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편측성 다낭포성 신이형성증 (Unilateral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의 임상 경과

        유지형,육진원,김지홍,김병길,한상원,김명준,Yoo Ji Hyung,Yook Jinwon,Kim Ji Hong,Kim Pyung-Kil,Han Sang Won,Kim Myung Jo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4 No.1

        목 적 : 다낭포성 신이형성증(multicysticdysplastickidney)은 소아기 낭포성 신질환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출생아 4,300명중 1명에서 나타나는 신장의 선천성 기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다낭포성 신이형성증으로 진단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소견과 자연경과를 분석하고 그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 1월부터 2000년 1월까지 14년간 세브란스 병원에서 다낭포성 신이형성증으로 진단된 환아 57명을 대상으로 임상기록을 토대로 하여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추적관찰은 6개월 내지 1년마다 복부 초음파를 시행하여 낭포의 크기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는 모두 57명이었고 남아가 28명, 여아가 29명으로 성비는 1:1이었으며 병변 부위는 좌측이 27례($47\%$),우측이 30례($53\%$)이었다. 초음파 소견상 반대편 신장은 36례($63\%$)에서 정상이었고 수신증이 12례($21\%$), 대상성 비대가 7례($12\%$), 단순 낭종(simple cyst) 1례, 중복신우(bifid pelvis) 1례 있었다. 신장 핵의학 검사는 40례($70\%$)에서 시행하였고 모두 병변이 있는 쪽의 신장 기능이 전혀 없었다. 배뇨성 방광요관 조영술은 31례($54\%$)에서 시행하였고 반대편 신장에서 방광요관 역류가 2례($3.5\%$)에서 있었다. 추적관찰 기간은 평균 18개월(1-108개월)이었으며 6개월 후 초음파를 시행한 경우는 26례이었고 이중에서 크기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는 13례, 크기가 작아졌던 경우는 12례, 크기가 커졌던 경우는 1례 있었다. 1년 후 초음파를 시행한 경우는 13례였고 크기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는 9례, 크기가 작아졌던 경우는 4례이었으며 2년 후 초음파를 시행한 경우는 7례였고 크기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는 4례, 크기가 작아졌던 경우는 3례이었다. 3년 후 초음파를 시행한 경우는 9례였고 크기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5례, 크기가 작아겼던 경우가 4례이었으며 4년 후 초음파를 시행한 경우는 3례이었고 모두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5년 후 초음파를 시행한 경우는 3명이었고 모두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수술적 치료를 받았던 경우는 20례($35\%$)로 반복적 요로 감염, 암종과의 감별, 복부 팽만 등이 이유였고 이중 18례에서 신적출술을, 2례에서 근피적 신장루 조성술을 시행받았다. 37례($65\%$)에서는 특별한 치료없이 주기적으로 외래 추적관찰을 하였다. 결 론 :편측성 다낭포성 신이형성증의 대부분은 산전 초음파에서 신장의 이상이 발견되며 주기적인 외래 추적관찰 한 결과 5년 이내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가 $40\%$이었고 나머지도 모두 신부전으로 이행하는 예가 없이 신기능이 잘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어 수술적 치료보다는 주기적인 추적관찰이 요구되며 비교적 예후는 양호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반대편 신장 기능의 이상 여부에 따라 예후가 좌우되므로 본 연구에서도 $37\%$에서 이상 소견을 보여, 다른 동반되는 기형유무는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MCDK is regarded as a common cause of abdominal masses in children. And the presentation of the MCDK is usually a unilateral flank mass in the a newborn. Bialteral disease results in either fetal demise or necessity fer renal replacement therapy at birth. This study is designed to assess the clinical features and natural history of the unilateral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Patients and Methods: From January 1987 to January 2000 data were obtained retrospectively on 57 patients (28 boys and 29 girls, age ranged 1day-11years) who had a diagnosis of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The diagnosis of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was confirmed by a combination of ultrasonography and radionuclide scan. Voiding cystourethrogram study in 31 patients were done to determine the condition of the contalateral kidney. Restllts: $84\%$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before birth by antenatal ultrasonography Clinical manifestations of children with postnatal diagnoses were palpable abdominal mass($3.5\%$), abdominal distension($17\%$), and incidental($10.5\%$). The abnormalities in contralateral kidney were hydronephrosis($21\%$), compensatory hypertrophy($12\%$), simple cyst($2\%$), bifid pelvis($2\%$). Surgical management was performed in 20 patients($35\%$) due to recurrent infection, for diagnostic purpose to differentiate from malignancy and abdominal distention. Follow-up in the remaining 37 patients continued (mean 18 months) and results of sonogram findings were involution change in 23 patients($40\%$) and no interval changes in 13 patient($23\%$). Conclusions : The apparent tendency to regression of the dysplastic kidney and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mplications justify a conservative management rather than operative intervention except in associated severe complications such as urinary tract infection or rupture of cysts.

