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간암환자의 정위적 방사선치료시 복부압박장치의 유용성 평가

        우중열,김주호,김준원,백종걸,박광순,이종민,손동민,이상규,전병철,조정희,Woo, Joong-Yeol,Kim, Joo-Ho,Kim, Joon-Won,Baek, Jong-Geal,Park, Kwang-Soon,Lee, Jong-Min,Son, Dong-Min,Lee, Sang-Kyoo,Jeon, Byeong-Chul,Cho, Jeong-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2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4 No.2

        목 적: 간에 발생한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및 전이성 종양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정위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기 위해 사용된 복부압박장치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토모테라피(Hi-Art Tomotherapy, USA)를 시행받기 위해 본원에 내원한 간암환자 중 복부압박장치(diaphragm control, elekta, sweden)를 사용하였을 때 움직임이 1 cm 이상 줄어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4D CT (somatom sensation, siemens, germany)를 통해 치료계획영상과 4차원 단층촬영영상을 촬영하고, 육안적으로 보이는 종양과 종양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육안적 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GTV)으로 설정하였고, GTV 주변으로 균일하게 5~7 mm의 여유를 주어 치료계획용 종양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으로 설정하였다. 손상위험장기(organs at risk) 중 십이지장, 위, 대장의 거리가 종양으로부터 최소 1 cm 이상인 환자들을 1군($d{\geq}1$)으로, 1 cm 미만인 환자들을 2군(d<1)으로 분류하고 각각 4~5회의 정위적 방사선치료와 20회의 방사선치료를 계획하였다. Mega-voltage computed tomograpy (MVCT)와 kilo-voltage computed tomograpy (KVCT)를 일차적으로 골격구조셋팅(bone-technique)으로 융합(fusion)한 뒤, 이차적으로 간을 보며 영상을 재조정 하였다. 치료 후 얻은 MVCT 영상을 영상변형이 가능한 Mim_vista (Mimsoftware, ver. 5.4 USA)로 보내고, 간을 비교하여 다시 묘사(delineate)하고, 손상위험장기 중 십이지장, 위, 소장, 대장을 합쳐서 대장장기(bowel_organ)로 정의하여 다시 묘사하였다. 보정방사선 치료계획시스템을 통하여 보정영상의 치료계획 선량과 보정된 선량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치료 시작일부터 각각 1군($d{\geq}1$)은 4회, 2군(d<1)은 10회까지의 MVCT와 KVCT간의 영상 융합을 통한 셋업오차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보정영상에서 종양 즉, GTV, PTV의 치료계획선량과 보정선량의 3%의 선량차이를 나타내는 체적($V_{diff3%}$)과 5%의 선량차이를 나타내는 체적($V_{diff3%}$)을 비교하였고, 손상위험장기 중 대장장기의 최대선량의 차이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MVCT를 통해 분석한 평균 셋업오차는 $-0.66{\pm}1.53$ mm (좌-우), $0.39{\pm}4.17$ mm (상-하), $0.71{\pm}1.74$ mm (전-후), $-0.18{\pm}0.30$ degrees (roll)였다. 1군($d{\geq}1$)과 2군(d<1)의 셋업오차는 유사하였다. 1군($d{\geq}1$)에서 보정방사선 치료계획을 통한 $V_{diff3%}$ 중 GTV는 $0.78{\pm}0.05%$, PTV는 $9.97{\pm}3.62%$, $V_{diff5%}$ 중 GTV는 0.0%, PTV는 $2.9{\pm}0.95%$, 대장장기의 최대선량의 차이율은 $-6.85{\pm}1.11%$였다. 2군(d<1)에서 $V_{diff3%}$ 중 GTV는 $1.62{\pm}0.55%$, PTV는 $8.61{\pm}2.01%$, $V_{diff5%}$ 중 GTV는 0.0%, PTV는 $5.33{\pm}2.32%$, 대장장기의 최대선량의 차이율은 $28.33{\pm}24.41%$였다. 결 론: 복부압박장치를 통한 간암의 방사선치료시 MVCT를 통한 환자 셋업오차는 평균 ${\pm}5$ mm 이하였고, 복부 압박장치를 사용하고 투시영상을 통해 확인한 횡경막의 움직임이 최소 5 mm 이상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환자 셋업오차는 그 안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군($d{\geq}1$)과 2군(d<1)에서 GTV, PTV의 선량차이율은 오차범위 안에 있었고, 1군($d{\geq}1$)과 2군(d<1)의 대장장기 최대선량의 차이율은 최대 35% 이상의 차이를 보였고, 1군($d{\geq}1$)이 2군(d<1)보다 오차범위 Purpose: We evaluated usefulness of abdominal compressor for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 with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patients and hepato-biliary cancer and metastatic liver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November 2011 to March 2012, we selected HCC patients who gained reduction of diaphragm movement >1 cm through abdominal compressor (diaphragm control, elekta, sweden) for HT (Hi-Art Tomotherapy, USA). We got planning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and 4 dimensional (4D) images through 4D CT (somatom sensation, siemens, germany). The gross tumor volume (GTV) included a gross tumor and margins considering tumor movement.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included a 5 to 7 mm safety margin around GTV. We classified patie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istance between tumor and organs at risk (OAR, stomach, duodenum, bowel). Patients with the distance more than 1 cm are classified as the 1st group and they received SBRT of 4 or 5 fractions. Patients with the distance less than 1 cm are classified as the 2nd group and they received tomotherapy of 20 fractions. Megavoltage computed tomography (MVCT) were performed 4 or 10 fractions. When we verify a MVCT fusion considering priority to liver than bone-technique. We sent MVCT images to Mim_vista (Mimsoftware, ver .5.4. USA) and we re-delineated stomach, duodenum and bowel to bowel_organ and delineated liver. First, we analyzed MVCT images to check the setup variation. Second we compared dose difference between tumor and OAR based on adaptive dose through adaptive planning station and Mim_vista. Results: Average setup variation from MVCT was $-0.66{\pm}1.53$ mm (left-right) $0.39{\pm}4.17$ mm (superior-inferior), $0.71{\pm}1.74$ mm (anterior-posterior), $-0.18{\pm}0.30$ degrees (roll). 1st group ($d{\geq}1$) and 2nd group (d<1) were similar to setup variation. 1st group ($d{\geq}1$) of $V_{diff3%}$ (volume of 3% difference of dose) of GTV through adaptive planing station was $0.78{\pm}0.05%$, PTV was $9.97{\pm}3.62%$, $V_{diff5%}$ was GTV 0.0%, PTV was $2.9{\pm}0.95%$, maximum dose difference rate of bowel_organ was $-6.85{\pm}1.11%$. 2nd Group (d<1) GTV of $V_{diff3%}$ was $1.62{\pm}0.55%$, PTV was $8.61{\pm}2.01%$, $V_{diff5%}$ of GTV was 0.0%, PTV was $5.33{\pm}2.32%$, maximum dose difference rate of bowel_organ was $28.33{\pm}24.41%$. Conclusion: Despite we saw diaphragm movement more than 5 mm with flouroscopy after use an abdominal compressor, average setup_variation from MVCT was less than 5 mm. Therefore, we could estimate the range of setup_error within a 5 mm. Target's dose difference rate of 1st group ($d{\geq}1$) and 2nd group (d<1) were similar, while 1st group ($d{\geq}1$) and 2nd group (d<1)'s bowel_organ's maximum dose difference rate's maximum difference was more than 35%, 1st group ($d{\geq}1$)'s bowel_organ's maximum dose difference rate was smaller than 2nd group (d<1). When applicating SBRT to HCC, abdominal compressor is useful to control diaphragm movement in selected patients with more than 1 cm bowel_organ distance.

