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환축추간 경관절 고정 시 후방 나사못 삽입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

        정성수(Sung-Soo Chung),이종서(Chong-Suh Lee),정광훈(Kwang-Hoon Chung),이종열(Jong-Yul Lee),오일빈(Irvi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목적: 환축추간 고정에 있어서 가장 든든한 생역학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환축추간 경관절 나사못 삽입이지만, 삽입에 따른 동맥이나 신경 등의 손상이 염려된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고 이상적인 나사못 삽입을 설정하기 위하여 횡축 및 나사못 삽입방향으로 전산화 단층 촬영을 하여 나사못의 길이 및 삽입방향 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질환의 병력이 없는 20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0명, 여자가 10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각각 25.4세,27.4세였다. 시상면에 대한나사못의 삽입 방향을 축추의 후면 추궁판과 후방 관절 사이의 이행부를 삽입지점으로 하여, 환추 전방환의 피질골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이 향하는 각도로 정하고, 이 각도로 전산화 단충 촬영을 축방향으로 삼차원 재구성(3-D reconstruction)하여 영상을 얻은 후 나사못의 길이, 협부 내측 및 외측 피질골의 직경과 더불어 환추 전방환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피질골과 환추 외측괴의 중앙 전방 피질골 사이의 길이 및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나사못의 길이는 남자의 경우 평균 37.6 ㎜ (35.1-40.5 ㎜)였고 여자는 37.2 ㎜ (33.6-43.4 ㎜)였다. 협부 내측 피질골의 직경은 남자의 경우 4.3 ㎜ (3.3-5.2 ㎜)였고 여자의 경우는 4.0 ㎜ (2.8-5.6 ㎜)였다. 환추 전방환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피질골과 환추 외측괴 중앙 전방 피질골 사이의 길이는 남자와 여자에서 각각 6 ㎜와 5.7 ㎜였다. 모든 계측치에서 남녀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환축추 해부의 개인적 차이, 특히 축추 협부의 피질골 직경 크기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환축추간 경관절 나사못 삽입에 있어서 삼차원 재조합 전산화 단층 촬영은 상당히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avoid neurovascular injuries and to establish the ideal trajectory of screw insertion, a computed tomographical evaluation was conducte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volunteers without cervical disease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Axial and oblique CT scan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Oblique CT scans were obtained in the direction of provisional screw insertion, starting from the junction of the lamina and the inferior articular facet of the axis and extending to the center of anterior tubercle of the atlas. In the axial and oblique recon-structed views, the screw length, the diameters of the medial and lateral cortexes of the isthmus, the vertical distance, and the angle of C1 were measured. Results: The screw lengths averaged 37.6 ㎜ (35.1-40.5 ㎜) in males and 37.2 ㎜ (33.6-43.4 ㎜) in females. The diameters of the medial cortex of the isthmus were 4.3 ㎜ (3.3-5.2 ㎜) in males and 4.0 ㎜ (2.8-5.6 ㎜) in females. No measuremen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Conclusion: Due to individual variations of atlantoaxial anatomy, especially in terms of the size of cortl-cal diameter of the isthmus, 3-D reconstruction CT is a useful tool for planning transarticular C1-2 screw insertion.

