information criticism,’ ‘digital content production’, and ‘digital media-related response and particip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provide systematic digital literacy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make digital literacy elements more specific and to sequence the content, scope, and methods.

      • KCI등재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이바름,정문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debate classes on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nd seek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a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206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s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ractice of the social studies debate class was difficult, but the necessity, importance, effectiveness, and student responses were positive. Second, primary school teachers dealt with many issues related to daily life of students,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historical evaluation, and subjects with low controversy, while secondary teachers tended to deal with social issues, human rights issues, and somewhat highly controversial topics. Third, in the debate class, the teacher preferred the neutral impartiality type and the committed impartiality type most and took the same tendency in the actual class. However,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sticking to one type, they were choosing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classroom situation.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s' positions in debate classes are changing, and there are various positions on the interpretation of fair participation and the desirable roles of teachers. Fourth, due to difficulties in conducting the discussion class, primary teachers felt a lot of pressure in preparing for the debate class, and secondary teachers perceived the ambiguity of securing class time and evaluation as the greatest difficulty than preparation. Fifth,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selecting controversial issues’ the difficulty of motivating students to participate, and the difference in level due to the difficulty of debate classes. Considering the teach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dea of debate class on social studies, it is likely to be further utilized in the futur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discriminatory alternative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by school level.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lternatives such as discovering curriculum-related debate topics, systematizing and validating standards, elaborat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accumulating and sharing teacher experiences to support the selection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are difficult for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인식조사를 통해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의 현황을 확인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초중등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의 실천은 어려우나 필요성, 중요성, 효과성, 학생의 반응은 긍정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초등교사는 학생들의 일상생활 관련 이슈와 역사적 평가 등 논쟁성이 낮은 주제를 많이 다루었으며 중등교사는 사회적 이슈와 인권 등 논쟁성이 다소 높은 주제를 다루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토론수업에서 교사의 입장으로 공정한 중립형과 공정한 참여형을 가장 선호하고 실제 수업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이나 하나 어느 한 가지 입장만을 고수하기 보다는 교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입장을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와 비교해볼 때 토론수업에서 교사 입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변하고 있으며 공정한 참여에 대한 해석, 교사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토론수업 진행 시 어려움으로 초등 교사들은 준비하는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으며, 중등교사는 준비보다 수업 시간확보, 평가의 모호함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토론수업의 어려움으로 논쟁문제 선정의 어려움, 학생 참여 동기부여의 어려움, 수준차이를 극복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태도를 고려한다면 앞으로 더욱 활용될 가능성이 많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학교급별 인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차별적 대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사들이 어려워하는 논쟁주제의 발굴, 평가 기준의 체계화, 타당화, 얻고자 하는 성취기준의 정교화, 교사경험들의 축적 공유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온라인에서 공유되는 역사 수업 자료 분석 연구-초등 5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이바름 ( Lee Bareum ),정문성 ( Jeong Moonse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4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초등학교 역사 수업자료를 목표, 내용, 방법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여 초등 역사수업이 어떤 양상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표집 대상은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인디스쿨의 사회과 5학년 역사수업자료 중 회원 추천 수 10회 이상 받은 것이다. 이는 실제 수업에 많이 사용되는 자료만 분석하기 위해서이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면에서 보면 Bloom의 행동목표분류에서는 이해하기와 기억하기가 가장 많았으며, 역사적 사고력에서는 역사적 이해력과 연대기 자료의 활용이 가장 많았고 나머지 행동목표와 역사적 사고력은 거의 활용하지 않았다. 둘째, 내용 측면에서는 시기별로 조선, 고려, 신라발해 등 최근 역사 순으로 활용되었고, 분야별로는 정치(전쟁), 사회, 문화예술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방법 측면에서는 수업단계별로 정리, 전개, 도입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적 골고루 활용하였다. 수업 활동 면에서는 설명자료, 활동 체험 자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생활동자료 면에서는 쓰기학습지가 대부분이었다. 수업자료의 형식 측면에서는 감각활동에서 시청각과 시각을 활용하는 자료가 많았으며, 모둠보다는 개인 활동 자료를 압도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자료형태는 학습지, 파워포인트, 동영상, 사진, 삽화를 골고루 활용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행동목표에서는 이해하기와 기억하기, 내용목표인 역사적 사고력에서는 역사적 이해력과 연대기 자료 활용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다른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의 개발과 공유가 필요하다. 둘째, 그 이유가 학생의 역사의식 발달의 문제인지, 자료의 한계인지를 분명히 밝히기 위해 수업자료는 물론 실제 수업방법을 함께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업자료 측면에서 너무 쓰기 위주의 활동에 치우쳐 있으므로 초등학생의 다양한 감각 활용과 몸으로 하는 활동이 많은 수업자료가 공유되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5th grade on-line historical teaching materials with instructional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and to suggest improvements of them. For this study, 131 materials of the 5th grade on-line historical teaching materials at the site for primary school teacher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10 recommending and analys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instructional objectives, `To understand(57.9%)` and `to memorize(23.2%)` have the most amount of the materials in behavior objectives, and `historical comprehension(67.5%)`and `Chronological thinking(18.9%)` have the most amount of the material in contents objectives, historical thinking standard. Second, in view of contents, `the Joseon Dynasty(39.8%)` is most, next comes `Korea(24.0%)`, `Silla-Balhae(12.3%)`, Third, in view of teaching method, `materials for explanation(60.0%)` and `student activities(39.5%)`,especially `writing activity` is 93.6% of them, are most amount of the materials in instructional activities. The findings show that higher order thinking objectives of historical education are rarely used and historical comprehension materials mostly used at the 5th grade on-line historical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and effort are needed. First, the study how to use the on-line historical teaching materials at real classroom situation is needed. Second, the on-line historical teaching materials to use instructional objectives more diversely is needed to devel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