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상근과 1980년대, 그리고 ≪아가 II≫

        이가영 ( Kayoung Lee ) 이상근기념사업회 2016 이상근 연구 Vol.2 No.-

        This study attempts to read Lee Sang Guen`s music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1980s of Korea. By considering the society of the 80s being one of the most turbulent eras of the 20th century of Korea, this study addresses various ways in which Lee reacts to, interact with, and engage this particular era. In particular, the study deals with Songs of song II written in 1988 with the text by Shin Dal Ja, focusing upon if these series of songs reflect the 80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of 80s to Lee`s thoughts in general, and to Songs of song II in particular, this study traces Lee`s writing in the course of 50s, 60s, and 70s, arguing that Lee`s ideas, in one way another, demonstrate the ideas of essentialism that lead him not to see Korean and western art music in a subjective, balanced way.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oward 80s, Lee appears to show his dissociation with the idea of essentialism. And this paper proposes that Songs of song II musically illustrates the kind of change that Lee underwent in the 80s.

      • KCI등재

        시판중인 불소 바니쉬의 불소이온 유리량 및 초기우식병소의 재광화 효과 비교

        이가영,이상호,이난영,지명관,Lee, Kayoung,Lee, Sangho,Lee, Nanyoung,Jih, Myeongkwan 대한소아치과학회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4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불소 바니쉬 제품의 불소이온 유리 능력을 측정하고 이와 함께 정량 광 형광기를 이용하여 치질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하고자 하는 불소 바니쉬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FluoroDose^{(R)}$ (FD, Centrix Inc., USA), $Enamelast^{TM}$ (EL, Ultradent Product Inc., USA), $Clinpro^{TM}$ white varnish (CW, 3M ESPE, USA), $CavityShield^{TM}$ (CS, 3M ESPE, USA), V $varnish^{TM}$ (VV, Vericom, Korea), MI $varnish^{TM}$ (MI, GC, Japan). MI $varnish^{TM}$와 V $varnish^{TM}$에서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p < 0.05) 반면 CS $varnish^{TM}$가 가장 낮은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을 보였다(p < 0.05). Subjects of this study were : $FluoroDose^{(R)}$ (FD, Centrix Inc., USA), $Enamelast^{TM}$ (EL, Ultradent Product Inc., USA), $Clinpro^{TM}$ white varnish (CW, 3M ESPE, USA), $CavityShield^{TM}$ (CS, 3M ESPE, USA), V $varnish^{TM}$ (VV, Vericom, Korea), MI $varnish^{TM}$ (MI, GC, Japan). The amount of fluoride ion release was measured eight times during 168 hours to see change in accumulation with the course of time using a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remineralization rate was measur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V $varnish^{TM}$ group and MI $varnish^{TM}$ group showed high remineralization rat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ce while $CavityShield^{TM}$ group was the lowest rate of remineralization (p < 0.05). After that, several chosen samples were scanned through electron microscope (SEM). Demineralized enamel was observed as the number of enamel crystal was very small; enamel rods and crystals were highly protruding. Remineralized groups with fluoride varnishes show the decreasing tendency of the surface roughness compared to the demineralized enamel.

      • KCI등재

        교회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음악과 음악가들 그리고 18세기 전반의 드레스덴 궁정

        이가영 ( Kayoung Lee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이화음악논집 Vol.20 No.4

        이 글의 관심은 18세기 전반부 드레스덴 궁정이라는 특별한 시간과 공간이며 이곳을 중심으로 펼쳐진 궁정의 음악문화이다. 이 음악문화의 재구성을 위해 이 시기 드레스덴 궁정을 대표하는 작곡가들, 예컨대 요한 크리스토프 슈미츠, 장밥티스트 볼루미어, 얀 다스마스 첼렌카, 요한 다비드 하이니헨 등의 삶과 음악을 추적하고 이들이 드레스덴의 음악문화를 어떤 모양과 방식으로 구축해나갔는지 기술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다양하고 역동적이면서 동시에 국제적인 당대 독일어권 음악문화의 중심지 드레스덴에 더욱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역설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upon the music and musicians of Dresden court at the first half of 18th century. During the period, the Dresden court w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exciting places of Germany. It employs som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mposers of the time, thereby exhibiting highly refined, sophisticated, and up-to-date musical culture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remaining German territories. By tracing the lifes of and works by Heinichen, Zelenka, Volumier, and Schmidt, I argue that the court creates a truly cosmopolitan place in which Italian opera, French drama, Lutheran and Catholic liturgical music intermingle from one another.

