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 및 뇌병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관련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연구

        옥민욱 ( Ok Min Wook ),표윤희 ( Pyo Yunhui ),홍정숙 ( Hong Jeong 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4

        [목적] 본 연구는 지체 및 뇌병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관련 어려움과 지원요구 관련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지원을 위한 방안과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인 11명의 지체 및 뇌병변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각 면담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면담 후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2개의 범주, 6개의 주제, 37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어려움과 지원요구가 범주로 분류되었고 이에 따른 주제는 물리적 장벽, 태도적 장벽, 제도적 장벽, 물리적 장벽에 대한 지원요구, 태도적 장벽에 대한 지원요구, 제도적 장벽에 대한 지원요구로 분류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지체 및 뇌병변 장애대학생들은 대학생활에서 다양한 물리적 장벽(예: 교내 이동의 어려움, 교내 건물 접근성과 설비 이용), 태도적 장벽(예: 교수자 및 비장애학생들의 장애 이해 부족 및 부적절한 태도) 및 제도적 장벽(예: 필요에 비해 부족한 장애학생 도우미 제도 시간)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체 및 뇌병변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지원방안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regarding college lif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and to suggest support plans and implications for their successful college lives. [Method]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universi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Each interview took about 1 hour, and the transcribed data after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 categories, 6 themes and 37 sub-themes were derived. Depending on the research purpos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were classified into categories, and the themes were classified into physical barriers, attitudinal barriers, institutional barriers, support needs for physical barriers, support needs for attitude barriers, and support needs for institutional barri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physical or brain lesions have experienced a variety of physical barriers (e.g. difficulties in moving around school, accessing campus buildings and using facilities), attitudinal barriers (e.g. a lack of understanding and the inappropriate attitude of faculty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institutional barriers (e.g. insufficient time using helper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ated systematic supports are required to overcome the barrier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support plans and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college life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brain lesions.

      • KCI등재

        학령기 학생들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교수 적용 연구동향: 국내·외 연구를 중심으로

        옥민욱 ( Ok Min-wook ),최나리 ( Choi Na-r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보편적 학습설계는 학령기 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학생들의 학습활동 및 사회적 활동 증진을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 교수를 적용한 국내 및 국외 실험 연구 22편을 수집하고 그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외 연구들의 개괄적인 특징,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 및 그 효과성은 어떠한지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후속 연구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언하는데 있었다. 분석 결과로 보면 국내외 모두 2000년대 후반부터 꾸준하게 중재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특수교육분야 학술지에서 출판된 것으로 나타나 보편적 학습설계가 특수교육 분야에서 더 각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연구 모두 전반적으로 장애학생, 일반학생, 학습부진학생, 영어학습자 등 다양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학습참여 및 사회적 기술 향상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편적 학습설계의 학령기 아동을 위한 효과를 확실히 입증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다양한 학생들을 포함하고 보편적 학습설계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한 국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has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education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in inclusive classrooms for addressing the needs of diverse learner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22 empirical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UDL on academic and social outcomes of pre-K to high school students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terven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teadily since late 2000s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However, most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journals, representing UDL has been in the spotlight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ies published both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reported positive results to enhance diver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ngagement and social outcomes. However, further research including more diverse learners and using various approaches of UDL applic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build up the evidence of effects of UDL,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 연구의 효과성 및 연구 질 논의: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사회적 능력을 중심으로

        옥민욱 ( Ok Min-wook ),최나리 ( Choi Na-r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2

