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朴淳 詩의 道學的 側面에 대하여 ― 花潭學派의 특성과 관련하여 ―

        유호진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7

        Park Sun described the devastated royal court, fierce party strife, terrible disasters faced by talents, and hardship of the people via figurative satires to reveal his consciousness of distress and expressed his desire for the appointment of talents and the rule by a wise king to display his philosophy of governance. His consciousness wa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that Toigye(退溪) and Nammyeong(南冥) were oriented to in their attempts at the gradual changes of the world in their retirement in that he constantly confronted the confusing reality of politics and tried to realize his political ideal in reality. In Park's poems, clear and solid things make often appearances. Such clear things as the moon, water, and the crane, he expressed his direction towards a pure mind by purifying his desire. By depicting solid things such as cliffs and rocks along with clear ones, he implied that one could keep his or her pure mind with a firm and upright attitude to life. In addition, he pursued a poor but honest life and advocated labor. His poems depicting a life of labor are especially noteworthy as they show his practical mindset. His practical attitude stemmed from his viewpoint of valuing self-complacency in learning. Presenting his yearning for ideal governance, emphasis on the body and mind training, and desire for a unique ideal in life, his poems fully display his aspects as a moralist. In particular, his tendency toward Sagong(事功) demonstrated in his pursuit of ideal governance and his practical attitude in his ideal in life reflect the unique aspects of the Hwadam(花潭) School hard to find in the Toigye School and the Nammyeong School.

      • KCI등재

        조위(曹偉) 시의 천기묘출양상(天機描出樣相)과 그 의미 : 정신적 자유에의 지향을 중심으로

        유호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民族文化硏究 Vol.42 No.-

        본고는 成宗朝 士大夫 漢詩의 특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曹偉의 自然詩에 나타난 시적 특성과 정신적 지향에 대해 서술한 글이다. 조위의 자연시를 살펴보면 사물의 아름다움과 개성, 그리고 靈性을 주로 묘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그가 莊子가 역설한 사물의 天機를 注視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시인은 자연물상을 자연스럽고 편안하며 자유로운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특히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것들의 이미지를 빈번히 묘사하여 그가 사물의 자유로움에 주목하고 있으며 정신적 자유를 지향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정신적 자유에 대한 지향은 자연물과의 調和나 感應을 즐겨 시화한다는 사실에서 보다 뚜렷이 드러난다. 그에게 있어 자연물과의 조화와 감응은 자연생명과 교감하여 내면을 맑힘으로써 우주의 질서에 동참하는 것이어서 이를 통해 사물과의 대립은 해소되고 孤立的인 個我는 宇宙的인 自我로 확장된다. 이를 묘사한 시에 悅樂의 정서가 솟구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자연시의 창작은 宦路에서의 속박감과 인생에 대한 허무감, 그리고 형식상의 기교를 중시했던 당대 시단의 매너리즘에 대한 반성에서 촉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은 천기를 묘출한 시를 통해 당대 시단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고 미적 체험의 장을 확장시켰다. 한편 그의 시는 도학에 아직 침잠하지 않은 당대 신진사류가 노장사상에서 정신적 귀의처를 발견하기도 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This paper, for explaining the features of Chinese poetry of the gentry during Seongjong(成宗)'s reign, described poetic characteristics and mental intention represented Jowui'(曹偉)s poems which depicted natural things. His poems which depicted natural things shows that he seeks for the beauty and features of things and divine true character, which implies that the poet carefully looks at Cheongi(天機) of things Jangja(莊子) stressed. Accordingly, he encapsulates natural things by dividing them into a shape changing according to its life principle, a self-satisfying shape with leisure, and a free shape. Especially that he frequently depicts the image of the things which moves flexibly implies that he seeks for mental freedom. A longing for mental freedom shows more distinctly in that he enjoys representing harmony(調和) and sympathy(感應) with natural things. To him, the harmony and sympathy with natural things means participating in the order of the universe(道) by being in rapport with natural things and disclosing the inside, through which opposition to an object disappears and individual isolated self is extended to universal self. That is the reason his poems which depicted scenery are full of delightful emotion(悅樂). It can be said that such creation of natural poems was derived from restrictions in holding a government post, a sense of emptiness in life and reflection on the mannerism of current poetical circles. The poet inspired the poetical circles with new vitality through poems which depicted Cheongi and expanded the opportunity of an aesthetic experience. Meanwhile, his poems shows a fact that a mental longing was discovered through Taoism under a cultural atmosphere in which the current new scholars did not absorb Seongrihak(道學).

