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의 효과

        양병세,이동원,남상욱,하정구,김진구,Yang, Byung Se,Lee, Dhong Won,Nam, Sang Wook,Ha, Jeong Ku,Kim, Jin Goo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시행하는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10년 9월까지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을 시행하지 않고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20명(PM군)과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을 시행하고 봉합술을 시행한 시행한 환자 32명(RM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반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안정성 검사로 술 후 3개월, 1년 추시 시 압통, 주관적 불안정성 및 외반 부하 검사를 시행하였고, 유용성 검사로 압박대 사용시간을 비교하였고, 임상 결과는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과 관련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합병증은 없었다. 술 후 3개월 및 1년 추시 관찰 시 압통, 주관적 불안정성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 외반 부하 검사상 grade I의 불안정성을 보였다. 압박대 사용 시간은 PM군 $53.5{\pm}13.6$분, RM군 $41.3{\pm}12.7$분으로 두 군간 차이를 보였다(P<0.05). 술 후 임상결과는 PM군은 술 전 Lysholm 점수 $56.8{\pm}5.5$에서 술 후 $85.1{\pm}5.8$로(P<0.001), 술 전 IKDC 점수 $42.6{\pm}6.3$에서 술 후 $77.2{\pm}6.3$로(P<0.001), RM군은 술 전 Lysholm 점수 $56.2{\pm}5.4$에서 술 후 $87.4{\pm}3.9$로(P<0.001), 술 전 IKDC 점수 $42.7{\pm}5.7$에서 술 후 $89.6{\pm}2.9$로(P<0.001) 개선되었다. 두 군간 수술 전, 후의 Lysholm 점수, IKDC 점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은 슬관절 내측 수술 시 시야 확보에 유리하며,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임상적 의미있는 잔존 불안정성을 남기지 않아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the stability of the superficial 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 release in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20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repair with superficial MCL preserved (PM) and 32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repair combined with superficial MCL release (RM) from April 2006 to September 2010. We excluded the patients combined with other surgery.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valgus instability in RM group, we examined direct tenderness on MCL insertion, the subjective feeling of instability and valgus stress test at 3 months and 1 year follow-up. We compared the tourniquet time between PM group and RM group, and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by Lysholm score and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for the usefulness. Results: All patients had no clinically significant complication related to the superficial MCL release. Three months and 1 year follow-up, there were no positive tenderness test, no subjective symptoms and no significant increase of valgus instability although 5 patients examined grade I valgus instability. The mean tourniquet time was $41.3{\pm}12.7$ minutes in RM group and $53.5{\pm}13.6$ minutes in PM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urniquet tim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Average Lysholm score was $56.8{\pm}5.5$ (range, 44-70) preoperatively and $85.1{\pm}5.8$ (range, 77-94) postoperatively in PM group, and was $56.2{\pm}5.4$ (range, 45-67) preoperatively and $87.4{\pm}3.9$ (range, 82-95) postoperatively in RM group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ysholm score was found in both groups (P<0.05). Average IKDC scores was $42.6{\pm}3.9$ (range, 30-53) preoperatively and $77.2{\pm}6.3$ (range, 68-92) postoperatively in PM group, and was $42.7{\pm}5.7$ (range, 30-53) preoperatively and $89.6{\pm}2.9$ (range, 84-95) postoperatively in RM group (P<0.05).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KDC score in both groups (P<0.05). Conclusion: The superficial MCL release in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repair is useful to gain a wide surgical field and reduces the tourniquet time and does not lead to postoperative valgus instability. It can be considered clinically useful and safe procedure in medial meniscus posterior root repai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의 원인

        조우신(Woo-Shin Cho),염윤석(Yoon-Seok Youm),양병세(Byung-Se Y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2