        보편적 학습설계는 다양한 학생들의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국내외 연구들에 의하여 보고되어지며 통합교육 환경을 위한 대안적 교수설계 원리로 대두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국외 문헌연구들은 보편적 학습설계 실험연구들의 연구 방법과 결과 보고 방법에 문제를 제기하며 더 확실한 효과성 입증을 위해 이를 보완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령기 아동들의 학습 및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고 국내 보편적 학습설계 실험연구들의 연구 방법 및 결과 보고 관련 연구 질 평가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와 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보편적 학습설계는 학령기의 다양한 학생들의 학습 및 사회적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치원-고등학생에 이르는 전 학년, 다양한 과목 및 다양한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이라고 보편화하기는 아직 어려운 상황이었다. 보다 보편적인 효과성을 입증하기 다양한 학년, 과목 및 학생종류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연구들은 연구간 차이는 있었지만 평균적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실험연구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약 83%에 해당하는 상당히 질 높은 연구 방법 및 결과보고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보편적 학습설계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세워나갈 수 있도록 질 높은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 및 제안을 제시하였다. Studies both in Korea and other foreign countries have reported the positive effects of us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to address the learning needs of diverse learners. UDL is also considered as a promising education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in inclusive classrooms. However, recent literature criticized weak methodological quality of UDL research and provided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which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evidence of UDL.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UDL on academic and social outcomes of Pre-K to high school students and evaluat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The results found UDL was effective on improve academic learning and social outcomes of diverse students. However, more number of future studies addressing various grade levels, subjects, and diverse students need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results found in general studies met approximately 83% of the guideline items that means the studies’ methodology quality are substantially high.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suggestions for high quality future research to keep building up the evidence of UDL.

      • KCI등재

        미국의 장애학생 대상 합리적 편의 제공 관련 법제 고찰

        옥민욱 ( Ok Min Wook ),홍정숙 ( Hong Jeongsuk ),표윤희 ( Pyo Yunhu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미국 교육 분야의 장애학생에 대한 합리적 편의 제공 관련 법률과 정책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교육 분야의 합리적 편의 제공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의 합리적 편의 제공 관련 법률, 정책문서, 학술자료 등의 검토를 통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학령기 장애학생을 위한 합리적 편의 제공 의무 관련 주요 법률인 미국장애인법(ADA), 장애인교육법(IDEA), 재활법 504조를 검토하여 성격 및 목적, 보호 대상 범위, 장애학생 교육 및 합리적 편의 제공 의무 관련 주요 원칙의 핵심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미국의 합리적 편의 제공의 내용적 범위를 조정과 수정으로 나누어 범주와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하였다. 셋째, 미국의 합리적 편의 제공 의무 절차를 IEP 및 504 계획 수립 절차와 합리적 편의 선정, 활용 및 평가로 나누어 주요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 분야에서의 합리적 편의 제공 정책이 좀 더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과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몇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aws and policies relating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chool-ag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ducational setting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imilar legislation in South Korea. [Method] To achieve thi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using law and policy documents and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lating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irst,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ADA),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IDEA), and Section 504 of the Rehabilitation Act are reviewed as the major American laws relating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chool-ag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key contents of main principles are presented, including character and purpose, scope of protection, the obligation to provide education, and reasonable accommodations. Second, categories and specific examples are established by dividing the content scope of these provisions into accommodations and modifications. Third, the procedure of selecting, providing, and evaluating accommodations when develop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and 504 plans are provid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to improve similar policies in South Korea are made alongs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비디오 모델링이 영유아 및 학령기 장애학생의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옥민욱(Ok, Min Wook),이성숙(Lee, Seong Suk)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2

        비디오 모델링은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적 및 행동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증거기반 교수방법이다. 하지만 비디오 모델링의 학업기술 특히 읽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영유아 및 학령기 장애학생의 비디오 모델링이 읽기교수에 사용된 국내외 실험연구들의 연구 동향 분석 및 그 효과성을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언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2018년까지 출판된 국내외 연구 13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들의 개괄적 특징, 비디오 모델링의 읽기교수에의 적용 및 그 효과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비중복 비율기법 (PND)을 활용한 메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분석대상 연구들은 전반적으로 비디오 모델링이 장애학생의 읽기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지만 중재효과크기는 작으며 유지효과는 중간크기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디오 모델링의 읽기교수 적용 관련 후속 연구에 대한 논의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video modeling is an evidence-based practi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enhance their social, communication, functional and behavioral skills. However, there is a small body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 on academic skills, especially read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is topic and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on the reading achievement of Pre-K to 12th 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study, a total of 13 studies published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through 2018 were selected. The studies were analyzed for overall study characteristics (e.g., publication year,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use of video modeling for reading instruction (e.g., the type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ist, target reading skills), and effects (i.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The PND computed indicated a small effect for the intervention and a medium effect for maintenanc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정당한 편의 제공에 대한 장애학생의 경험과 지원요구

