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교양체육에서 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 및 심리적 변인들에 대한 인식 차이
양재영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체육에서 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학년, 전공)에 따른 사회적, 심리적 변인 들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함에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A광역시에 위치한 2개의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볼링, 배드민턴, 테니스, 골프, 요가, 수영, 호신술 등의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한 총 484명으로 구성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 학기 교양체육 수업 종료 전 4개의 설문지를 작성했고 수집된 자료는 독립변인 t검증(Independent t-test)과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을 통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서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능성지지와 흥미 요인에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냈다. 예술체육 전공 학생들은 보건대학 전공과 상경대학 전공 학생들에 비해 내적동기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의과대학 전공 학생들도 보건대학 전공 학생들보다 내적동기 인식 수준에서 우위를 나타냈다. 더 나아가 의과대학 전공 학생들은 자기효능감 인식 수준에서 보건대학, 상경대학 및 인문대학 전공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월등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양체육수업 교수자들에게 지도방법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과 역할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gender, grade, major) of students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a total of 48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such as bowling, badminton, tennis, golf, yoga, swimming, and self-defense for one semester at two universities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The participants completed four questionnaires at the end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one semes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In the results,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perceptions of competency support and interest factors than female students. Additionally, students majoring in arts and sports revealed higher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than those majoring in public health and business and economy. Likewise, students in medical major showed relatively superior results in the level of perception of intrinsic motivation than students majoring in public health. Furthermore, students in medical major showed higher results in the level of self-efficacy perception than those majoring in public health, business and economy, and humanities. These results provided significant information o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roles to university physical educators.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와의 영향관계 -상장여행사와 비상장여행사를 중심으로-
양재영,윤경선,박영진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ffect of the job esteem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listed and unlisted travel agency's employees. To conduct this research,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817 subjects over a one-month interval through in-person data collecting techniques. Results were computed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As a results of listed travel agency. First, Job esteem is effect of job satisfaction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Second, Job esteem is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Third, Job esteem is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Forth, Job satisfaction is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And the result of unlisted travel agency. First, Job esteem is effect of job satisfaction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Second, Job esteem is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as been rejected Third, Job esteem is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Forth, Job satisfaction is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이 연구의 목적은 여행사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상장여행사와 비상장여행사별로 파악하기 위해 진행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서 1개월간 여행사를 개별 방문하여 설문지들을 직접 수거하는 방식으로 총 817부를 수거하여 SPSS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상장여행사의 연구가설 검정결과 첫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둘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셋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비상장여행사의 연구가설 검정결과 첫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둘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와 같이 상장여행사와 비사장여행사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다소의 차이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게 되었다.
물리적환경이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호텔을 중심으로-
양재영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service quality and relational continuance intention. For empirical testing, this study Focused on a business hotel in Seoul was visited during a month long survey period in which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the c leaving 309 responses, which were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named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service quality was identified and had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Second,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the relational continuance intention was accepted. I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al continuance inten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adopted becaus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service quality and relational continuance intention. Accordingly, a business hotel can contribute to profitable management by providing strategic support to its physic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academia of physic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and relational continuance intention analysis. 이 연구는 비즈니스호텔의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서 1개월간 서울시내의 비즈니스호텔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들은 제외하고, 최종 309부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채택되었다. 물리적 환경은 서비스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품질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도 채택되었다. 