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

        원정애,백성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관점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5, 6학년 18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일련의 정교화된 도구들을 이용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은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기도 하지만, 각기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교, 심미적인 측면, 과학, 사회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자연에 대한 관점 형성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과학교육자들이 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과학교육과정과 다른 교과의 교육과정과의 관계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ews about nature were searched. The participants were 18 students of fifth grade and sixth grade. Data were collected via semi-structured interviews involving a set of elicitation devices used to encourage students to talk about their views about nature.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1)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diverse views. and common views about nature. (2) Their views about nature we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religion, aesthetical aspect, science, society, and so on. So when science educators construct science curriculum, they must consider these factors. (3) It is necessary to be concerned about the relations between science curriculum and others.

      • KCI등재

        산과 염기 및 중화반응에 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개념에 대한 연구

        원정애,곽재란,박용남,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acid-base, neutralization reaction dealt with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college of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to the viewpoints of Arrhenius, Brønsted-Lowry, Lewis based on the science histor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viewpoints of science history and 6 senior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In-depth interviews followed the questionnaires. As results,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acid-base were not concrete with mixing various definitions. There was only one pre-service teacher who had correct acid-base and neutralization reaction conceptions with Lewis defin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ho could not adopt Lewis definition into acid-base conceptions thought that Lewis definition was hard to stud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But the pre-service teachers who could adopt Lewis definition thought it is possible to teach Lewis definition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levels and their judgement of teaching possibility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이 중등과학교육과정과 대학과정에서 다루는 다양한 산과 염기와 중화반응의 개념을 과학의 발달 순서인 Arrhenius 정의, Brønsted-Lowry 정의, Lewis 정의 중 어떤 정의로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발달한 정의를 포함한 설문지를 개발하고, 4학년 예비교사 6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를 투입한 후에 그 결과를 토대로 2차례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산과 염기 개념은 다양한 정의가 혼재되어 명확하지 않았고, 중화반응과 산과 염기 개념을 일관성 있게 Lewis 정의로 적용하는 예비교사는 한 명 밖에 없었다. Lewis 정의를 적용하지 못한 예비교사는 중등학생들에게 Lewis 정의를 지도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Lewis 정의를 적용할 수 있었던 예비교사들은 Lewis 정의를 지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의 사고 수준과 중등학생들을 지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내용이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7차 과학교육과정에 제시된 용해, 빛, 전기 단원의 초등학교, 중학교 교과서 및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을 통한 내용 구성의 문제점 분석

        원정애,이은경,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8 敎員敎育 Vol.24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and investigated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dissolution, light, and electricity unit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55 middle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 Eight elementary school students, 4 middle school students, 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3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mong the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analyzing textbooks showed that in elementary school it was emphasized observing phenomenon through the experiments, while in middle school it was emphasized calculating by the formulae or graphs. But we couldn't find the differences of the scientific concepts introduced for explaining phenomena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there was no emphasis of scientific concept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s didn't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ven though they had been continued to learn the contents relative to dissolution, light, and electricity uni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hat science contents were repeated by the grade. So we found that the spiral curriculum were lacking in deepening and expanding of contents, and especially how to present contents wasn't suitable to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level. Finally, we recognized that students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eachers were difficult to teach the contents of science. So we thought that it needed to study about proper connecting scientific concepts within science curriculum and about adequate methods for embodying spirits of 7th science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서 개발된 용해, 빛, 전기 단원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이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연구 대상자들은 초등학생 204명과 중학생 155명이었다. 이들 중에서 초등학생 8명과 중학생 4명, 초등교사 5명과 중학교 과학교사 3명을 선발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실험을 통한 현상의 관찰을 강조한 반면, 중학교에서는 공식이나 그래프 등을 도입한 계산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하는 개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들은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용해, 빛, 전기 단원에 관련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배움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학생들의 성취도가 초등학생들의 성취도보다 높지 않았다. 그리고 중학생들은 과학 내용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반복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선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내용의 심화 확장이 부족하며, 특히 내용 제시 방법이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에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과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하고 교사들은 이를 가르치기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따라서 과학교육과정 안에서 과학 개념을 적절히 연계하기 위한 연구와 7차 과학교육과정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타인의 감정, 바람,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한국 아동의 이해