      • KCI등재

        맥클러리의 바흐 다시 읽기

        이가영 ( Lee Kayoung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5 No.-

        수잔 맥클러리(Susan McClary)는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의 음악학자 중 한 사람이다. 그러나 국내 음악학 담론에서 맥클러리의 논점에 관한 성찰이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 글은 그의 논점을 좀 더 섬세하게 들여다보고, 그것의 쟁점들을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를 위해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의 1악장과 관련된 맥클러리의 담론을 점검한다. 맥클러리의 연구내용과 방법론 등을 기술한 후 이 글은 맥클러리가 바흐가 남긴 원전자료와 더불어 18세기 초반 독일궁정의 음악문화, 그리고 그 안에서 고용인으로 활동하던 음악가들의 ‘정치적’인 삶, 당대 협주곡을 규정했던 장르의 틀, 당시 사용되던 다양한 종류의 악기들과 연계된 사회적, 음악적 역사와 전통을 간과하였음 지적해 나간다. 이러한 작업은 작품의 해석을 위해 재구성하고자 하는 맥락(context)의 범위, 성격, 정의 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남기고 있다. Undoubtedly, Susan McClary represent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influential musicologists of our time. Ever since she published her writings in the later part of 1980s, they have become the ‘classical’ literature in Western musicology. However, it appears that reflection on what she has achieved in the field has not received proper scholarly attention here in Korea. In turn,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nd examine her arguments on Bach’s Brandenburg Concerto, No. 5, 1<sup>st</sup> movement, focusing upon her analysis on the role and the music of harpsichord. By proposing that she leaves out important aspects of the work, namely, the source along with the mus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I suggest that her study is not able to fully illustrate the nature and the character of the piece.

      • KCI등재

        바흐와 그의 음악

        이가영(Kayoung Lee) 한국서양음악학회 2023 서양음악학 Vol.26 No.2

        최근 발표된 마이클 마리슨의 연구, “근대(성)에 반(反)하는 바흐”(“Bach against Modernity”)는 2010년 이후 서구의 바흐 연구에서 등장한 바흐와 근대성 담론을 혹평하면서, 작곡가는 근대가 아닌 전근대의 가치와 호응했던 인물이라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당대의 신학언어, 즉 당대의 루터교가 전근대적인 가치를 선포하고 수호하였고, 바흐는 이러한 루터교의 입장을 저항 없이 수용했던 전형적인 루터교인이라는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글은 마리슨의 주장, 즉, 바흐와 그의 음악이 전근대의 가치를 담고 있다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주장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논의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당대 루터교의 교리를 보다 넓은 신학적 맥락에서 설명하고, 바흐가 창작한 음악과 그것의 성격을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이 글은 바흐 담론에 등장한 바흐와 근대의 문제를 어떤 태도와 방식으로 바라보아야 할지 질문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current discussions about the notion of modern and premodern reflected in J. S. Bach and his works. In his recent article, “Bach against Modernity,” Michael Marissen argues that Bach’s close relation to the notion of modernity proposed by John Butt in his study, Bach’s Dialogue with Modernity, is wrongly formulated. Instead, Marissen claims that Bach and his music conveys pre-modern mentality and attitudes that adhere to the Lutheran theology of the time. This study examines Marissen’s arguments by focusing upon the theological langueges of the time, also examining the musical expressions that Bach set for his cantatas. After critically analyzing the theological as well as musical contexts of Bach’s cantatas, this paper leaves a question if the discussion about Bach in light of modernity is useful in order to apprehend the composer and his work.

