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생의 그릿(Grit)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우영지(Woo, Young Jee),김나래(Kim, NA-R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에서는 그릿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1월 중순 2주가량 설문수집 전문업체를 통해 국내 전국소재 전문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이 이루어졌다. 설문은 그릿(흥미의 지속성, 노력의 꾸준함),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한 질문으로 구성되어있다. 분석된 자료는 전문대학생 261명(남: 112명, 여 149명)의 응답 자료로,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하위 요인 중, 흥미의 지속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상관 및 직접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그릿의 또 다른 하위 요인 중, 노력의 꾸준함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그릿 중 노력의 꾸준함이 대학생활적응으로 가는 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djustment to college. For the study, 261 students (male: 112, female: 149) from colleges in Korea were tested for grit(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collected data verified the hypothesis by correlationa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Grit, the consistency of interes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dicating no medium effect. Second, among other sub-factors of Grit, it was found that the perseverance efforts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part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to college. Through this stud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teady effort of college students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adapting to college life.

      • KCI등재

        기혼 여성의 성공적인 임신과 생애적 건강관리에 대한 질적 연구 : 근거이론 접근

        우영지(Woo, Young Jee),김동식(Kim, Dongsik)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여성연구 Vol.93 No.2

        본 연구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동안 양적이고 단편적으로만 연구되어 왔던 여성의 생애적 건강관리가 임신 성공에 이르는 과정의 다양한 경험과 그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하나의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도출해 내고 총체적인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19세~44세이며 최근 5년 이내 임신, 출산 계획, 준비, 경험이 있는 여성 중 대상자를 모집하여, 최종 만28~39세 20명을 연구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으로 분석하였고, 이 과정에서 21개 범주와 51개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혼 여성들이 원하는 시기에 성공적으로 임신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임기에 접어드는 청소년기부터 여성 개인을 포함한 가족(배우자)과 지역사회 및 국가 수준에서 다양한 노력과 지원이 유기적으로 지원될 필요가 있고, 이를 통해 지적, 신체적, 심리적으로 임신의 준비도를 높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연구자들이 이와 관련한 연구모형을 수립할 때 변인들 간의 관계를 설정할 근거 및 방향에 대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general theoretical model through finding not only variou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attaining a successful pregnancy but various factors related to a successful pregnancy by using a Straus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We conducted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20 married women aged 28-39 years old who are planning a baby or had a baby in the last five years. The interview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at consists of open, axial and selective cording in sequence. We found that the organic efforts and supports for all women of childbearing age at the individual, family and regional/national levels were required in order to help them to attain a successful pregnancy when they want. We also parsed out that their intellectu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egnancy preparation should be improved for a successful pregna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provides researchers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ccessful pregnancy and life-course approach a guide for the evidences and directions when they establish the related research model.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자기자비,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속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김나래(Kim, NA-Rae),우영지(Woo, Young J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자기자비와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 직렬다중매개모형(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COVID-19 유행 시기)에 취업 준비를 한 이들(4년제 대학 졸업 예정 및 졸업자)을 대상으로 설문이 이루어졌다. 총 356명(남: 178명, 여: 178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는 SPSS 26과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최종 연구모형인 직렬다중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아탄력성이 이중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낮으면, 자신에 대한 자비와 수용적 태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자아탄력성에도 영향을 주게 되므로, 궁극적으로 취업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tests a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which self-compassion and self-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ck of patience with uncertainty and job-seeking stres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who prepared to get a job in 2020 (During COVID-19 pandemic). A total of 356 people (178 for men and 178 for women)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Studies have shown that the final research model,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is support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elf-compassion and self-resilience played multiple mediation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stress. Low tolerance for uncertainty lowers self-compassion, which affects resilience. As a result, it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eeking stress ultimately.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자아동과 어머니가 지각하는 리듬체조 매력에 대한 개념도 연구

        강주희 ( Ju Hee Kang ),우영지 ( Young Jee Woo ),윤용진 ( Yong Jin Yoo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6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7 No.2