      • KCI등재

        Re-Irradi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linical Applicability of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이동수,우중열,김준원,성진실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6 Yonsei medical journal Vol.57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the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DIR) method is clinically applicable to the safe delivery of re-irradia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10 and March 2012, 12 eligible HCC patients received re-irradiation using helical tomotherapy. The median total prescribed radiation doses at first irradiation and re-irradiation were 50 Gy (range, 36–60 Gy) and 50 Gy (range, 36–58.42 Gy), respectively. Most re-irradiation therapies (11 of 12) were administered to previously irradiated or marginal areas. Dose summation results were reproduced using DIR by rigid and deformable registration methods, and doses of organs-at-risk (OARs) were evaluated. Treatment outcomes were also assessed. Results: Thirty-six dose summation indices were obtained for three OARs (bowel, duodenum, and stomach doses in each patien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types of DIR methods (rigid and deformable) in terms of calculatedΣD (0.1 cc, 1 cc, 2 cc, and max) in each OAR. The median total mean remaining liver doses (MRLD) in rigid- and deformable-type registration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or all cohorts (p=0.248), although a large difference in MRLD was observed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atial liver volume change between radiation intervals. One duodenal ulcer perforation developed 20 months after re-irradiation. Conclusion: Although current dose summation algorithms and uncertainties do not warrant accurate dosimetric results, OARs-based DIR dose sum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he re-irradiation of HCC. Appropriate cohort selection, watchful interpretation,and selective use of DIR methods are crucial to enhance the radio-therapeutic ratio.