      • SCOPUSKCI등재

        분절성 괴사성 공장염(Segmental necrotizing jejunitis) 1례

        유지형,김효신,김제우,정기섭,한석주,김호근,Yoo, Jee-Hyung,Kim, Hyo-Shin,Kim, Je-Woo,Chung, Ki-Sup,Han, Suk-Joo,Kim, Ho-Ku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2

        Segmental necrotizing jejunitis is characterized by severe abdominal pain of acute onset, bilious vomitings and foul smelling loose stools containing blood. Pathologic features include circumferential intestinal wall inflammation ranging from edema with minimal congestion to severe congestion, hemorrhage with necrosis, ulceration, and gangrene with perforation. Early diagnosis and suitable supportive measures prevent unnecessary laparatomy and complications. There was no report of this disease entity in children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segmental necrotizing jejunitis with fever, abdominal pain and bloody stools, which was diagnosed by exploration and was treated successfully by antibiotics and supportive measures. 분절성괴사성공장염은 소아에서 주로 발생되는 드문 질환으로서 복통, 구토 및 혈변을 일으키고, 공장에 괴사성병변을 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금식과 적절한 항생제투여로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절제술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1년 11개월된 여아로 내원 1주일 전부터의 발열, 복통, 구토와 혈변을 주소로 입원하여 치료하던 중 병세가 호전되지 않아 시험개복술과 함께 장간막임파선생검을 시행한 결과 분절성괴사성 공장염으로 확진된 환아 1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베체트병 환자에서 발생한 길랑-바레 증후군 1예

        유지형 ( Jihyung Yoo ),김낙민 ( Nak Min Kim ),성우경 ( Wookyung Sung ),명진철 ( Jin Cheol Myeong ),윤수아 ( Su A Yun ),이동규 ( Dong Kyu Lee ),임미경 ( Mi Kyoung Lim ),신동혁 ( Dong Hyuk Sheen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22 No.4

        베체트병에서 말초 신경계 침범은 아주 드물게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베체트병 환자에서 갑작스러운 근육 위약감이 발생하여 진행하는 증상과 신경전도검사에서 확인된 길랑-바레 증후군을 진단하였고, 약물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됨을 경험하여 문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Behcet’s disease (BD) is a multi-systemic inflammatory disease of unknown origin that affects nearly all organs including the nervous system. Although the neurological involvement is less frequent than other major presentations, i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produce severe disabilities. Peripheral nervous system manifestations are relatively rare in BD. Although few cases of peripheral neuropathy or myopathy have been reported in BD, they are cases of multiple neuropathies, sensorimotor peripheral neuropathy, or neuropathy autonomic dysfunction. Guillain-Barre syndrome (GBS), also known as an 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is an acute demyelinating polyradiculopathy of uncertain etiology. No case of GBS associated with BD in Korea has been reported. Herein we report on a patient of BD who suffered from weakness of extremities and was diagnosed as GBS. (J Rheum Dis 2015;22:246-249)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