        Purpose: This study has two purposes; (a) to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rhythmic gymnastics’ attractiveness factors perceived by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and (b) to discus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ttractiveness factors. In this study, a concept-mapping method was used for a research methodology. A concept-mapping method is useful in that it can deal wit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ssues and compensate limitations. A concept-mapping method enables researchers to directly explore the frame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nd/or ideas, rather than to explore those frames based on researchers’ hypotheses or direction of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collected data (original N=10/10) from female rhythmic gymnastics students and their mothers. Al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children at the age between 8 and 11, who have been learning rhythmic gymnastics more than 12 months in Seoul, South Korea. This study collected participants’ statements using an open-ended survey. Among total of N statements, 51 of the children’s statements and 49 of the mothers’ statements were confirmed through a clarification proces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urposes of the study. A concept map of rhythmic gymnastics’ attractiveness was derived as a result. Test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and mother groups presented 5 and 3 clusters, respectively, on a two-dimensional axis diagram.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attractiveness factors of rhythmic gymnastics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and their mothers. The tested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both academia and instructional method. The results would be a basic reference source for developing measurement scale for testing rhythmic gymnastics students’ pleasure and interest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could be applied to design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rhythmic gymnastics, and developing various programs.

      • 건강정책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과 향후 과제 :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김동식(Dongsik Kim),동제연(Cheyon Tong),우영지(Youngjee Woo),정지원(Jiwon Jeo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 연구의 배경 - 세계보건기구는 ‘젠더(gender)’를 건강의 중요한 사회적 결정요인으로 보고, 젠더불평등은 건강불평등(health inequality)의 원인임을 강조함 - 젠더와 건강불평등 연구의 부재는 국가건강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추진하도록 하는데 충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 - 한정된 자원으로 국가건강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책 대상(성별·생애별)을 명확히 해야 하며, 또한 정책의 결과가 형평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불평등의 요인을 정책에 반영해야 함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이하 HP)은 우리나라 건강증진정책의 큰 방향을 제시하는 중장기 계획으로 건강수명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음. 그러나 건강영역마다 설정된 세부 과제 및 관련 성과지표에서 성별 구분이 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최근 통계에서 청·장년기 인구집단의 흡연율과 음주율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거나, 여성의 경우 더 높아지고 있고, 건강한 신체활동 및 영양섭취는 상대적으로 다른 생애들 보다 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의 젠더와 생애를 고려한 건강생활실천 연구는 주로 청소년기와 중·노년기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많았음 - 본 연구는 건강정책 분야 중 건강증진, 그 안에서 건강생활실천 영역에 초점을 두어 여성과 남성의 생애별 불평등 정도와 그 원인을 심층분석하여 HP를 비롯한 국가 건강정책의 방향 설정에 젠더적 접근 필요성과 이를 고려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연구목적 - 첫째, 현행 건강생활실천 관련 정책사업을 성별·생애로 구분, 전반적인 현황과 함께 정책적 특성 및 사각지대를 파악하고자 함. 아울러 해외의 건강생활실천 관련 정책사례를 제시하고, 그 시사점을 얻고자 함 - 둘째, HP 건강생활실천 영역의 주요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성별·생애별 추이 및 그 특이점을 평가하고자 함 - 셋째, 일반 국민대상 건강생활실천 실태를 파악하고, 여성과 남성의 생애별 건강생활실천의 차이와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함 □연구방법 - Ⅱ, Ⅲ장: 문헌 고찰 ·국내외 건강생활실천과 젠더 관련 선행연구 중심으로 고찰 ·국내 건강생활실천 소관부처인 보건복지부 및 추진기관인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정책사업 계획 및 보도자료 등 검토 - Ⅳ장: 2차 자료 분석 및 검토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2006~2015년) 분석 및 기존 결과 재구성(*일부 지표에 대해 한국복지패널자료(2006~ 2015년),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2004~2014년) 자료 분석) ·HP 건강생활실천 성과지표 중 1~4차 지속 지표이면서, 분석 가능한 지표를 분석 대상 지표로 선정(성인 12개, 청소년 9개) ·성별과 생애별(청소년, 청년, 장년, 중년, 노년) 추이 분석 - Ⅴ장: 실태조사 분석 ·15~59세 일반 남녀 국민 2,000명 대상 건강생활실천 실태조사 실시 ·건강생활실천에 있어 성별·생애별 차이와 특이점 파악을 위해 설문지 개발 및 구성 ·2016. 8 ~ 9 웹조사 실시 Ⅱ. 