      • KCI등재
      • KCI등재

        시상면 재구성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상위 척추동맥 빈도 분석

        정성수(Sung Soo Chung),이종서(Chong Suh Lee),김상현(Sang Hy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경추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상위 척추 동맥의 빈도를 조사하고, 류마티스 질환과 비류마티스 질환간의 빈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남자 44명, 여자 23명),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16명, 경추증 환자가 51명이었다. 전산화 단층촬영을 재구성하여 제1-2 경추 관절의 중심을 지나는 시상면을 얻은 후, 제2 경추의 협부 높이와 내부 높이를 PACS에서 디지털 계측으로 측정하였다. 상위 척추 동맥은 협부 높이가 5㎜ 이내 또는 내부 높이가 2㎜ 이 내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상위 척추동맥은 134 관절 중 36예(26.9%)에서 보였다. 이명 중 양측이나 일측에서 보이는 경우는 27명(40.3%)이었고, 양측 9명, 우측 8명, 좌측 10명으로 좌 우측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0). 연령별 발생 빈도에서도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p=0.06). 비-류마티스 환자군(33.3%) 보다 류마티스 환자군(62.5%)에서 발생 빈도가 높았다(P=0.04). 결론: 환축추간 경관절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할 때 전산화 단층촬영의 재구성을 이용하여 상위 척추 동맥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류마티스 환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는 점을 유념해야 하겠다. Purpose: The rate of high riding vertebral artery (VA) was investigated, and the rate in rheumatoid arthritis (RA) group was compared with that in non-RA group. Materials and Methods: 67 consecutive patients were recruite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44:23. Sixteen patients were diagnosed as RA and 51 as cervical spondylosis. Sagittal reformatted view transecting mid-portion of the atlantoaxial facet joint was obtained and the height of the isthmus and the internal height of the axis were measured using a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High riding VA was defined as less than 5 ㎜ of isthmus height or less than 2 ㎜ of internal height. Results: Thirty-six joints (26.9%) and twenty-seven patients (40.3%) showed high riding VA,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side (8 right, 10 left, 9 both sides) (p=0.20).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age distribution (p=0.06). In rheumatoid patients, the rate of high riding VA (10/16, 62.5%) was higher than in non-rheumatoid patients (17/51, 33.3%) (p=0.04). Conclusion: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VA using the reformatted CT should be performed in all patients who plan to undergo atlantoaxial transarticular screw fixation. In rheumatoid patients, possibility of high riding VA should always be considered.

      • KCI등재
      • KCI등재

        전방 경유 디스크 절제술 및 유합술과 후방 추간공 절제술에서의 경추 추간공의 형태학적 변화 비교

        정성수(Sung-Soo Chung),선우성(Woo-Sung Sun),정종철(Jong-Chul Chung),허기성(Ki-Sung Heo),김현민(Hyun-M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6

        목적: 경추 추간공 협착증에서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과 추간공 절제술 후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그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 및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한 186명 중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102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및 술후 5일째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군(A군-51명)과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 받은 군(B군-51명) 사이의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A군에서 추간공 수직 직경의 변화는 평균 1.7 mm, B군에서는 평균 1.2 mm로 증가하였으며 A군에서 0.5 mm 높게 나타났다(p=0.042). 추간공 횡단 직경의 변화는 A군에서 평균 1.2 mm, B군에서는 1.8 mm로 B군에서 0.6 mm 넓게 나타났다(p=0.021). Neck disability index (NDI),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모두 양 군에서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A군에서 더 높은 호전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각각 p=0.356, p=0.607). 결론: 미세현미경과 내시경을 이용한 추간공 절제술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에 필적하는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수술 후 경부의 통증 및 불편감을 줄이면서 인접분절의 퇴행변화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추의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hange in foraminal spac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the clinical outcome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versus foraminotomy in cervical foraminal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8 to March 2019 on 186 patients who underwent ACDF and foraminotomy. One hundred and two cases were selected considering age, sex, and body mass index. MRI was performed before and on the 5<SUP>th</SUP> day after surgery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foraminal diameter between the ACDF group (group A-51) and foraminotomy group (group B-51). Results: Between groups A and B, the average change in foraminal vertical diameter was 1.7 mm and 1.2 mm, respectively; group A was 0.5 mm larger difference (p=0.042). The average change in foraminal transverse diameter was 1.2 mm and 1.8mm, respectively; group B showed a 0.6 mm larger change (p=0.21). Both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s improved in both groups. Group A showed more improv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356, p=0.607, respectively). Conclusion: Foraminotomy is a useful option for patients with foraminal stenosis of the cervical spine because it showed comparable clinical and morphological results to ACDF and could minimize motion segment loss and muscle and ligament damage.

