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구재선,김의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0 No.4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tegrated relationship among internal psychological trait, life exper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the mediating role of lif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trait and subjective well-being is examined. Psychological trait included five factors of personality, self-efficacy,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Life experience includ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nce, and health. A total of 231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self-efficacy, and collectivism are important psychological traits of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inance are more important than health for th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Third, path analysis indicates that extraversion and self-efficacy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which increase their positive affects. However, conscientiousness and collectivism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which decrease their negative affects. Thes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are related with the global evaluation of one's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 subjective well-being and happiness are related with internal psychological traits and this linkage is mediated by one's life experiences.

      • KCI등재

        청소년기 물질주의와 대인관계의 질, 성인기 행복의 장기적 관계

        구재선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6

        This study examined the long-term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materialism,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ulthood happiness. For this purposes, the author analyzed data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high school seniors’ cohort) yearly tracing a total of 4,000 high school third graders (2,222 males and 1,778 females) for over ten year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relation among materialism,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appiness are as follows. Firstly, adolescents’ materialism negativ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4 years later and happiness 10 years later. Secondly, people with low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low level of happiness after 6 yea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materialism has a long-term negative relation to adulthood psychosocial adaptation. 물질주의자들은 행복 수준이 낮으며, 그 한 가지 이유는 이들의 대인관계가 부적응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Deci & Ryan, 2000; Kasser, 2002; Solberg, Diener, & Robinson, 2004). 이러한 선행연구자들의 견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기 물질주의와 대인관계의 질, 그리고 성인기 행복과 장기적 관계를 검토했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고3 코호트 자료를 분석했다. 이 자료는 전국의 고등학교 3학년생 4,000명(남자 2,222명, 여자 1,778명)을 1년 주기로 추적 조사한 자료이다.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물질주의와 4년 후 대인관계의 질, 그리고 10년 후 행복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고3 시기에 물질을 추구하는 청소년들은 대인관계의 질이 낮고 성인기에 행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의 질은 성인기 행복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 물질주의가 장기적으로 성인기의 심리사회적 부적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한 논의와 함께 청소년들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을 위한 사회적 노력의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 KCI등재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구재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1

        Two studies conduct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happiness on the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Study 1 examined whether happiness and psychological resources (self-esteem and optimism) reciprocally predict one another. A total of 308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t two assessment periods 4 months apart. The results showed that initial life-satisfaction predicted increased self-esteem and optimism, and initial optimism predicted improved positive affect. In terms of Study 2, the long term effect of life-satisfac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life-satisfaction and the changes of psychological resources were examined by using the data from Wave 1-4 (2003-2006)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The results of Study 2 are as followings; Firstly, beneficial effects of life-satisfaction on self-esteem and self-trustfulness had lasted for 3 years. Secondly, life-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slightly decreasing and two psychological resources (self-esteem and self-trustfulness) were growing during adolescence. Finally, the initial states and the rate of change of life-satisfaction had influences on the changes of the psychological resources. Overall,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fe-satisfaction has a relation with the formation of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행복이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심리적 자원들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서 두 개의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1에서는 행복과 심리적 자원(자기존중감, 낙관주의)을 4개월의 간격을 두고 2회에 걸쳐 측정했다. 행복과 심리적 자원의 양방향적 영향을 검토했을 때, 생활만족은 초기 심리적 자원을 통제했을 때에도 4개월 후의 자기존중감과 낙관주의를 예측했다. 또한 초기 낙관주의는 초기 행복을 통제했을 때에도 4개월 후의 긍정적 정서를 예측했다. 연구2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2 패널 1-4차년도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1차년도 심리적 자원(자기존중감과 자기신뢰감)을 통제했을 때에도 1차년도에 자신의 삶에 만족한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2-4차년도 심리적 자원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았다. 또한 청소년기에 생활만족은 감소하고 자기존중감과 자기신뢰감은 증가했으며, 초기 생활만족이 높을수록, 그리고 생활만족이 적게 감소할수록 자기존중감과 자기신뢰감은 더 많이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만족이 자기존중감, 낙관주의, 자기신뢰감과 같은 심리적 자원의 형성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행복의 사회적 기능: 행복한 사람이 인기가 있나?

        구재선,이아롱,서은국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5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과 또래 관계 형성의 관련성을 검토했다. 이를 위해서 총 241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급우 관계가 형성되기 전인 1학기 초에 행복 수준(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자기존중감, 낙관주의)을 측정했다. 그리고 4개월이 지난 후 인기도와 사회적 행동을 자기보고 및 또래 평가 방식으로 측정했다. 학기 초 행복 수준과 그 이후 형성된 또래 관계의 관련성을 검토했을 때, 초기 행복 수준은 4개월 이후의 긍정적인 자기 지각 및 또래로부터의 사랑과 인정과 관련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기 초에 행복했던 남학생은 또래로 부터 좋아하는 친구로 지명되었고, 초기 행복 수준이 높았던 여학생은 창의력이 있고 남을 돕는 친구로 지명되었다. 또한 행복한 남녀 청소년은 스스로를 사회성과 리더십이 높고 또래들에게 인기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이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ocial consequences of happines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effect of happiness on the formation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A total of 241 Kore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happiness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optimism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Four months later, their popularity and social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self-reports and peer-nomination measures. Happy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come nominated as a preferred friend by their peers at the end of the semester; happy females were evaluated by their peers as being more creative than others. Happy adolescents also viewed themselves as being more sociable, popular, and having more leadership than others. Overall, the findings imply that happiness also have positive social consequences in highly collectivist cultural settings, such as Korea.