      • KCI등재

        李冑의 唐風 志向과 그 文學史的 意味

        유호진 동양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Lee Ju, a poet of the late 15th century, largely created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His pursuit for Tang poetry can be understood as resistance against Gangseo poetry style which had become concentrated on matters of rhetoric, discipline and the rule of the tone of Chinese characters. Lee Ju believed that the essence of poetry lies in the revelation of feelings and that poetry should imply various meanings through such revelation. Lee Ju expressed his frustration over the dismal world and sorrow over all withering things through poems. Furthermore, he showed willingness to restore the vitality of the universe and the essence of the pure mind by resisting the harsh world. That is, Lee Ju wanted to express true feelings that originated from the essence of the mind by creating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Lee Ju's poems began with the thorough denial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n gradually included the observation of lives in the universe and the cultivation of the mind. 이 논문은 鮮初 唐詩風 作家로 명성을 떨쳤던 李冑의 詩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주가 당시풍 시를 창작한 것은 15세기 후반 시단에 유행하였던 江西詩風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당대 시인들은 수사와 단련, 성률의 문제에 경도되어 시의 의미와 정감을 반복 재생산하는 매너리즘에 빠져 있었다. 이주는 스승 김종직의 시론을 계승하여 풍부한 의미와 정서를 담은 시를 창작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 끝에 唐詩風의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다. 이주의 시 창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세계와 인생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감성과 인식을 노래하였다는 점이다. 이점이 그를 盛唐詩人이라고 부르는 연유이다. 이주는 어두움과 차가움, 축축함의 이미지로써 陰濕한 세계를 주조해냈고 아울러 凋落의 이미지를 통해 소멸해 가는 만물을 형상화하였다. 그뿐 아니라 미소한 밝음, 따뜻함의 이미지를 통해 이 음습한 세계에 미약하게 남아 있는 생명의 기운을 암시하기도 하고, 소나무처럼 강인한 사물의 이미지로써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력, 즉 도덕적인 생명력에 대한 지향을 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들을 살펴보면 그가 혹독한 肅殺의 세계에 굳세게 저항하고자 하는 삶의 자세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생명력을 보존하려는 시인의 의식은 마음의 본체를 지키고자 하는 의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주 시에서는 맑게 정화된 마음과 여기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정감을 표출한 시들이 하나의 작품군을 형성한다. 특히 부모형제, 친구와 지인들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드러낸 많은 작품들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작품들에 절실한 정서가 유로되어 있다는 점은 그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정감을 주로 묘사하려 하였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를 통해 이후 사림 계열의 문인들이 관각문인들보다 당시풍 창작에 열의를 지녔던 까닭을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당시풍의 시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진실한 정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시 형식임을 발견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鄭 詩에 나타난 生命本質 및 生命欲求에 대하여