      • KCI등재

        요추 인공 추간판 치환술에서 분절 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정성수(Sung Soo Chung),이종서(Chong Suh Lee),최성우(Sung Woo Choi),유제욱(Jae Wook Yu),권종원(Jong Won Kw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요추 인공 추간판 치환술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분절 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공 추간판 치환술을 1분절에서 시행 받고, 2년 이상 추시 된 3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43.6세였고, 남자 15명, 여자 21명이였으며, L4-5 23예, L5-S1 13예, 추시 기간은 평균 41.8개월 이었다. 추간판 높이, 이환 분절 술 전 가동성, 인공 추간판 위치, 길이, 높이 등을 수술 전, 수술 후, 술 후 3개월 그리고 최종 추시에서 2명의 계측자가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분절 가동성은 술 전 11.3°에서 술 후 3개월 13.2° 최종 추시 13.1°로 잘 유지되고 있었다. 최종분절 가동성에 영향을 미친 요소로는 술 전 가동성, 술 전 추간판 높이, 이전 수술 병력, 추간판 높이 증가 비율 등이었으며, 분절 가동성이 유의하게 증가된 경우 VAS가 정도가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5). 결론: 요추 인공 추간판 치환술에서 분절 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술 전 가동성, 술 전 추간판 높이, 이전 수술 병력, 추간판 높이 증가 비율 등이었다. 향후 이러한 요소들이 분절 가동성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장기 추시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range of motion of the lumbar spine at the operated segment following total disc replacement (TOR)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patients (15 men and 21 women) who received lumbar TOR at a single level using Prodisc Ⅱ (Spine Solutions Inc, New York, NY US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tudy included 23 cases at L4-5 and 13 cases at L5-S1. The average patient age was 43.6 years (range, 23-59 years) and the minimum follow-up was 24 months (range, 24-61 months). Two independent observers measured radiological parameters preoperatively, at 3 months postoperatively, and at the final follow-up. These parameters included disc height, affected level segmental range of motion (ROM) and prosthesis position and height. A radiologist independently measured facet joint degeneration and the fat contents of the paraspinal muscles on preoperative MR images.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Results: Segmental ROM was well preserved at the final follow-up (preoperative, 11.3 degrees; 3 months postoperative 13.2 degrees; final follow up, 13.1 degrees). The factors found to affect segmental ROM significantly at the final follow-up were the preoperative ROM, preoperative disc height, disc height increment ratio and a history of previous back surgery on the affected disc (p < 0.05). The VAS significantly improved in patients with increased segmental ROM at the operated level (p<0.05). Conclusion: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segmental ROM were the preoperative ROM, preoperative disc height, disc height increment ratio, and a history of previous back surgery on the affected disc. However, further effort needs to be directed towards an evaluation of a larger number of patients with a longer follow-up.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인공 요추간판 치환술 도중과 직후에 발생한 단기추시 중 합병증

        정성수(Sung Soo Chung),이종서(Chong Suh Lee),강창석(Chang Seok Kang),김연상(Youn Sang Kim),오성균(Sung Kyu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적: 인공 요추간판 치환술 시 저자가 경험한 합병증에 대하여 기술하고, 합병증의 발생과 관련된 요인 및 합병증의 발생이 임상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인공 요추간판 치환술을 받은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 중 또는 술 후에 발생하였던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5세(남자: 18명, 여자: 25명)였다. 예상되는 위험 인자들과 각각의 합병증 발생과의 관련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임상 결과의 평가는 visual analogue scale 및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이용하였다. 결과: 술 중 합병증으로 정맥 혈관 파열이 2예, 복막 파열이 2예 있었다. 술 후 합병증으로 일시적인 방사통이 6예 있었고, 인공 추간판의 침강이 1예, 인공 추간판의 덮개판과 폴리에틸렌 핵의 해리가 1예 있었다. 합병증 발생과 여러 인자들과 관련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p>0.05). 합병증의 발생 유무에 따른 VAS와 ODI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인공 요추간판 치환술 도중 및 직후에 비교적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나, 술 후 임상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ir effect on the clinical outcomes after a lumbar total disc replacement (TDR). Materials and Methods: Forty-three patients (18 men and 25 women) who had undergone a lumbar TDR from May 2002 and May 2004 were reviewe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age, gender, previous discectomy, multilevel, learning curve of operator, or the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disc height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traoperative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patients rated their low back pain on a visual analogue scale and completed an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t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ollow-up. Results: There were 4 cases of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2 major vein injuries and 2 peritoneal rupture) and 8 cas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6 radicular pains, 1 subsidence of implant, and 1 dissociation of endplate and polyethylene c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age, gender, prior surgery, multilevel, learning curve, or disc height difference (p > 0.05).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S and ODI between the complication and non-complication groups. Conclusion: The authors experienced a relatively high rate of complications (11/43 patients) following TOR and statistical analysis did not reveal any associated risk factors.

