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배경, 가정 내 의사소통 방식,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

        유백산,김경근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3

        Drawing on first-fourth wa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background, family communication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s vary by students’ gender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parents’ SES level, the more likely the family is to engage in open communication. In addition, students who are able to develop a proper sense of entitlement and social skills by engaging in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re found to have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have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bootstrapping test exhibit that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re significant mediators of the effect of parents' SES on academic achieveme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style exists in a different form for parents' SES, and this can in turn lead to an achievement gap between social classes. From this finding, policy measures are proposed to mitigate the achievement gap between social classes.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생의 가정배경, 가정 내 의사소통 방식,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가정배경,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 부모의 교육기대, 학생-교사 관계, 자아효능감,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부모-자녀 간에는 보다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가정 내에서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부모와 자유롭게 대화함으로써 권리의식과 사회적 기술을 적절히 체득할 수 있는 아동들이 교사와의 관계가 더 원만하고 자아효능감이 높으며 학업성취도 뛰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매개효과 검정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세 가지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민감도 분석에 의하면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정 내 의사소통→학업성취 경로에서의 매개효과만 비교적 강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다집단 분석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이 성별에 구애받지 않고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계층 간 의사소통 방식에서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대안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정배경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양식이 학생-교사 관계 및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유백산(Yu, Baeksan),신수영(Shin, Suye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4

        본고는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가정배경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양식이 학생-교사 관계 및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가설과 문제를 수립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부모-자녀 간에 개방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수준은 학생-교사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이렇게 강화된 학생-교사관계는 직업포부수준에도 유의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목도되었다. 이 과정에서 가정의 SES→개방적 의사소통→교사관계 그리고 개방적 의사소통→교사관계→직업포부수준 사이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가정배경 수준에 따라 부모-자녀 사이의 의사소통양식이 상이한 양상으로 존재하며, 이것이 계층 간 자녀의 성취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 내 의사소통양식에 따른 청소년들의 성취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언하였다.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styles on teacherstudents relationships, and occupational aspirations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parents’ SES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s were. In addition, the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 affected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and this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Furthermore, the Sobel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 w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effect of parent’s SES on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There were also indirect influences of the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 on occupational aspiration through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exists in a different form when it comes to parent’s SES, and this can lead to an achievement gap between classes. From this finding, several policy measures have been proposed to mitigate the gap between youth achievement levels.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상경험 및 임원경험을 중심으로

        유백산(BaekSan Yu),황여정(YeoJeong Hwa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비교과영역 성취에 대한 관심은 대입에서 이를 주요 전형요소로 활용하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되면서 추동된 측면이 없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영역 성취를 반영하는 다양한 지표들 가운데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가장 광범하게 적용되는 지표인 임원경험과 교내ㆍ외 수상 경험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이들 영역에서 성취를 거두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교 재학 중 임원을 지낼 가능성에는 학업성취도, 자아효능감, 부모-자녀 관계,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 및 지원,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고교 재학 중 교내ㆍ외 수상여부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학업성취가 우수하고 독서향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주지교과 수상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타 영역 수상의 경우에는 교사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비교과영역 성취 역시 기존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유사하게 학생들이 지닌 문화자본이나 가정 안팎의 사회자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영역 평가를 도입한 본래 취지를 구현하려면 비교과영역 성취를 포착할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다양화하고, 가정배경과 같은 요인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의 지원을 확대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awards records, as identified by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ng a student’s potential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officials for leadership assessment in the wake of the expansion of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high GPA, self-efficiency, parent-child relationship, a higher level of parental support and interes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o the experience of officials. On the one hand,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an award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has somewhat distinction depending on inside and outside school or the awards field. Generally, however, while key subjects are affected by high GPA and reading enjoyment, in the case of the others, reading enjoy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in the restricted exten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plays a relatively important ro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hievement in extra-curriculum fields is not irrelevant to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as are academic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value of diversification of awards field, readership assessment and the school-based extended support.

      • KCI등재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층을 중심으로

        백병부,유백산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4년제 대졸 청년층을 대상으로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편입학을 중심으로 구명하였다. 아울러 대기업 정규직으로 대변되는 입직단계와 직무할당에 따른 임금수준 모두를 노동시장 성과로 고려함으로써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입직단계에서 편입학은 대학 서열이 통제된 상태에서는 대기업 정규직 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첫 직장에서의 임금수준과 관련해서는 편입학이 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기업내부에 차별적인 보상시스템이 존재하며, 편입학 경력은 일종의 유리천장(glass ceiling)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벌 프리미엄을 노린 무분별한 편입학보다는 기회비용을 고려한 합리적인 편입학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그릿이 아동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임혜정,유백산 어린이재단 2021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1 No.-

        본고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 초4패널 1, 2차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들의 그릿 수준와 주관적 웰빙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수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아동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해왔으나 그릿의 개념을 아동의 웰빙 증진 가능성과 연계시킨 실증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수준에서 수집된 대표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고정효과 모형을 적용, 주관적 웰빙 지표를 국제적 척도 기준에 맞춰 다각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그릿-흥미유지와 삶의 만족도 그리고 그릿-노력지속과 학교만족도와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된 결과는 누락변수 편의에도 일정 부분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그릿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적기에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그릿 증진방안을 제안하고 가정 및 지역사회지원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Despite the growing concerns about child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n many developed nation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grit influences child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relied on a single measure of child well-being such as life satisfaction or happiness based on cross-sectional analyses. To address these issues, we rely cm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2019).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 multi-level school fixed-effects model framework employing various measures of well-being. We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hild grit-interest and life satisfaction, and grit-effort and school satisfaction. Moreover, tile observed findings are robust to unobserved confounding.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interventions promoting child grit in the contexts of classroom instruction, family, and local district.

      • KCI등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매개과정과 상호작용효과

        김진영,유백산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2

        성인이행기의 직업포부는 향후 사회경제적 성공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데, 한국사회에서 이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해 일정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다섯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이러한 부모의 다양한 지위가 고교 3학년 학생의 직업포부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확인하고, 그러한 관계를 매개하거나 조절하는 요인으로 부모의 교육기대와 자녀 학업성취의 역할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패널 4차년도와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력, 직업지위, 소득수준이 자녀의 직업포부, 자녀에 대한 교육기대 그리고 학업성취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회적 지위와 자녀의 직업포부의 관계가 부모의 교육기대와 학업성적에 의해 실질적으로 매개되고 있음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셋째, 아버지의 학력과 자녀의 학업성취는 자녀의 직업포부를 증폭시키는 상호작용효과를 보였고,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자녀의 학업성취는 자녀의 직업포부에 대한 상호대체적인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