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로봇 프로그램 자동 생성

        서윤호,정덕호 한국경영과학회 1998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Robot task program is needed to control and manage a Robot without explicitly describing the robot program by user which includes commands, procedures, geometric and signal data in the detail level. To use the Robot task program, a computer system is required to convert the Robot task into the Robot program, which can be understood by the Robot. In this paper, the systemic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of explicit Robot programs (ERP) from task-level commands is described. Specifically, a 3-step procedure including Robot task decomposition, task synchronization and ERP generation is presented.

      • 제품설계 지원시스템 개발

        서윤호,박창규,김용태 한국경영과학회 2000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본 논문에서는 현재 연구 진행중인 인공지능을 이용한 제품설계 지원시스템의 일부를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 사회에서의 인간존엄의 문제

        서윤호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0 No.-

        ‘인간존엄’은 오늘날 현대법의 기초개념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점차 ‘포스트휴먼 사회’로 접어들면서 전통적인 휴머니즘에 기초한 ‘인간존엄’ 개념의 유효성이 다시금 철학적 성찰의 대상이 되고 있다. ‘포스트휴먼 사회에서의 인간존엄의 문제’를 다루는 이 글은 새로운 철학적 담론으로 나타나는 포스트휴머니즘에서 인간이해에 대한 새로운 성찰과 함께 현대법의 기초개념인 ‘인간존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포스트휴머니즘의 기본적인 입장과 포스트휴먼 사회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서 포스트휴먼 사회에서의 규범 논의의 기초를 이루는 ‘인간존엄’ 개념의 해체와 재구성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포스트휴먼 사회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휴머니즘 비판을 시도하는 포스트휴머니즘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바뀌는가? 현대법의 기초를 이루는 인간존엄 개념은 포스트휴먼 사회에서도 과연 유효한가? 포스트휴먼 사회에서의 규범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무엇인가? 이 글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을 시도하고자 한다. Human dignity is the basic concept of present-day modern laws. However, as modern society gradually enters the posthuman society, the validity of the aforementioned concept based on traditional humanism is again becoming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reflection. Drawing on the theme of The Problem of Human Dignity in Posthuman Society, this article, aims to deal with the problem of fundamental reflection on human dignity as the basic concept of modern law, with a new reflection on human understanding in posthumanism that appears as a new philosophical discourse.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basic position of posthumanism and the identity of posthuman society, It then examines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that forms the basis for discussing of norms in posthuman society. What is the identity of a posthuman society? How does human understanding change in posthumanism, which attempts to criticize traditional humanism? Is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which forms the basis of modern law, valid even in posthuman society? Finally, what is the basis of norms in posthuman society?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 KCI등재

        대학의 변화에 따른 교원의 지위와 대학의 자율성

        서윤호,전윤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60 No.-

        With the phenomenon of university corporatization, university restructuring in our current society is in full swing and the internal division of university faculties is being advanced. Until now, the status of university faculties has been governed by education-related laws such as the private school law and higher education law. However, these laws were legislated at a time when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ere on the path of continuous growth, so they are unsuitable for the current university situation, entering the period of university restructuring. Conventionally, the labor law has neglected the regulation of university faculties, while entrusting its legislative reform to the educational laws. As a result, the protection of university faculties during university restructuring is becoming significantly weaker than that of ordinary workers. Thus, to support or promote university restructuring, which is inevitable in response to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conversely, it is in the field of labor law necessary to actively include university faculties that face university restructuring as the objects of protection. At the same time, conversely, the legislative alternatives and disciplines suitable for university restructuring are being requested in education-related laws such as the private school law and higher education law.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posal for legislative improvement classified into liquidation-type university restructuring and survival-type university restructuring. For universities that are expected to encounter difficulty in normal management because of the accumulation of shortages regardless of misconduc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corporate dissolution incentives and the dismissal compensation for university faculties are balanced so that the university can be closed in an orderly manner wherein pain is shared fairly. To this end, various legislative supports must be sought, and the most crucial imperative is to quickly establish a social safety net for university faculties. At the same time, in the survival-type university restructuring that has a strong effect on the existence of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and the personal lives of university members, it is necessary for the university members to advocat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procedures of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o properly reflect their intentions. In particular, it is crucial to ensure that the university members actively participate in democratic decision-making in the course of department integration and abolition. 현재 우리 사회는 대학의 기업화 현상과 함께 대학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교원 내부의 분화가 촉진되고 있다. 지금까지 대학교원의 지위는 사립학교법이나고등교육법 등 교육관련 법령이 규율해 왔다. 그러나 이들 법령은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던 시기에 입법된 것이어서 대학구조개편기에접어든 현재 대학의 사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종래 노동법은 대학교원에 대한입법정비를 교육법령에 맡긴 채 그 규율을 등한시해 왔고, 그 결과 대학구조개편기에 대학교원의 보호가 일반근로자에 비해서도 취약한 정황이 뚜렷해지고있다. 그러므로 학령인구 감소에 수반된 대학구조개편기에 대응하여 부득이하게 요청되는 대학구조조정을 지원 내지 촉진하기 위해서는 노동법 차원에서도대학구조조정에 맞닥뜨린 대학교원을 그 보호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포섭하는 한편, 사립학교법 등 교육관계법령에서도 대학구조개편기에 적합한 입법적 대안과 규율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대한 입법개선안은 청산형 대학구조조정과 존립형 대학구조조정으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비위와 관련 없이 정원미달이 누적되어 정상적인학교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에 대해서는 법인해산장려금과 교원에대한 면직보상금이 균형 있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당사자들이 공평하게 고통을 분담하는 질서있는 폐교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입법적 지원이 모색되어야 하는 바, 그 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대학교원에대한 사회안전망을 서둘러 갖추어 나가는 것이다. 동시에 대학 및 학과의 존립과 학내 구성원의 신변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존립형 대학구조조정에 대한대학본부의 의사결정 과정과 절차에 대해서 학내 구성원의 의사가 적절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그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권을 서둘러 마련할 필요도 있다. 특히학과통폐합의 과정에서 교원들의 민주적 의사결정 참여보장은 매우 중요하다.

      • 고차 발란서를 이용한 선박 거주구 능동 진동 제어

        서윤호,김성훈,주원호,배종국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11

        Active vibration control by a vibration compensator has become popular due to effective vibration reduction and immediate countermeasure of high vibration. General vibration compensator is operated by using constant control phas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 Even if the constant control phase can reduce the vibration level over a part of the operation range, the vibration compensator may increase the vibration level over the other part of the operation range.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calculate optimal control phase from an additional accelerometer was developed. The method is a kind of system identification methods from two test excitations. By using the method, the vibration compensator can reduce the vibration level over all operational range regardless of loading conditions and propeller speeds. During the sea trial of the container carrier, the new method is validated to be able to reduce the vibration level by 90% in maxim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