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관련 경험 및 인식

        권혜영 ( Kwon¸ Hey-young ),옥민욱 ( Ok¸ Min Wo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의 원격수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경험 및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효과적인 장애학생 원격수업을 위해 필요한 지원요구를 밝히는데 있다. [방법] 서울 지역의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한 학기 이상 원격수업 운영을 경험한 중등특수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COVID-19 이전 원격수업 관련 경험은 전무하였고 초기 생소한 수업방식에 많은 부담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수교사들은 학교 TF팀의 지원을 중심으로 원격수업을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의 특성에 맞는 수업자료 활용 및 수업 활동 구성 등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원격수업은 콘텐츠 활용 과제수행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원격수업이 수업 콘텐츠 활용과 제작 관련 교사 역량 강화, 학생의 새로운 테크놀로지 경험 등과 같은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대부분은 개별교육과 상호작용이 중요한 특수학교 지적장애학생에게 원격수업은 부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성공적인 원격수업을 위해서는 원격수업 교수학습설계와 관련된 연수제공, 특수교육 원격수업 플랫폼 구축 및 교육용 콘텐츠 제작·보급, 교사 간 협업 및 공동체적 접근, 교사 및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학습과 양육의 이중부담을 겪는 학부모에 대한 지원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포스트 COVID-19 시대를 대비하여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지원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부 및 학교 차원의 보다 구체적인 원격수업 관련 정책 및 기준 제시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distance learning amo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dentify the support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in the future.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taught remote classes for more than one semester at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oul.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d no experience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nd experienced considerable pressure when using the unfamiliar teaching methods in the early stage. With the support of the school’s TF team to improve distance learning, they took various actions, such as reorganizing the curriculum, utilizing class materials, and organizing class activities, considering their students’ characteristics. For most distance learning, they used digital content for students to accomplish the tasks given. Second, the teachers reported the positive aspects of distance learning, such as enhanced teacher competency related to the use and production of digital content for distance learning and the students' experience of using new technology. However, most teachers perceived the existing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to be in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reover, the teachers believed that for successful distance learning, it wa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on designing distance learning course, devleop a distance learning platform, produce educational cont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hance collaboration, and adopt a community approach among teachers, reinforce teach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support parents experiencing a significant burden. [Conclusion]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an in-depth discussion of support plans for successful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eeded. Also, more specific policies and standards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are required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hool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 data for this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