        옥민욱 ( Ok Min Wook ),홍정숙 ( Hong Jeong Suk ),표윤희 ( Pyo Yun Hu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4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와 청소년기에 통합교육을 경험한 장애학생의 정당한 편의 제공관련 경험 및 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일반 초·중·고등학교를 다닌 청각, 시각, 지체 및 뇌병변, 발달장애 대학생 1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2개의 범주, 6개의 주제, 2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환경에서 정당한 편의 제공은 충분하지 않으며 기준이나 지침의 부재로 지역과 학교마다 다르게 제공되고 있었다. 일반교사와 또래의 정당한 편의 제공에 대한 이해와 관심 부족, 장애학생의 정당한 편의 제공 관련 정보 및 권리 이해 부족은 정당한 편의 제공의 방해물이었다. 둘째,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성공적인 정당한 편의제공을 위해서는 장애유형별 필요한 정당한 편의 제공, 일반교사와 또래의 장애인식 개선 및 정당한 편의 제공에 대한 이해 증진, 장애학생의 정당한 편의 제공 관련 정보 및 권리 이해 강화, 정당한 편의 제공을 위한 체계 구축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령기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Method: Interviews with 18 college students with hearing, visual, physical,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nd a total of 2 categories, 6 topics, and 20 subtopics were derived. Result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was not sufficient, and accommodations were found to be provided differently by regions and schools due to the absence of standards or guideline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by teachers and peers without disabilities, a lack of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right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obstacles to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Second, for successful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it was required to provide reasonable accommodations necessary by types of disability, to improve teachers’ and peers’ disability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trengthen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nd right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or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the successful inclusion of school-ag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증강·가상현실 활용현황, 인식 및 TPACK 수준 비교

        김우리 ( Kim Woori ),옥민욱 ( Ok Min Wo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증강현실과 가상현실(AR·VR) 활용현황 및 관련 인식을 살펴보고, 교사유형과 AR·VR 활용 여부에 따른 TPACK 수준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교사 127명과 특수교사 190명을 포함하여 총 317명을 대상으로 AR·VR 활용경험 및 인식, TPACK 수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이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모두 AR·VR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활용하는 교과목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진로와 직업이 가장 많았고, 일반교사는 내용교과가 가장 많았다. 둘째, AR·VR 활용의 장애물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모두 AR·VR 활용에 대한 지식 부족과 테크놀로지 기기 부족을 들었고, 이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AR·VR 활용과 관련하여 TPACK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AR·VR 활용경험 여부에 따라 TPACK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사들이 AR·VR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AR·VR 활용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수교사의 경우, 장애 학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연수 과정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augmented and virtual reality(AR·VR) usage, perceptions, and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levels. It also aimed to compare TPACK levels between the two types of teachers and betwee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teachers. [Method] A total of 317 participants including 127 special educators and 190 general educators were surveyed on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using AR and VR and on their TPACK levels.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Neither special nor general educators were found to make substantial use of AR·VR. Where they did use AR·VR, special educators used it mostly for career and occupational purposes, and general educators used it mostly for teaching subject content.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 reported that they lacked knowledge and ability regarding the use of AR·VR, and the lack of AR·VR devices was one of the biggest barriers to using the technolog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eacher types in any TPACK area,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with and without experience in AR·VR in all TPACK areas. [Conclusion] To support the effective use of AR·VR by teachers, opportunities to gain experience in using AR·VR must be provided, as well as training aimed at helping them integrate AR·VR into their teaching. Considering the speci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fferentiate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special educators.

