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 핵심역량과 유아교육 방향

        오은순,김윤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 핵심 역량, 유아교육 목적, 유아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유아교사 역할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의 핵심역량은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윤리적 인성 역량, 협업 및 소통역량, 자기 주도적 역량,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 신체역량으로 구성되었다.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의 목적을 설정하였으며 유아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방법, 유아교사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based on litera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research, the core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were se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s a result, the core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Evolution are creative problem-solving, ethical personality,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elf-initiating, technology utilization, and physical capabilities.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and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are suggested.

      • KCI등재

        블록놀이 시간경과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변화에 관한 연구

        오은순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블록놀이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 경향에 관한 연구로 적합하거나 부족한 수의 할로우 블록과 유니트 블록을 제공했을 때 블록놀이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 경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적합한 수의 블록을 제공했을 때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혼자놀이 및 집단놀이의 증가를 보였으며, 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족한 수의 블록을 제공하였을 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놀이참여율과 집단놀이가 감소하고, 친사회적 행동이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도 성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during a free-play period in which they played with an adequate quantity of hollow and unit blocks, and during one in which they played with an inadequate quantity. The subjects, 12 boys and 12 girls, were observed in a preschool classroom. Social behavior was checked according to a checklist. The number of blocks suggested as adequate were 74 large hollow blocks and 276 unit blocks. Inadequate numbers were 20 large hollow blocks and 76 unit blocks.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data employe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children engaged in more group play when they had adequate quantities of hollow blocks and more group play and solitary play when they had adequate quantities of unit blocks, throughout the free-play period.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was found in the children's social behaviors. 2. When the children played with an inadequate number of blocks, they still appeared to be interested in play with the blocks; however, they smiled and talked less and less as the period progressed. No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were observ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 및 행복교육에 관한 인식

        오은순,이소현 한국코칭학회 2018 코칭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happiness and education for happiness. The subjects were 82 students who had an education related to happiness among students atten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K-city of Chungcheongnam-do and Y-city of Gyeonggi-do. Semi-structured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appiness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and 18 sub–factors. Second, the feeling of happiness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pleasure, meaningful work, and immersion. Third,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were higher in intentional effort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genetic factors. Fourth,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happiness was relatively high. Fifth,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happiness should be included in order of gratitude, laughter, health care, and praise. Sixth,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education for happiness was in the experiences of speaking and watching videos, followed by movies, games, pictures, and discussion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on education for happines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K시와 경기도 Y시에 위치하고 있는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행복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 82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반구조화된 설문과 구조화된 설문을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행복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의 개념은 4가지 상위요인과 18개의 하위요인으로 나뉘어졌다. 둘째, 행복감은 즐거울때, 의미있는 일을 할 때, 몰입할 때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감 결정요인은 의도적 노력, 환경적 조건, 유전적 요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관련연구결과는 첫째, 행복교육의 필요성과 유아교육에서의 도움 정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행복교육의 내용은 감사하기, 웃기, 건강돌보기, 칭찬하기 등의 순으로 포함되어야 한다고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행복교육의 방법에 대해서는 경험말하기, 동영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화보기, 게임, 그림, 토론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행복교육을 담당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를 위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행복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동의 과학적 개념 발달과 양육 행동과의 상관성

        오은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8 교과교육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분류, 서열, 수, 공간, 물질양 개념을 포함한 아동의 과학적 개념 발달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과의 상관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아동 70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아동의 과학적 개념 발달 수준은 서열과 수 개념의 경우 Piaget가 제시한 정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분류와 공간개념은 기준에 못 미쳤으며, 특히 물질양 개념은 거의 발달되지 않았다. 과학적 개념 발달의 성차는 물질양 개념만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수준이며 나머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학적 개념 발달과 어머니의 행동간의 관계에서는 아동의 분류, 수, 물질양 개념 발달과 어머니의 애정적이고 긍정적인 평가 행동이 정적인 관계에 있었다. 또한 거부적 행동과는 부적인 관계에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velopment of science-type concepts and maternal behavior for their children, including the concepts of classification, seriation, number, space, and quantity of substance. This study was surveyed from 70 children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The level of conceptual development was measured through Piagetian procedure with specified materials for each concept. For the maternal behavior, this study used Scheafer’s questionnaire translated by Won Young Lee(1985).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were χ2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al level of science-type concepts of the subjects is different from it of the same aged children provided by Piage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enders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science-type concepts, and the children's development of science-type concept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mother’s behavior. That is, the level of seriation and number concept is a little higher than it provided by Piaget, and the level of classification and space concept lower than it. In terms of relationship, mother’s loving, and positive behavior for their children is positively related to classification, number, and quantity of substance concepts development. The other hand, mother's reiective behavior is negatively related to those concepts development. From the above result, it might be concluded that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or lesson plan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of science concepts. The other hand, mothers should be learnt to be loving, positive, and acceptive for their children through various programs for paren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오은순,박명숙,김윤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day care center teachers’ teacher efficacy, grit, and job stres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grit as a mediator. For this purpose, 235 day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D area were included as subjects of this research. For the research procedure, basic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to analyze the data, and then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using the AMOS program. Concept validity and AVE value wer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after the measurement model was analyzed. After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the significance of the direct and indirect paths of teacher efficacy on job stres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n variabl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gri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and also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job stress. Second, as a result of direct path analysis, the teacher efficacy of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grit, while grit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job stress. However, teacher efficacy had no effect on job stress. Third, indirect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grit of day care teacher wa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that the grit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managing the job stress of teachers of day care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그릿,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D지역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2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으로 기초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AMOS 프로그램으로 연구 모형을 구성하였다. 측정모형 분석 후 타당도 검증은 개념타당도와 AVE 값을 사용하였다.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한 후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경로와 간접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변수들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교사효능감과 그릿은 정적 상관이,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그릿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직접경로 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그릿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그릿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접경로 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그릿은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릿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