건강생활실천과 젠더 관련 선행연구 고찰 □ 선행연구 고찰 목적 - 흡연, 음주, 신체활동 및 영양에 대한 생애별 특이점과 이에 대한 성별 차이와 그 원인을 살펴보기 위함 - 건강생활실천 각 영역을 생애별로 구분하여, 성별 차이 원인으로서 젠더 역할과 규범에 초점을 둔 주요 선행연구들을 선정, 이를 고찰함 □ 소결 - 선행연구들을 종합할 때, 생애마다 흡연과 음주, 신체활동 및 영양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실천의 차이를 보이며, 이는 생애의 독특한 현상인 것도 있지만, 생애간의 전이성 및 연계성도 강조함 - 특히 여성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 및 영양섭취에 있어 해당 국가 및 지역 내 전통적 성역할과 여성다움 등 젠더 규범에 의해 본인(여성, 소녀)들의 건강생활실천 행위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 받는데, 이는 남성(소년)과는 다른 점임 - 젠더 규범에 대한 이해와 그에 근거한 젠더적 접근(gender approach)은 생애별 여성과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금연 정책, 절주/금주 정책, 건강한 신체활동 및 영양 정책의 내실화를 가져와, 궁극적으로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This study is to suggest gender approaches and improvements in setting up national health policies including Health Promotion Policy by do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extents of men and women s lifetime inequality in healthy life practic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approaches as follows. First, it understood characteristics of policies related to the healthy life practices and their blind areas as well as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olicies by dividing them by gender and lifetime. Second, it evaluated progress and features between men and women in gender and lifetime perspectives based on major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healthy life practices in Health Plan(HP). Third, it grasped the actual state of affairs regarding the general public s healthy life practices and analyzed differences and causes of the healthy life practices between men and women. A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on awareness, attitudes and practices towards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by gender and age. In particular, unlike men,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a traditional gender role and gender norms which emphasizes feminity to women in a country or a region where women live. Understanding on the gender norms and the gender approach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can contribute to maximizing substantiality of the policies for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targeting men and women at every stage of their life cycle. In reviewing the current national health policies on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by lifetime, it was found that the policies for adolescent focused on prevention while the policies for middle and old aged people concentrated on treatments. However, the policies for young and middle-aged people had lack of both prevention and treatments in comparison to the policies for those two groups. For this reason, the study found that the healthy life practices of the young and middle-aged people were more vulnerable or more at risk than people in the other stages of the life cycle. Above all, the policies for the women have been almost absent considering the present condition that the most of policies for women s healthy life practices were limited to pregnant wome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HP2030 as follows. First, during establish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HP2030 should build gender indicator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researches with gender approaches and lifetime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are needs to develop indicators which can explain discriminative features appeared in men and women from a gender perspective. Third,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or establish policies for the young and middle aged people who are the more vulnerable group in the healthy life practices than the other stages of life cycle with taking demands by gender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Validation of the Korean Contextual Career Supports and Barriers

        Ki-Hak Lee(이기학),Youngjee Woo(우영지),Eunjoo Yang(양은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Lent, Brown, Brenner 등 (2001)이 개발한 맥락적 지지 및 장벽 측정도구를 타당화하였다. 특히 이공계를 대상으로 사용되도록 개발된 원척도가 다른 전공의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지지요인(사회적 지지, 도구적 지지, 경제적 지지)과 3개의 장벽요인(물리적 제한, 사회적 영향, 차별)으로 구성된 요인 구조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지지요인과 장벽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미결정과 예상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원척도 및 관련 척도들의 요인구조와 비교하고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validated the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measures developed by Lent, Brown, Brenner, et al.(2001) with Korean samples. The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this measure for the Korean college students in various major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artially supported a 3-factor structure for the Supports measure (soci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financial support) and for the Barriers measure (physical constraint, social influence, discrimination), respectively. Criterion validity was demonstrated with the correlation with other career measures. Comparisons with the original measure and other support and barriers scales were discussed.