      • KCI등재

        장애학생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실행경험 및 인식 -인공지능 교육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박경옥 ( Park Kyoung Ock ),옥민욱 ( Ok Min Wook ),김지연 ( Kim Ji 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공지능 교육의 현재 상황과 성공적인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방향성과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인공지능 교육 선도학교를 운영 중인 특수학교의 교사 5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는 개방형 코딩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의 분석을 통해서 44개 범주, 19개의 주제, 5개의 대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시대적, 사회적 요구로 인해 특수교육 현장에 인공지능 교육이 도입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교육은 초기 단계로 교사들의 이해는 충분치 않은 상태로 나타났다. 셋째, 그러나 특수교사들은 인공지능의 장점과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변화로 인해 특수교육 현장에 긍정적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넷째, 긍정적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특수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교육의 발전은 요원하고 점검해 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고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의 안착을 위해서는 교육과정과의 연계, 콘텐츠 개발과 플랫폼 마련, 교사 역량 강화와 학교 풍토 변화, 행·재정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도출된 결과에 따른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AI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and discuss the directions and support needs for successful AI education. For this purpose, two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AI education leading sch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open-ended coding method, yielding 44 sub-themes, 19 themes, and 5 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I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du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changes in society. Second, AI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teachers' competency is not yet sufficient.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cted positive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due to AI's advantages and the changes it brings. Fourth, despite the positive expecta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that the development of AI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was still a long way off and that there were many areas that need to be explored. Last, the findings revealed that use of AI aligning with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ing AI content and platforms, developing teacher competency, changing the school atmosphere,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ere needed for successful AI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관련 경험 및 인식

        권혜영 ( Kwon¸ Hey-young ),옥민욱 ( Ok¸ Min Wo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의 원격수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경험 및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효과적인 장애학생 원격수업을 위해 필요한 지원요구를 밝히는데 있다. [방법] 서울 지역의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한 학기 이상 원격수업 운영을 경험한 중등특수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COVID-19 이전 원격수업 관련 경험은 전무하였고 초기 생소한 수업방식에 많은 부담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수교사들은 학교 TF팀의 지원을 중심으로 원격수업을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의 특성에 맞는 수업자료 활용 및 수업 활동 구성 등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원격수업은 콘텐츠 활용 과제수행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원격수업이 수업 콘텐츠 활용과 제작 관련 교사 역량 강화, 학생의 새로운 테크놀로지 경험 등과 같은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대부분은 개별교육과 상호작용이 중요한 특수학교 지적장애학생에게 원격수업은 부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성공적인 원격수업을 위해서는 원격수업 교수학습설계와 관련된 연수제공, 특수교육 원격수업 플랫폼 구축 및 교육용 콘텐츠 제작·보급, 교사 간 협업 및 공동체적 접근, 교사 및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학습과 양육의 이중부담을 겪는 학부모에 대한 지원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포스트 COVID-19 시대를 대비하여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지원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부 및 학교 차원의 보다 구체적인 원격수업 관련 정책 및 기준 제시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distance learning amo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dentify the support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in the future.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taught remote classes for more than one semester at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oul.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d no experience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nd experienced considerable pressure when using the unfamiliar teaching methods in the early stage. With the support of the school’s TF team to improve distance learning, they took various actions, such as reorganizing the curriculum, utilizing class materials, and organizing class activities, considering their students’ characteristics. For most distance learning, they used digital content for students to accomplish the tasks given. Second, the teachers reported the positive aspects of distance learning, such as enhanced teacher competency related to the use and production of digital content for distance learning and the students' experience of using new technology. However, most teachers perceived the existing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to be in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reover, the teachers believed that for successful distance learning, it wa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on designing distance learning course, devleop a distance learning platform, produce educational cont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hance collaboration, and adopt a community approach among teachers, reinforce teach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support parents experiencing a significant burden. [Conclusion]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an in-depth discussion of support plans for successful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eeded. Also, more specific policies and standards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are required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hool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 data for this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