        원정애,송현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others' emotions, desires and prosocial behaviors. Adults and children(4-, 5-, 6-year-olds) were asked to indicate the protagonist's feelings(happy, sad, or "just okay") after listening to a series of six stories. The stories varied on (1) whether the protagonist's desire was fulfilled and (2) whether the protagonist shared a desired object with the other story character. Both adults and children reasoned that the protagonist would be happier when her/his desire was fulfilled than when her/his desire was not fulfilled. When the protagonist's desire was fulfilled, both adults and children attributed more positive emotions to the protagonist who shared her desired object with someone else than to the one who did not share her desired object. When the main character's desire was not fulfilled, children, but not adults, fail to reason that sharing behaviors could be related to feeling less of negative emotions. The results demonstrate children's understanding that others' emotions can be affected by others' prosocial behaviors as well as others' desires.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타인의 감정과 바람,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성인 18명(실험 1)과 만 4세, 5세, 6세 아동 66명(실험 2)에게 행위자의 바람이 충족되는지 여부, 행위자가 바람의 대상을 타인에게 양보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여러 이야기를 들려준 후 행위자의 감정이 어떨지(기쁜지, 나쁜지, 그냥 그런지)에 대해 예측하게 하였다. 성인, 아동 모두 행위자가 바람이 충족되었을 때에 바람이 충족되지 않았을 때보다 더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양보를 했을 때에 양보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더 긍정적인 감정을 느낀다고 추론했다. 성인의 경우 바람이 충족되었더라도 양보를 하지 않은 경우 양보를 한 경우보다 덜 긍정적인 정서를, 바람이 충족되지 않았더라도 양보를 한 경우에는 양보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덜 부정적인 정서를 행위자가 느낀다고 보고하였다. 5세, 6세의 아동들은 양보 행동을 하지 않고 바람이 충족된 경우보다 양보 행동을 하고 바람이 충족된 경우 더 긍정적인 감정을 예측하였다. 하지만 바람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양보 행동 여부가 감정 추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의 감정이 바람뿐만이 아니라 친사회적 행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적어도 만 5세, 6세의 아동들도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중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

        원정애,백성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는 중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관점 중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과 그러한 관점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56명의 중등학생들이 참여했고,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이 설문지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 중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 중에는 자연은 알 수 없다는 인식론적 관점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관점의 근원은 자연의 규칙성과 조화, 예측 가능한 자연 현상, 자연 현상의 순환 과정이나 인과 관계,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등으로 매우 다양하였다. 중등학생들의 존재론적 관점에는 초자연적인 관점이 가장 많았다. 존재론적 관점들 중에서 학생들의 초자연적 관점은 그들의 신학적 측면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과학이 다루는 세상이면서 동시에 과학의 대상물이 존재하는 물질세계인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은 학습자가 과학 학습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한 바탕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앞으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과 그들의 과학 학습 과정 사이의 관련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searched second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and ontological views about nature and the root causes of such their views. The subjects were 156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data were gathered b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As a result, many secondary school students had epistemological views of unknowable nature. There were various root causes of their epistemological views such as regularity and harmony of nature, predictable and circular natural phenomenon, causation,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On the other hand, a lo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had ontological view of supernatural nature. Their religious beliefs were very powerful influence their supernatural ontological views. The nature is the object of science and the physical world. Because those views supply science educators basic backgrounds how leaners understand science class, second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and ontological views are precious information.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study relations between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and ontological views and their science class processes.

      • KCI등재

        6학년 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 관련 요소들과의 관계 분석

        원정애 ( Jeong Ae Won ),백성혜 ( Seoung Hey Paik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1 초등과학교육 Vol.30 No.3

        Prior research has reported that student epistemological beliefs might affect their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ixth grade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ir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ce and factors related their learning. For this research questions, 245 six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and various test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Students answered two types of questionnaires on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ce and three test instruments on factors related students` learning(achievement in science, science inquiry skills, and cognitive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larg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lieved that the purpose of science to perform activities like simple experiments. A lot of students believed that scientific knowledge was changeable according to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hat scientific knowledge could be learnt on their own. Also, many students believed experiment results to be basis on which to form personal scientific conceptions. Second, students who believed in more modern epistemology about science represented higher levels of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science inquiry skills, and cognitive levels. Therefore, when developing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ors need to consider how to develop student modern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ce.

      • 학습자의 과학 개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세계관에 대한 이론적 연구

        원정애 ( Jeong Ae Won ),백성혜 ( Seong Hey Paik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5 No.1

        이 연구는 학습자 개인과 그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는 학습자의 세계관이 과학교육에서 가지는 의미와 세계관 연구의 필요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이론적 연구이며, 주로 문헌 자료에 의존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세계관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있지만, 과학교육에서 세계관이란 사회·문화적 영향 속에서 학생들이 과학의 대상인 자연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고, 인식할 때 그 방향을 결정해 주는 자연에 대한 근본적인 믿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학습자의 세계관은 과학 수업에 가지고 오는 선개념과 오개념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에 저항적인 학습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 수업에 관여하는 학습자, 교사, 과학교육과정의 세계관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노력은 학습자의 세계관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 개발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needs of investigating about world view and the meaning of world view that are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is a kind of theoretical studies, so it depends on literatures mostly. There are many definitions about world view. But world view in science education could be defined as the fundamental belief that determine the way how students think, feel, comprehend about nature within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tudents` world views have influence on their pre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that they use in science classes. And world view has the need of studying because world views help that science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characteristics about conceptual change. Students, teachers and science curriculum that are related to science classes, so each of their world views has to investigate by science educators. Such researches might giv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are developed according to students` world view charact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