      •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김동식(Dong-Sik Kim),황정임(Jung-Im Hwang),김영택(Young-Taek Kim),우영지(Young-Jee Woo),정다은(Da-Eun 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There are many issues related to women’s health. Reproduction is a very important issue for women, because it accounts nearly for half of a woman’s life. Sex is also a critical issue, but is treated as a private realm. Both things are a significant factor for not only women’s current health but also their later health. It is the first wave study for exploring gender inequalities in health, especially focusing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hereafter SRH) in Korean society. SRH is well known to be influenced by gender inequality. Gender hierarchy and norms in Korean society could be involved to SRH between men and women. The study had four purposes as follows: firstly, it was understood that the unequal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in sub-subjects related SRH, such as contraception, sexual intercourse, unwanted pregnancy, abortion and infertility, are presented; secondly, it confirmed the recent trends of patients and medical costs regarding SRH; thirdly, it grasped the gender risk factors of SRH; and lastly, it developed gender issues and policy tasks related SRH according to women’s life. As the results, all subjects related to SRH were clearly shown that women are subordinated to men, and women’s opinions have been ignored in contraception and sexual intercourse. Also, when a woman refuses to have sex, she has had violence by a partner and has experienced an abortion because of her unwanted pregnancy. Women wondered how to prevent contraception and unwanted pregnancies, and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counseling. Mal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re caught through prostitution during nightclubs or foreign business trips, but women have been caught by the partner’s affair. Regarding the sanitary pad, many women said they experienced side effects while using it. In the analysis of health insurance data, the number of patients who belong to the SRH related to diseases and the medical expens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ast 10 years. In addition, men and women with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have a higher likelihood of developing reproductive diseases, since then, the risk of chronic illness has also increased. Expert Delphi survey pointed out that there are health issues related to SRH in the life cycle of men and women, which are also related to gender inequality. From the above results, we proposed several policy tasks. First, social structure should be improved as a factor of inequality in SRH.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raditional gender and hierarchical environment, improve gender-based violence culture, analyze specific gender impacts on the legal system and public policy, improve negative and distorted social awareness of women’s sexuality, strengthen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and social environment for correct sex consciousness and healthy gender values, and ensure universal access to SRH services. Second, gender education and monitoring should be strengthened to promote SRH.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levant gender educ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healthy sex consciousness cont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establish cooperation channel of school, home and community for this purpose. Additionally, gender education for adolescents and parents should be strengthened and monitoring of distorted sex information and contents for pornography should be enhanced. Third, support for SRH vulnerable groups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is proposal, improved accessibility of counseling and treatment services for abnormal physiological symptoms, cost support for women sanitary napkins and related supplies, strengthen women s empowerment from coercive and violent sexual intercourse by partners, prepare SRH support plan for each life, social class and disability of women, and enlarge the sanitary napkin to cope with emergencies can be alternatives. Ⅰ. 