      • KCI등재

        요추 인공 추간판 치환술에서 시상면 정렬과 요추 가동성의 변화

        정성수(Sung Soo Chung),이종서(Chong Suh Lee),김상현(Sang Hyun Kim),강경백(Kyung Baek Kang),박재철(Jae Chul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요추 인공 추간판 치환술의 목적은 요통 또는 방사통을 경감시키는데 있지만 정상적인 요추 시상면 정렬과 가동성을 회복시키는 것도 중요한 목적이다. 따라서 인공 추간판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 시상면 정렬과 전반적인 가동성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수술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공 추간판 치환술을 1분절 또는 2분절에 시행하였고, 1년 이상 추시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6.7세(37-65세)이었고, 남자 10명, 여자 14명이었으며, 최종 추시 기간은 평균 17.3개월(12-23개월)이었다. 임상 결과는 Oswestry score와 통증(요부, 둔부)에 대한 visual analog scale (VAS)로 비교하였다. 요추의 시상면 정렬과 가동성은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그리고 최종 추시에서 시행한 기립 단순 방사선 영상 및 굴곡 신전 영상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Oswestry score는 수술 전 평균 31 (25-47)이었고, 최종 추시에서는 평균 11 (0-24)로 호전되었다. 통증에 대한 VAS는 요부의 경우 수술 전 평균 74 (50-100)이었고, 최종 추시에서는 평균 23 (0-70)으로 호전되었고, 둔부의 경우 수술 전 평균 52 (0-100)에서 최종 추시 평균 14 (0-60)로 호전되었다. 수술 분절의 전만각은 수술 전 16.7°, 수술 직후 20.3°, 3개월 24.8°, 최종 25.9°로 증가되었으며(p<0.05), 전반적인 요추 전만각은 수술 전 43.4°, 수술 직후 36.9°, 3개월 47.9°, 최종 49.4°로 증가되었다(p<0.05). 수술 분절의 가동성은 수술 전 13°, 3개월 12.3°, 최종 16.2°로 유지되었으며, 요추의 전반적인 가동성은 수술 전 46.9°, 3개월 42.1°, 최종 48.1°로 유지되었다. 결론: 단기 추시에서 인공 추간판 치환술은 술부 요추 전만을 증가시킴으로써 요추 전만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고, 수술 후에도 요추 가동성을 유지시킴으로 정상 생역학적인 요추 시상면 정렬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관찰되었다. 향후 장기 추시에서 이런 효과가 지속되는지 관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treated with artificial disc replacement (ADR) and to assess the capacity of this artificial disc replacement for preserving sagittal alignment and motion in the lumbar spine. Materials and Methods: 24 patients (10 men and 14 women, with a mean age of 46.7 (range 37-65) years) who underwent ADR in one or two segments of lumbar spine and followed up more than 12 months (range, 12-23 months) were reviewed. The level of pain was evaluated using visual analog scale (VAS) for low back and gluteal pain and functional outcome was evaluated using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agittal alignment and mobility of the lumbar spine were assessed in standing radiographs and dynamic flexion-extension radiographs. Results: The ODI improved from a mean of 33 (25-47) preoperatively to a mean of 11 (0-24) at the final follow-up. The VAS for lower back pain improved from 74 (50-100) to 23 (0-70) and for gluteal pain, the level improved from 52 (0-100) to 14 (0-60). The mean lordosis of the surgical segments was 16.7° preoperatively, 20.3° postoperatively, and 25.9° at final follow-up (p<0.05). The mean lordosis of the whole lumbar spine was 43.4° preoperatively, 36.9° postoperatively, and 49.4° at final follow-up (p<0.05). Range of motion of the operation segments was 13° preoperatively and 16.2° at the final follow-up, and that of the whole lumbar spine was 46.9° preoperatively and 48.1°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These clinical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less pain (VAS) and disability (ODI) after the ADR in the short term. In addition, the physiologic sagittal alignment and range of motion could be restored with ADR. The data from more patients and a longer follow-up will be needed to determine if these results can be maintained over the long te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