      • KCI등재
      • KCI등재

        비만과 Endocannabinoid System

        이가영(Kayoung Lee)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07 중독정신의학 Vol.11 No.2

        The endocannabionid system (EC system) has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regulator of appetite and peripheral fat metabolism. Two cannabinoid receptors, named CB1 receptor and CB2 receptor were discovered. CB1 receptor is mainly expressed in the brain, especially in the hypothalamus, whereas CB2 receptor is expressed in immune cells. EC system modulates rewarding properties of food by acting at specific mesolimbic areas in the brain. EC system was recently shown to control metabolic functions by acting on adipocytes, hepatocytes, and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rough animal models. The antagonist of CB1 receptor, rimonabant has shown to be effective on weight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cardiometabolic factors in four large phase III clinical trials, and then may be as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related cardiometabolic status.

      • KCI등재

        바흐와 ‘정연한 교회음악’, 그리고 쾨텐 다시 보기

        이가영 ( Kayoung Lee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포럼 Vol.28 No.1

        이 글은 바흐의 쾨텐 시기를 논의의 중심에 두고 있다. 전통적인 바흐 담론은 바흐의 정체성을 루터교 교회의 칸토르로 규정하면서, 그의 삶과 작품이 이것을 향해 움직였다는 거대한 내러티브를 창안해냈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각이 과연 얼마나 타당한 것이지 질문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이 주목하는 것은 바흐가 남긴 1차 사료, 특별히 그가 1708년 뮐하우젠을 떠나면서 자신의 목표를 천명한 사직서에 주목한다. 이 글은 이 문서를 보다 다 큰 음악적, 문화적, 사회적, 신학적인 맥락안에 위치시키고 이것이 함의하는 바에 대해 논의한다. 이 글의 후반부는 쾨텐 궁정으로 초점을 이동시켜, 쾨텐은 어떤 도시였는지, 이 궁정의 성격은 어떠했는지 위 사직서에서 제시된 목표와의 연장 선상에서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 글은 바흐의 쾨텐 시기와 그것의 해석에 관한 새로운 의미의 결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Johann Sebastian Bach’s Köthen period, covering from 1708 to 1717. Bach studies have long characteriz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dentities of Bach as Lutheran Kantor, arguing that the composer’s life and music moved toward that particular career achieved in Leipzig. In turn, They tend to consider Bach’s Köthen period as secondary and transitory. However,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traditional perspective needs to be reconsidered.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sources and second literature within a larger musical, theological, social context, this study argues that Köthen period might have provided Bach one of the best environments in which he was able to pursue his own creative impulses with some of the best musicians available at the time.

      • KCI등재

        바흐의 ≪부활절 오라토리오≫: 전례음악과 드라마를 넘어서

        이가영 ( Kayoung Lee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 2021 음악이론포럼 Vol.28 No.2

        이 글은 바흐의 ≪부활절 오라토리오≫(Oster-Oratorium)를 논의의 중심에 두고 있다. 이 작품은 1725년 2월, 세속칸타타로 작곡된 이후 일련의 수정과정을 거치면서 1737년경 오라토리오로 재탄생한다. 이 글은 1730년을 전후한 바흐의 행적, 그리고 그가 남긴 원전자료들을 면밀하게 검토하면서, 작곡가는 어떤 방식으로 오라토리오라는 장르를 이해하고 있는지 추적해나간다. 당대의 오라토리오 정의, 보편적인 정의들에 기대어 바흐의 오라토리오는 어떤 음악적, 가사적 특징을 보이는지 분석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부활절 오라토리오≫가 ‘극적인 어떤 것’과 ‘신학적인 명상과 성찰을 요구하는 어떤 것’ 사이에 어떤 방식으로 놓여 있는지 고민하면서, 과연 작곡가가 상상하는 전례음악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질문하고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J. S. Bach’s Oster-Oratorium. After it was first conceived as a secular cantata celebrating the Duke of Saxe-Weissenfels in Feburary 25, 1725, it was parodied a few times, leaving two autograph copies of 1738 score and 1740 parts. By considering the musical as well as textual characters of the source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notion of oratorio appeared in the manuscript sourc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explores to the extent Bach’s Oster-Oratorium represents the dramatic features, showing resemblance to the contemporary opera. Finally, I argue that Bach’s Oster-Oratorium crystalizes Bach’s oratorio concept that leads to ask where to draw a clear line between the liturgical and non-liturgical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