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李冑의 唐風 志向과 그 文學史的 意味 = Lee Ju's Pursuit of Tang poetry Style and the Significance of His Poem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6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Ju, a poet of the late 15th century, largely created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His pursuit for Tang poetry can be understood as resistance against Gangseo poetry style which had become concentrated on matters of rhetoric...

      Lee Ju, a poet of the late 15th century, largely created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His pursuit for Tang poetry can be understood as resistance against Gangseo poetry style which had become concentrated on matters of rhetoric, discipline and the rule of the tone of Chinese characters. Lee Ju believed that the essence of poetry lies in the revelation of feelings and that poetry should imply various meanings through such revelation.
      Lee Ju expressed his frustration over the dismal world and sorrow over all withering things through poems. Furthermore, he showed willingness to restore the vitality of the universe and the essence of the pure mind by resisting the harsh world. That is, Lee Ju wanted to express true feelings that originated from the essence of the mind by creating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Lee Ju's poems began with the thorough denial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n gradually included the observation of lives in the universe and the cultivation of the mi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鮮初 唐詩風 作家로 명성을 떨쳤던 李冑의 詩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주가 당시풍 시를 창작한 것은 15세기 후반 시단에 유행하였...

      이 논문은 鮮初 唐詩風 作家로 명성을 떨쳤던 李冑의 詩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주가 당시풍 시를 창작한 것은 15세기 후반 시단에 유행하였던 江西詩風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당대 시인들은 수사와 단련, 성률의 문제에 경도되어 시의 의미와 정감을 반복 재생산하는 매너리즘에 빠져 있었다. 이주는 스승 김종직의 시론을 계승하여 풍부한 의미와 정서를 담은 시를 창작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 끝에 唐詩風의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다.
      이주의 시 창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세계와 인생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감성과 인식을 노래하였다는 점이다. 이점이 그를 盛唐詩人이라고 부르는 연유이다. 이주는 어두움과 차가움, 축축함의 이미지로써 陰濕한 세계를 주조해냈고 아울러 凋落의 이미지를 통해 소멸해 가는 만물을 형상화하였다. 그뿐 아니라 미소한 밝음, 따뜻함의 이미지를 통해 이 음습한 세계에 미약하게 남아 있는 생명의 기운을 암시하기도 하고, 소나무처럼 강인한 사물의 이미지로써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력, 즉 도덕적인 생명력에 대한 지향을 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들을 살펴보면 그가 혹독한 肅殺의 세계에 굳세게 저항하고자 하는 삶의 자세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생명력을 보존하려는 시인의 의식은 마음의 본체를 지키고자 하는 의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주 시에서는 맑게 정화된 마음과 여기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정감을 표출한 시들이 하나의 작품군을 형성한다. 특히 부모형제, 친구와 지인들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드러낸 많은 작품들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작품들에 절실한 정서가 유로되어 있다는 점은 그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정감을 주로 묘사하려 하였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를 통해 이후 사림 계열의 문인들이 관각문인들보다 당시풍 창작에 열의를 지녔던 까닭을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당시풍의 시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진실한 정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시 형식임을 발견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규, "流配詩를 통해본 李冑의 意識志向" 인문과학연구소 34 (34): 399-420, 2007

      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제3판)" 지식산업사 1994

      3 전송열, "조선전기 한시사 연구" 이회문화사 2001

      4 김풍기, "조선전기 문학론 연구" 태학사 1996

      5 강혜선, "이주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학회 3 : 1998

      6 임형택, "이조전기의 사대부문학 in: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7 정경주, "성종조 신진사류의 문학세계" 법인문화사 1993

      8 이상훈, "망헌 이주의 시세계" 계명한문학회 8 : 1992

      9 정경주, "망헌 이주 시의 풍격과 사화 전후의 변모 양상" 한국고전문학회 7 : 1992

      10 李冑, "鐵城聯芳集" 경인문화사 1996

      1 이정규, "流配詩를 통해본 李冑의 意識志向" 인문과학연구소 34 (34): 399-420, 2007

      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제3판)" 지식산업사 1994

      3 전송열, "조선전기 한시사 연구" 이회문화사 2001

      4 김풍기, "조선전기 문학론 연구" 태학사 1996

      5 강혜선, "이주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학회 3 : 1998

      6 임형택, "이조전기의 사대부문학 in: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7 정경주, "성종조 신진사류의 문학세계" 법인문화사 1993

      8 이상훈, "망헌 이주의 시세계" 계명한문학회 8 : 1992

      9 정경주, "망헌 이주 시의 풍격과 사화 전후의 변모 양상" 한국고전문학회 7 : 1992

      10 李冑, "鐵城聯芳集" 경인문화사 1996

      11 李滉, 退溪集, "退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89

      12 申欽, "象村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13 洪萬宗, "詩話叢林" 아세아문화사 1973

      14 許筠, "許筠全集" 대동문화연구원 1975

      15 成俔, "虛白堂文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16 李睟光, "芝峯類說" 경인문화사 1970

      17 南孝溫, "秋江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18 嚴羽, "滄浪詩話校釋" 河洛圖書出版社 1979

      19 姜渾, "木溪逸稿" 민족문화추진회 1988

      20 "朝鮮王朝實錄 12 成宗實錄 5" 국사편찬위원회 1968

      21 文天祥, "文山先生全集" 상무인서관 1981

      22 金宗直, "佔畢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23 유호진, "15세기 詩壇의 動向과 成侃의 古詩 創作" 한국고전문학회 (33) : 291-33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