      • KCI등재

        아동의 성격 특질에 대한 이해 발달:특질 추론과 상황적, 시간적 안정성을 중심으로

        구재선,김혜리,김경미,양혜영,고순남,정명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9 No.4

        This study examined 3- to 7-year-old children's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traits in three domains: trait identification, prediction of other's behavioral response, and beliefs about the stability of trait. A total of 79 children's responses(Male, Ns = 36, Female, Ns = 43) were used for the analysis. Each child heard 12 stories describing six contrasting pairs of traits and had to answer three questions about each tra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from 3 years could identify the trait term from target person's past behavioral information. Second, children from 4 years made different behavioral prediction in the same situation for target persons with different trait. Third, children from age 3 to 7 believed that negative trait would be change in a positive dir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eschoolers have ability to understand personality trait as a causal mediator of one's behavior. Also children from age 3 to 7 are instrumental-incremental theorists believing that personality traits are relatively malleable. 본 연구는 아동의 성격 특질에 대한 이해의 발달적 변화를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했다. 첫째, 일련의 행동 정보를 토대로 대상의 특질을 추론하는 능력의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특질을 통해 대상의 미래 행동을 예측하는 능력의 발달적 변화를 검토했다. 셋째, 아동이 특질을 고정된 실체로 이해하는지 아니면 변화가능하다고 생각하는지의 특질 안정성 믿음을 검토했다. 연구 대상은 만 3세, 4세, 5세, 7세 아동 총 79명(남자 36명, 여자 43명)이었다. 총 12개의 긍정적, 부정적 특질을 지닌 주인공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질 추론 능력은 3세에 우연수준을 넘어서 7세가 되면 거의 완벽한 수준으로 발달했다. 둘째, 행동 예측 능력은 4세에 처음 우연수준을 넘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행이 향상됐다. 셋째, 3세에서 7세까지의 아동은 특질이 바람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질 이해 능력이 학령전기에 발달하기 시작하지만 그 이후에도 꾸준히 발달하며, 어린 아동들은 특질이 가변적이라는 ‘증대 이론’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구재선 한국감성과학회 2019 감성과학 Vol.22 No.4

        The relative extrinsic value orientation (REVO) means the relative importance to extrinsic values (e.g. wealth, fame and social approval) compared with intrinsic values (e.g. affiliation, self-acceptance and personal growt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 between REVO and life-satisfaction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r this purpose, 3rd, 5th, and 7th year data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middle school 1st grade panel was analyzed (N = 2,259; 1,140 males and 1,119 fema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ositive auto-regressive effects of REVO and life-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Secondly, REVO was found to have negative and cross-lagged effect on life-satisfaction. However, cross-lagged effect from life-satisfaction to REVO was not significant. Finally, no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is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life satisfaction does not cause the relative extrinsic value orientation, but high relative extrinsic value orientation may cause low life satisfaction.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내재적 가치(e.g. 사회적 관계, 자기수용 등)에 비해서 외재적 가치(e.g. 부유함, 사회적 인정 등)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성이다.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의 3차, 5차, 7차 년도 조사 자료(N = 2,259; 남자 1,140명, 여자 1,119명) 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다음 시점의 삶의 만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은 이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을 설명하지 못했다. 끝으로 이러한 관계는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에 대한 불만족이 내재적 가치보다 외재적 가치를 지향하게끔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이 높을 때 삶의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내재적 가치 지향과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미래 행복의 관계 구조 분석

        구재선,서은국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0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intrinsic value orient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uture subjective well-being in two longitudinal data set in Korea. Study 1 examined whether intrinsic valu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orality influence on the futur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tudy 2 examined whether intrinsic values of self-direction(autonomy and creativity), benevolence(honest and helpful), and universalism(justice, equality, and peace) have the same effect on the future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rinsic value orienta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 future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adolescents' intrinsic value orient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future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by their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f relatedness and compet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cus on intrinsic values and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important for Korea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한국 청소년들의 내재적 가치 지향과 기본 심리적 욕구충족, 그리고 미래 행복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2개의 단기 종단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1에서는 대인관계와 도덕성의 내재적 가치 지향이 심리적 욕구충족을 통해 1년 후 행복에 영향을 주는지 검토했다. 연구2에서는 내재적 가치의 범위를 확대하여 자기주도, 박애, 보편주의의 가치를 측정했을 때에도 연구1의 결과가 유지되는지 검토했다. 자료 분석 결과, 내재적 가치 지향에서 심리적 욕구충족으로의 직접 효과, 심리적 욕구충족에서 미래 행복으로의 직접효과가 유의했다. 또한 내재적 가치 지향은 관계성과 유능감의 심리적 욕구 충족을 통해 미래 행복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청소년들이 내재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김으로써 인간의 기본 심리적 욕구를 충족할 때 더욱 행복해 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 종단 분석