서론 □ 들어가면서 ○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젠더 불평등이 여성과 남성의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가차원의 성평등에 기반한 건강정책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근거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의 배경이 되는 ‘한국사회’의 여러 모습 중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 그리고 이로 인한 ‘일·가정양립사회’에 초점을 두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젠더와 건강 연구로 계획됨. 총 3개년(2017~2019년)으로 진행되며, 각 연도별 연구 분야 및 내용은 아래와 같음. □ 1차년도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여성과 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건강의 차이는 생물학적 및 사회적 특성의 차이에 기인함. - 사회적 차이로서 젠더는 일반적으로 여성에 대한 불평등과 차별을 의미하므로, 특히 여성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여성의 다양한 건강 이슈 중 성과 재생산은 여성의 생애 전반에 영향을 주는 이슈로서 매우 중요함. 여성의 건강 자율성를 극대화를 위해 성 권리(sexual right)와 제생산 권리(reproductive right)는 함께 고려해야 함. -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줌. 특히 원치 않는 임신과 그로 인한 출산이나 임신중단(낙태)은 더욱 위험한 요인이 될 수 있음. - 모성이 된다는 것은 여성의 삶에서 가장 큰 사건이지만, 최적의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선택되지 않는다면 여성의 건강은 그 순간뿐만 아니라 여성의 나머지 생애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여성의 피임법 선택이 남성의 성적 만족 부합에 따라 달라지고, 안전한 피임 없이 위험한 성 관계를 요구 받으면서 여성의 몸은 남성의 성적 호기심과 즐거움, 대를 잇기 위한 몸으로 전락하게 됨. 결국 많은 여성들이 파트너의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성 요구와 행위로 건강과 안전권이 침해를 받고 있음. ○ 1994년 국제인구개발회의(ICPD)에서 채택한 카이로 행동계획에서는 성과 재생산 건강을 인구통계학적 및 가족계획적 목적과 같은 좁은 관점에서 벗어나 남녀가 모두 임신과 출산을 할 것인지, 그 시기와 빈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와 수단을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성·재생산의 건강을 인권으로 인식해야 함을 천명함. ○ 이상의 이유들로 여성의 다양한 건강 이슈들 중에 성·재생산 건강을 1차년도 주제로 정함.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우리나라의 성·재생산 건강의 성별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이 미치는 또 다른 건강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함. - 둘째, 성·재생산의 이슈별 젠더 차이와 그것이 젠더 규범 및 위계에 기인하는지 규명하고자 함. - 셋째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성·재생산 건강 및 관련 젠더 이슈들을 발굴하여, 성평등한 성·재생산 건강정책의 방향과 과제들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내용 - 첫째, 국내의 성·재생산 건강정책을 살펴보고, 해외의 관련 정책사례를 검토하여 그 시사점을 얻고자 함(본 연구의 II장). - 둘째, 일상생활 속의 성과 재생산 관련 상담자료를 분석하여, 그 안에서의 젠더 규범 및 위계와의 관련성을 살펴봄(III장). - 셋째, 성과 재생산 관련 질환자와 이들의 진료비 규모의 추이를 살펴보고, 관련 질환의 발생이 지닌 건강위험성을 규명함(IV장). - 넷째, 남녀의 성과 재생산의 시작시기라고 할 수 있는 초경과 몽정에서부터 음란물 접촉과 자위행위, 피임실천과 원치 않는 임신 및 임신중단(낙태) 행위, 그리고 성 매매 감염성 및 재생산(생식) 관련 질환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의 젠더 위계 및 성평등의 기인여부를 확인함(V장). - 다섯째, 남녀의 생애별 성·재생산 건강 이슈 발굴과 관련 정책대안을 도출함(VI장). □ 시사점 ○ 성 건강, 재생산 건강이 여성의 건강증진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 그래서 이들 3개국은 국가차원의 건강전략에 성·재생산 주제를 포함하고 있음. ○ 성 건강과 재생산 건강을 단지 의료적·생물학적 측면을 넘어 여성과 남성의 관계적 맥락으로 넓히고, 그 안에서의 젠더 규범과 위계로 인해 발생되는 특정 성(주로 여성)의 피임과 임신·출산 및 성행위에서의 비자율성이 이들의 성과 재생산 불건강으로 발전되는지 폭 넓은 관점에서 접근함. 또한 이를 위해 근거 기반을 마련하고자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함

      • KCI등재

        Validation of the Korean Contextual Career Supports and Barriers

        이기학,우영지,양은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2

        This study validated the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measures developed by Lent, Brown, Brenner, et al.(2001) with Korean samples. The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this measure for the Korean college students in various major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artially supported a 3-factor structure for the Supports measure (soci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financial support) and for the Barriers measure (physical constraint, social influence, discrimination), respectively. Criterion validity was demonstrated with the correlation with other career measures. Comparisons with the original measure and other support and barriers scal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