        목적: 슬관절 재치환술을 하게 된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 받았던 84명의 환자, 9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치환술시 병력, 의무 기록 및 방사선 소견을 중심으로 재치환술을 받게 된 가장 주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재치환술의 원인은 감염이 34예(37.8%), 삽입물의 해리가 26예(28.9%), 폴리에틸렌의 마모와 파손이 17예(18.9%), 슬관절 강직이 5예(5.6%), 폴리에틸렌의 탈구가 4예(4.4%), 슬개골 탈구가 2예(2.2%)였으며, 슬개골 삽입물의 파손과 불안정성이 각각 1예(1.1%)였다. 본원에서 수술한 경우가 43예, 타원에서 전원된 경우가 47예 이었으며, 일차 수술 후 재치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년 11개월(1개월-20년)이었다. 결론: 슬관절 재치환술의 원인은 감염이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이 삽입물의 해리, 폴리에틸렌의 마모와 파손, 슬관절 강직, 폴리에틸렌의 탈구 등의 순이었다. Purpose: To assess the causes of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The causes of 90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ies were analyzed in 84 patients between December 1996 and June 2006. The patients' history,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reviewed in order to detect the main cause of failure of the primary TKA. Results: The causes of revision TKA are as follows: 34 infections (37.8%), 26 loosenings (28.9%), 17 polyethylene wears or breakages (18.9%), 5 stiffness (5.6%), 4 polyethylene dislocations (4.4%), 2 patellar dislocations (2.2%), 1 patellar component failure and 1 instability (1.1%). The mean interval from the index operation to the revision surgery was 59 months (1 month-20 years). Conclusion: Infection was the most common causes of revision TKA followed by loosening, wear or breakage of the polyethylene, stiff knee, and dislocation of the polyethylene.

      • KCI등재

        천장골 나사못 고정과 연관된 한국인 상부 천골의 구조

        김정재 ( Jung Jae Kim ),정철영 ( Chul Young Jung ),오형근 ( Hyoung Keun Oh ),양병세 ( Byoung Se Yang ),장재석 ( Jae Suck Chang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2

        목 적: 한국인에서 천장관절의 나사못 삽입과 관련한 상부 천골의 구조와 안전 구역의 해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반부 3차원 컴퓨터 단층 촬영 (3D-CT)을 시행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6채널 CT장비로 촬영 후, 그림자 표면 표시 (shaded-surface display), 투과영상 (transparent image)과 재조합 영상 (reformat imag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제1천추에 대한 익상부의 경사도는 27.3˚,입구 영상각은 24.6˚, 제1천골 골단판의 경사도는 39.7˚였다. 제1천추경의 축은 32.5˚, 제2천추경의 축은 15.6˚ 전내방으로 향해 있었다. 제1천추경의 정측면상 단면적은 310.7㎟, 축에 대한 단면적은 384.8㎡였다. 제2천추경은 수평면상 단면적은 163.1㎟, 축에 대한 단면적은 188.4㎟였다. 익상부 전방 만입은 평균 5.1㎜ (최대 9.5)였다. 명백한 상부 천추 이형성증은 22%, 전이형은 32%였다. 결 론: 한국인의 상부 천골을 3D-CT를 이용하여 계측하였으며, 이형성증은 정도에 따라 54%의 빈도를 나타내어 이형성증을 고려한 천장관절 나사못 삽입과 관련한 해부학적 연구 및 술기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upper sacral morphology and anatomy of safe zone related to iliosacral screw fixation in Korean. Materials and Methods: 100 patients performed pelvis 3D CT scan were evaluated. We used 16channel CT and analyzed reconstructed image (shaded-surface display, transparent image and reform at image). Results: The angle between superior aspect of S1 body and iliac cortical density is 27.3˚, between anterior cortical line of S1,2 body and horizontal plane 24.6˚, and between superior aspect of S1 body and horizontal plane is 39.7˚. The axis of S1, S2 pedicle is 32.5˚ and 15.6˚ toward anteroom edial. The area of S1 pedicle according to sagittal plane and sagittal-oblique axis is 310.7㎟ and 384.8㎟. Also, S2 pedicle area is increased 163.1㎟ to 188.4㎟. The average depth of ala indentation is 5.1 ㎜ and the maxim al value is 9.5 ㎜. Distinct upper sacral dysplasia is 22%, transitional form is 32%. Conclusion: We measured Korean upper sacrum with 3D-CT, found out dysplasia come up to 54%.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dysplasia, the investigation of anatomy and technique is essential to sacroiliac screw inser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