        유지형(Yoo Ji Hyung),문혜련(Moon Hae L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유치원 5곳과 어린이집 10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434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12.0K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정,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과몰입군과 고위험 사용환경군, 과몰입 고위험군이 31.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유아에서 약 3분의 1정도가 스마트폰 과몰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둘째,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에서 5분의 1정도의 유아들이 과잉행동과 충동성, 부주의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3개 요소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과 과몰입 증상 하위요인(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과몰입 증상 총점 모두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유아에게 미치는 유해성을 부모와 유아가 인지하고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general inclination of five-year-olds in terms of their extent of smartphone over-immersion,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and analyzes differences in these behaviors by the children’s gender. The objective i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For the research, 434 five-year-olds from five private kindergartens and 10 public children’s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surveyed. SPSS 12.0K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extent of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found out that 31.6% of the children fell into a group of smartphone over-immersion, a high-risk group of smartphone usage environment, or a high-risk group of smartphone over-immersion, indicating that about one-third of the all children were exposed to the risk of smartphone over-immersion. Second, one-fifth of all children showed symptoms of hyperactivity, impulsivity or inattention. These behaviors varied by children’s gender, and boys showed higher extent of these behaviors than girl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r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and found out that children’s smartphone usage environment, sub-categories of over-immersion symptoms(abnormal developmental symptoms, excessive seeking, stick to usage), and a total score of over-immersion symptoms all ha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children’s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In conclusion, we found out that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through which parents and children can be more aware of harms of excessive smartphone usage on children, and form a healthy habit of using smartphone.

      • 장소 찾기 과정에서의 장소 정보 특성에 관한 연구

        유지형(Jihyung Yo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우리는 어떻게 장소를 찾는가? 즉 우리에게 장소는 어떻게 획득되는가? 인간은 주어진 환경 안에서 어떤 행위를 할 때, 그 주변 공간을 감각하고 인지하며 공간에 대한 지식을 획득한다. 그러나 장소를 찾는 것과 장소 획득을 동일시한 과거의 일반적 이해는 이제 그 범위가 더 넓어져야 할 것 같다. 디지털 시대의 장소 획득은 "어떻게 장소를 찾을 것인가?"라는 질문에 "어떻게 장소 정보를 찾을 것인가?"라는 질문을 더해야 제대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디지털 기기의 보급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디지털 지도를 사용하고 있는 지금, 장소는 공간에 대한 감각과 지각만이 아니라 그 공간에 대한 적절한 검색으로 획득된다. 모바일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장소 정보는 증가했지만, 그럼에도 모바일 사용자들은 그들의 목적행동 성취를 위한 적절한 장소를 찾는 일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문제는 장소 정보의 증가 정도에 비할 때, 그 장소 정보와 장소 탐색 과정에 대한 적절한 질적 이해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장소 정보의 사용과 관련하여 본 연구가 문제를 제기하고, 타당한 제안을 하려 기획한 지점은 이 지점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모바일 환경에서 장소를 찾는 과정을 관찰하고, 사용자의 목적 행동에 부합하는 "최적의 장소 찾기"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How do we find a place? We can obtain spatial knowledge by sensing and recognizing surrondings when we do act in the environment. In past, we indentified finding a place with obtaining a place. However, we should extend the range of such understanding of place-finding. In digital era, obtaining a place can be explained by adding a question "How do we find place information?" to "How do we find a place?". In the age of digital mobile devices, places are not obtained only with senses and cognitions of space, but also with appropriate searches of it. Place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has increased rapidly, however, mobile users spends much time searching for a place to achieve their behavioral goal. Ye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qualitative understandings of place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place searching in comparison to the degree of increase of plac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observes the process of searching a place in mobile environment and discovers how the "optimal place searching" of mobile users for achieving their behavioral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