        유호진 동양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3 No.-

        On life essence and life desire indicatedin Jeongpo(鄭) poemsRyu Ho-jin*攀*Korea Univ. lecturer.攀攀 鄭의 詩에 대한 연구는 시인의 불우한 삶과 작품을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해석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작품에 나타난 이미지와 정서를 분석함으로써 정포 시의 高妙함과 아름다움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시인의 시에서 주목되는 이미지는 꽃빛산 등 생명력을 드러낸 이미지들과, 새길물 등 고요함을 상징하는 이미지들이다. 이들은 자연생명이 지닌 두 가지 생명본질을 시사한다.시인이 두 가지 생명본질 가운데 생명력에 더 주목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꽃의 이미지나 아름다운 여인의 형상을 묘사한 그의 개성적인 작품들이 생명력을 현시한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특히 시인은 남녀의 이별을 극화하여 순수한 사랑의 정감을 노래함으로써 인간의 생명욕구를 드러내었다. 또한 자연물의 생명력과 이를 관조하는 데서 오는 환희를 노래하여 자신의 생명욕구를 암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여인, 악기와 노랫소리, 자연경물 등을 묘사하여 그의 風流를 묘사한 시는 생명욕구 즉 생명력 회복에의 지향을 시화한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생명욕구가 세속적인 욕망과 구별된다는 점이다. 시인은 작품을 통해 생명본질인 고요함을 획득하였을 때 이러한 생명욕구를 온전하게 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요함은 ‘無思’로부터 비롯된다는 자신의 통찰을 전하였다. 결국 이러한 통찰은 시인의 시가 老子思想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는 노자사상의 영향을 받아 ‘利欲으로 얼룩진 세계’를 거부하고 자연스러운 생명욕구에 따라 사는 삶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栗谷 詩의 이미지 연구

        유호진 한국고전문학회 2007 古典文學硏究 Vol.31 No.-

        This paper, in view of the fact that most of Yulgok(栗谷) poems represent natural scenery, is intended to concretely disclose the theme of Yulgok poems through an analysis of its images. Yulgok sought his mental discord and truth through a symbol of 'a road', and implied a mental haven, which was intercepted from the turbidity of the world but simultaneously did not escape an ordinary life, through an image of 'home' and 'a pavilion(樓亭)‘. While Toigye(退溪) depicts a rising image of 'a hermit' and 'a bird', Yulgok depicts a rising image of 'a pavilion' ․'a tall tree'․'a mountain', which implies Yulgok's attitude trying to simultaneously embrace the pureness of an ideal world and the reality of the world. It is images of clear things which so frequently appear what more attention of Yulgok poems should be paid to. Yulgok, representing the washing action of clear things, shows his hope of purifying the mind. Especially, it is worth while to pay attention to a water image in that it represents purified mind. Its peculiar aspect is that it appears not 'tranquil water' but 'flowing water'. That is, his poems are represented through an image ‘water flowing with clear sound' or 'leaping or rolling water', emphasizing the clearness and active attribute. Considering the image of 'sound of Geomungo(琴)', 'a bead' and 'thunder' compared with the mind, the image of flowing water can be said to represent supernatural and vivid(靈活) mind. This is a characteristic of Yulgok Confucian poems. While Toigye depicts the an original shape of the mind in terms of 'tranquil water', Yulgok implied supernatural and vivid ability of the mind coping with all the things and objects in the image of 'flowing water' It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mental discord and attitude of positively coping with the reality that he emphasized such an active mental operation. 본고는 자연경물의 묘사로 일관하는 율곡 시의 특성에 유의하여,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율곡 시의 주제를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율곡은 ‘길’의 상징을 사용하여 정신적 방황과 진리에 대한 갈증을 암시하였다. 그는 또한 ‘집’과 ‘누정’의 이미지를 통해 세상의 혼탁함과 차단되어 있으면서도 일상의 현실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적인 공간을 형상화 하였다. 현실과 이상을 아울러 중시하는 율곡의 인생태도는 하늘을 향해 솟아 있으면서도 땅에 뿌리박고 있는 ‘누정’․‘교목’․‘산’의 이미지에 의해 확연히 드러난다. 퇴계가 하늘을 날고 있는 ‘신선’과 ‘새’의 이미지를 주로 묘사하였다는 점과 비교해 보면, 이상세계의 순수함과 지상의 현실을 동시에 껴안으려는 그의 태도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율곡 시에서 더욱 유의해야 할 것은 매우 빈번히 나타나는 맑은 것들의 이미지이다. 율곡은 흔히 시에 맑은 것들의 씻어내는 작용을 묘사하여 마음을 정화하고자 하는 자신의 願望을 드러낸다. 특히 물 이미지는 그러한 소망뿐만 아니라 정화된 마음의 상태를 현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것의 독특한 면모는 ‘고요한 물’이 아니라 ‘흐르는 물’의 이미지가 자주 등장한다는 데 있다. 율곡은 ‘맑은 소리를 내며 흐르는 물’ 또는 ‘튀어오르거나 구르는 물방울’의 이미지를 묘사하여 물의 맑음과 動的인 속성을 강조했던 것이다. 함께 나타난 ‘거문고 소리’, ‘구슬’ 및 ‘우레’의 이미지를 고려해볼 때, 이 ‘흐르는 물’의 이미지는 맑고 靈活한 마음을 표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율곡 도학시의 특색이 드러난다. 퇴계가 ‘고요한 물’의 이미지를 빌어 마음의 본체를 주로 묘사한 데 대하여 율곡은 ‘흐르는 물’의 이미지로 萬事․萬物에 대응하는 마음의 영활한 지각능력을 암시했던 것이다.