서비스품질은 관계지속의도에 역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채택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즈니스호텔에서는 전략적으로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수익성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물리적 환경과 서비스품질 및 관계지속의도를 위한 실용적이고 학문적인 연구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직장인들의 인센티브여행 경험이 조직몰입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양재영,박영진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ers’ incentive tour exper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ocus of empirical analysis was on corporate members of the BC card company who were visited over a 3-month survey period and from whom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nd 33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workers’ incentive tour exper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proven. Seco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ccepted. Third, incentive tour experience was a mediating factor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had an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fac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workers being accepted because they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ly, an Enterprise manager can contribute to profitable management by providing strategic support to workers concerning their incentive tour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bstantially contribute to academic and incentive tour exper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 연구는 직장인들의 인센티브여행 경험이 조직몰입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서 총 3개월간 BC 카드사의 법인회원들을 중심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들은 제외하고, 최종 330부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센티브여행 경험이 조직몰입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채택되었다. 둘째, 직장인들의 조직몰입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셋째, 인센티브여행 경험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인들의 조직몰입 요인이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채택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관리자들은 직장인들에게 인센티브여행 경험과 같은 포상여행을 제공하므로 인해서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해서 조직몰입과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기업의 수익성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인센티브여행 경험과 직장인들의 조직몰입 및 조직유효성을 위한 실용적이고 학문적인 연구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케이팝(K-Pop)의 글로컬(Glocal) 전략과 혼종정체성 : '포스트-한류'시대 케이팝의 사회문화적 지형에 대한 소고
양재영 한국음악응용학회 2011 음악응용연구 Vol.4 No.-
이 글은 한류 혹은 포스트-한류 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적 표현물이자 상품인 케이팝(K-Pop)의 문화적 지형과 그 '생산-분배-소비'를 둘러싼 동학(dynamics)에 대한 시론적인 고찰을 목표로 한다. 우선, 최근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케이팝의 '인터 아시아(inter-Asia)화'를 넘어선 '탈 아시아화' 과정은 '혼종성(hybridity)' 개념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관심을 요구한다. 대중문화 텍스트로서 케이팝 혹은 한국 대중음악의 지속적인 혼종성은, 문화-경제적 연예산업 시스템으로서 한류의 최근 '글로컬(glocal)' 전략/전술과 상보적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즉 케이팝은 혼종적인 문화적 텍스트이면서, 동시에 글로벌과 로컬이 복합적으로 상호 작동하는 탈국적인 사회문화적, 경제적 장(field)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 당대의 케이팝에 대한 고찰은 생산과 유통 과정 뿐 아니라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소비의 의미에 대한 고민하게 한다. 맹목적인 팬돔(fandom)을 넘어서는 적극적인 문화적 실천으로서 케이팝의 초국적 소비와 수용의 사례들은, 문화산업으로서 케이팝 혹은 한류에 대한 이해가 단순히 그 생산과 분배/유통에 대한 분석 혹은 그 과정을 둘러싼 담론에만 국한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정교해지고 대규모화된 케이팝이라는 대중음악 텍스트 혹은 문화산업 구조물은 글로벌-로컬, 혼종성-순혈적 민족주의, 탈국적성-국지성이라는 상반된 문화적 개념과 사회경제적 범주들이 공존하며 뒤섞여 있다. 따라서 생산과 유통에서 소비에 이르는 케이팝의 상호 연관되고 일관된, 하지만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동학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이 요구된다.
대학교양체육활동 재참여를 결정하는 학생들의 수업인식요인
양재영,손원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식한 사회 및 심리적 요인(교수행동, 자기조절동기, 자기효능감)들이 그들의 활동 재참여에 어떠한 기여효과를 발휘하는지 조사함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A도와 B광역시에 위치한 4개의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농구, 축구, 수영, 골프, 테니스, 볼링, 스포츠댄스 등의 활동에 참여한 502명을 포함한다. 참여자들은 한 학기 수업 종료 전 4개의 설문지를 작성했고 수집된 설문자료는 단계별 다중선형회귀 분석(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s)을 통해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학생들이 체육수업 동안 내적조 절동기를 내면화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에서 활동 재참여에 대한 기대효과를 나타냈다. 아울러 유능성지지, 자기효능감 그리고 확인적조절동기 요인들도 유의한 수준에서 참여했던 체육활동의 재참여를 유발하는 긍정적 기대효과로 작용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양체육 교수자들이 학생들의 활동 재참여를 이끌기 위해서는 재미와 흥미, 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효율성, 개인적 목표 달성 등의 긍정적 경험이 내면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방법 및 매체 활용, 과제목표 지향적 교수활 동, 적극적인 칭찬 그리고 개인별 수준에 따른 피드백 제공 등의 교수활동이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eaching behaviors, motivation of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perceived by students participating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ontribute to their re-engagement. Study participants included 50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ctivities such as, basketball, soccer, swimming, golf, tennis, bowling, and sports dance during one semester at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A and B metropolitan cities. The participants filled out four questionnaires before the end of the semester,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when students internalized internal motivation of self-regulation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expected effect of re-engagement was at the highest level. Additionally, competency support, self-efficacy, and identified motivation of self-regulation also played as positive expectation factors to induce re-engagement in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participated at a significant level. These results suggested for university physical educators the use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edia, task oriented teaching activities, positive praise, and providing feedback according to individual levels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internalize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fun and interest, confidence and efficiency in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personal goals, which can in turn lead to the re-engagement.
조사 ‘가’의 기원에 관한 새로운 해석— 의문첨사설과 일본어 차용설의 비판적 종합 —
양재영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22 언어학 Vol.- No.93
A variety of hypotheses have been postulated about the origin of the Korean ‘nominative case’ particle ka, of which the sudden initiation of attestation is problematic. These seemingly incompatible hypotheses can roughly be grouped into three: grammaticalization, emergence, and Japanese influence. In this paper I first investigate the supporting evidence and limitations of two recently popular hypotheses, namely grammaticalization of the interrogative particle -ka and borrowing or influence from the Japanese ‘nominative case’ particle ga, and then suggest a modified version of the former position that integrates elements of the latter. In specific, I argue that the reanalysis of interrogative particle -ka to subject focus marker ka was mediated through a ‘inverted focalized (cleft) question’ construction, and was facilitated by sharp increase in contact with the Japanese languag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is kind of development is not only plausible in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but explains the morphosyntactic environment of ka in the earliest attestations and the modern distribution of dialectal particle la(y)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