      • 치료방사선사의 직무에 의한 신체손상(근골격계 증상)에 관한 연구

        이병철,조정희,신동봉,우중열,박재일,Lee, Byung-Chul,Cho, Jung-Hee,Shin, Dong-Bong,Woo, Jung-Yeol,Park, Jae-Il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4 大韓放射線治療技術學會誌 Vol.16 No.1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아직까지 시행되지 않은 치료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방사선치료사의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부위와 유병율, 위험요인을 파악하는데 기초 자료로서 삼고자 함이다. 첫째, 치료 방사선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알아본다. 둘째, 치료 방사선사의 업무 특성에 따른 목, 어깨, 허리, 팔, 손/손목, 다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대한 호소 실태를 알아본다.(유병율) 섯째, 치료 방사선사의 직무상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요인을 파악한다. 넷째, 치료 방사선사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관리 대처방안을 도출한다. 대상 및 방법 : 조사연구대상자는 2003년 현재 대한방사선치료학회에 등록된 회원중 서울지역의 6개 병원에 근무하는 치료방사선사(약 10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다. 가. 설문지 측정도구로서 설문지를 이용하며, 설문지의 내용은 치료방사선사의 일반적인 특성인 "연령, 성별, 총 근무 연수, 작업부서, 1일 평균 근무시간, 1일 평균 휴식 시간, 1일 평균 환자 수, 운동여부 근골격계 자각증상인 "목, 어깨, 허리, 손목, 등, 손가락 등" NIOSH의 정의에따라 산업안전공단에서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된 설문지를 이용한다(산업안전공단, 2002). 나. 자료 수집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위치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방사선치료사로 2003년 9월 한달동안 자료를 수집한다. 우선 20명의 방사선치료사를 대상으로 2003년 8월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예비조사를 시행하여 객관성과 타당도를 검증한 후 설문문항을 재구성한다. 설문지의 한다. 자료 수집 방법 우편발송을 통한 조사로 발송전 전화를 이용하여 조사목적과 작성방법을 설명한 후 발송한다. 결과 : 전체 대상자 72명중 50명($69.5\%$)이 근골격계증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근골격계증상이 없다고 한 대상자는 22명($30.5\%$)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증상율이며 증상완화와 예방대책의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52명의 근골격계 증상자중 목 부위를 호소하는 중상자는 22명($33.3\%$), 어깨 부위는 24명($33.3\%$), 팔 부위는 9명($12.5\%$), 손 부위는 10명($13.9\%$), 허리 부위는 25명($34.7\%$), 다리/발 부위는 23명($31.9\%$)로 호소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치료 방사선사는 목, 어깨, 허리, 다리/발 부위가 대체적으로 $30\%$가 넘는 근골격계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증상이 직무와 관련된다고 대답한 군은 목 부위는 24(18)명 $75\%$, 어깨 부위는 24(17)명 $70.8\%$, 손 부위는 9(7)명 $77.8\%$, 팔 부위는 10(9)명 $90\%$, 허리 부위는 25(23)명 $95\%$, 다리/발 23(20)명 $87\%$로 증상이 직무와 상당히 높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증상의 요인이 직무와 관련된 부분에서 치료방사선사들은 하루 평균이상 걷는 양 24명($33.3\%$), block 및 block mount 19명($27.5\%$), 환자 이동 및 부축 22명($31.9\%$), 환자 치료용 device 5명($7.3\%$), eletron cone 10명($14.5\%$), wedge 6명($8.7\%$), cassette사용 4명($5.8\%$), computer 사용 10명($14.5\%$)로 대답하였다. 결과로 보아 치료방사선사들은 하루 평균이상 걷는 양과 환자의 이동 및 부축이 근골격계 증상이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았다. 결론 : 가. 6개 병원 종합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musculoskeletal symptoms in Radiological Technologist who working in present department more than 1 year. Standardized questionnaire of NIOSH and organized questionnaire for 재rk-related musculoskeletal was to 72Radiological Technologist, employed in 6general hospital in Seoul in September, 2003. The symptom preval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neck ($33.3\%$), shoulder ($33.3\%$), arm($12.5\%$), hand($13.9\%$), spine($34.7\%$)leg/knee/foot ($31.9\%$), arm/wrist/hand ($16.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