      • SCOPUSKCI등재

        NO 억제제가 허혈전처치의 심장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

        유호진,조은용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8

        허혈전처치(ischemic preconditioniiIE)의 허혈심장 보호효과와 그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citric oxide(HO)가 허혈전처치의 심보호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흰쥐 적출심장의 Langendorrr관류표본에서 실험적인 허할(30분)-재관류(30분) 손상을 유도하였고, 허혈전처치는 재관류손상 유도 전에 5분 허혈 - 5분 재관류를 3회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허혈심근 손상의 지표로 심수축기능 세질효소 유출 및 미세형태학적 변화를, 그리고 HO 합성 억제제인 L-HAME 를 투여하여 허혈전처치와 비전처치 허혈-재관류 심장들에서 손상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허혈- 재관류 심장에서 심기능의 저하및 세포질 유출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전자현미경상의 미세구조에서도 세포내 소기관 및 myofibril의 파괴가 관찰되 어 심근손상이 심함을 알 수 있었다. 허 혈-재관류에 의한 심 장손상은 허혈전처치를 시행한 허혈-재관류 심장에서는 현격하게 감소돼 심회복률이 77%로 증가하였 고 세포질유출도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미세소견에서도 세포구조가 비교적 잘 보존되었다. 허혈전처 치에 의한 심보호 효과에 NO가 관여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NO합성 억제제인 L-NAME를 투여하 여 허혈전처치를 시행하였다. 결과 L-UAME투여로 허혈전처치에 의하여 회복된 심기능 및 LDH유출 감소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고 허혈전처치에 의하여 비교적 잘 보존된 미세구조 역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허혈전처치는 세포수준에서 허혈심근의 재관류손상을 방지하며, NO합성의 증가가 횐쥐 적출 심장에서 허혈전처치에 의한 허혈심장 보호효과에 크게 기여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rotective effect of'ischemic preconditioning'on ischemid-reperfusion injury of heart has been reported in various animal species. but without known mechAnism in detail,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cardioprotective mechanism of ischemic preconditioning, we examined the effects of nitric oxide(UO) synthesis in preconditioned heart of rat The isolated hearts perfused by Langendorfr's method were ex- posed to 30min global ischemia followed by 30min reperfusion with oxygenated Krebs-Henseleit(K-H) sol- ution. Ischemic preconditioning was performed with three episodes of Sm n ischemia and Smin repeyfusion before the induction of prolong ischemia(30min)-reperfusion(30min). Ischemic preconditioning prevented the depression of cardiac function(left ventricular pressure .K heart rate) observed in the ischemia- reperfusion hearts and reduced the release of lactate dehydrogenase during the reperfusion period. On electromicroscopic pictures, myocardial ultrastructures wore relatively well preserved in isthemic preconditioned hearts. N6_nitro-L-arginine methyl ester(L-NAME) an inhibitor of L-arginine citric oxide pathway, was infused at a rate O.Smllmin In a dose of 10mg kg-1 before the initial ischemic preconditioning. neither the protection of cardiac function nor the reduction of LDH releAse in ischemic preconditioning hearts was altered in the presence of added L-NAME On ultrastructural finding, the preservation of morphology in ischemic preconditioning heart was not change by the pretreatment of L-UAME. The failure of the WO synthesis inhibitor to reduce t e effect of ischemic preconditioning may be related to be species specific in that NO may allot be the trigger for ischemic preconditioning in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