        구재선,서은국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2

        주관적 안녕감이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측면에서 어떠한 결과를 산출하는지 검토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횡단적 관계를 검토하는 예비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은 외국인 노동자나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에 대해서 우호적인 생각과 느낌,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를 활용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종단적 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2년 후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를 예측했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은 동일시기(초5) 뿐 아니라 2년 후 중1이 되었을 때에도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주관적 안녕감은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주관적 안녕감이 적게 감소한 청소년들이 중1이 되었을 때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이 긍정적인 다문화 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행복을 통해 미래 한국 사회의 특징이 예측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ubjective well-being on attitude towards minority group members. In a cross-sectional data, the higher subjective well-being predicted more positive cognitive beliefs, affective feeling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foreign laborers and children of international couples. The causal link from subjective well-being to greater tolerance for cultural diversity was found again in a large longitudinal sample. The rate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 from Time 1 to Time 2 significantly predicted multicultural receptiveness at Time 2.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subjective well-being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favorable attitude towards minority group members.

      • KCI등재

        행복이 미래 수입과 직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구재선,서은국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7 No.2

        This study examined the occupational outcomes of subjective well-being by using the two longitudinal data set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happy workers are more likely to be high performers on the subjective, objective and social indicators of job performance. Specifically, employees with high in positive affect were more likely to work harder, satisfy with their work performance and have higher level of positive job attitude and lower turnover intentions(Study 1). Also individuals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earned more money in 4 years later(Study 2). These beneficial effect of positive feeling and life satisfaction persisted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itial job performance an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ge, sex, years of schooling, and job position. Finally, happy employees received relatively more favorable evaluations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Study 1).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ppiness increases workplace success. 한국사회에서 행복한 사람들이 직업적으로 어떠한 성과를 나타내는지 검토했다. 행복을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으로 정의하고 두 개의 종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행복한 사람들은 불행한 사람들보다 직업수행의 주관적, 객관적, 사회적 지표들에서 더 우수한 수행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긍정적 정서를 자주 경험하는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근로자보다 8개월 후에 자신의 직업에 대해서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이직의도가 낮았으며, 더 성실히 일하고, 스스로 만족할만한 성과를 달성했다(연구 1). 또한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들은 4년 후에 근로소득과 조직몰입도가 더 많이 증가했다(연구 2). 삶의 만족과 긍정적 정서의 이러한 효과는 인구학적 변인(연령, 성별, 직책, 교육기간)과 초기 직업 수행을 통제했을 때에도 유지되었다. 끝으로 직장 동료와 상사들은 행복해 보이는 근로자의 능력, 성품, 사회성에 대해서 더 우호적으로 평가했다(연구 1). 이러한 결과는 행복이 직업적 성공을 위한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구재선,서은국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2

        본 연구는 행복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과 상황적 맥락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누가 그리고 언제 행복한가의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응답자의 행복 수준을 회고식 평가 방식(연구 1)과 경험 표집 방식(연구 2)으로 측정하여 다양한 인구학적, 심리적, 상황적 변인들과의 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사회에서도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데 외적, 상황적 요인보다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재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성격 특성과 행복에 대한 긍정적 관점은 회고적 행복 판단을 18% 예측했으며, 실시간적 행복 경험의 경우 40% 이상이 내적 동기와 의미감에 의해 설명되었다. 반면에 인구학적 특징에 따른 행복의 차이는 매우 미약했다. 개인이 경험하는 행복 수준은 연령, 성별, 결혼여부, 종교, 학력 및 직업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소득을 포함한 모든 인구학적 변인은 행복의 개인차를 단지 3%만 설명했다. 이러한 결과는 학벌이나 소득과 같은 개인의 외적 요소가 강조되는 한국 사회에서도 행복의 개인차가 객관적 삶의 여건보다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한국인의 행복 증진을 위한 사회적 노력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A representative Korean adult sample (N=1,000) was examin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major demographic and personality variables (Study 1).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was conducted additionally (Study 2; N=160) to reduce global memory biases. Consistent with past findings (Diener et al., 1999), individual's characteristics played a far more significant role than objective resources in predicting Koreans' happiness. Personality traits and lay beliefs of happiness accounted for about 18% of the variance in the self-reports, and sense of meaning and internal motivation accounted for more than 40% of the variance in predicting when people are happy. In comparison, demographic factors (e.g.,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 income) accounted for only 3% of the happiness variance. In sum, even in Korea where objective conditions of happiness are highly sought after, who the person is (his/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ems to be more important than what the person has (objective resource) in predicting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