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국민성” 양성 교육 연구: 일본어, 수신과, 공민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안홍선 ( Hongseon Ahn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3

        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여러 교과목 가운데 수신, 일본어, 역사, 지리 등은 ‘국민성’ 양성과 관련된 핵심과목으로 분류되었고, 이후에 도입된 공민과도 이에 해당된다. 검인정교과서제도를 채택하고 있던 일본에서와 달리, 조선총독부는 이들 과목의 교과서만은 직접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교과서 정책을 도입한 배경과 ‘국민성’ 양성 과목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식민지 중등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당시 중등교육은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 실업학교 등 각기 성격을 달리하는 복선형 체제였다. 핵심과목은 ‘충량한 국민’ 혹은 ‘건전한 국민’ 양성을 표방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었지만, 각 학교용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구체적인 인재상은 서로 달랐다. 또한 동일한 교과목이라 하더라도 제국 일본에서와 식민지 조선에서의 교육내용은 동일하지 않았다. 이들 학교 및 조선과 일본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식민지 지배정책의 모순으로 인해 각 교과에 투영된 식민지 중등교육의 목표는 제대로 기능하기 어려웠다. 특히 공민과 도입 과정에서 식민지 교육의 모순이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정치.경제.사회생활에서 자치적인 공민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공민과 교육은 어떠한 정치적 권리도 주어지지 않은 조선의 상황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것이었다. 결국 공민과 교육은 조선인에 대해 권리는 배제한 채 의무와 헌신만을 강요하는 가족주의적 국가관 주입과 도덕교육의 강화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공민과의 도입 과정은 ‘국민성’ 양성 교육의 모순성, 즉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교육이 갖는 모순성과 무능력이 배태한 폭력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ith the purpose of gaining the agreement of Koreans, the colonial authorities made the curriculum of so-called spiritual education including morality, Japanese language and citoyen subject. The textbooks of these subjects were intended to discipline Korean students to internalize the obedience willingly. However,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was frequently confronted by the resistance movement of Korean students. These strained relations between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and Korean students gave traits unique to the colonial education.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education policy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s of spiritual education. For instance, the citoyen subject was a citizenship curriculum to boost mature civic awareness in Japan where universal suffrage was in effect. In colonial Korea, however, everything was different to Koreans who were not given any political rights. Consequently, the citoyen subject was designed to merely function to make sense the obligation duty and loyalty of Koreans to the Japanese Empire. In other words, the colonial education was never the same one in the imperial Japan even though the assimilation principle was claimed to stand for ethnic indiscrimination officially. Thus, the absurdity of Japanese colonial education stemmed from the contradict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itself, which was so violent to Koreans as well as illogical.

      • KCI등재

        일제강점기 중등 실업학교의 민족 공학제 연구

        안홍선(Ahn, Hongseon) 교육사학회 2015 교육사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중등 실업학교에서 운영된 민족 공학제도를 검토하고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중등교육 단계에서 실업계 학교는 일반계 학교와는 달리 조선인과 일본인이 같은 학교에 재학하는 민족 공학제로 운영되었다. 민족이 혼합된 학급을 편성하고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도록 하는 등 노골적인 민족간의 차별을 낳는 요소를 없애고자 하였다. 이처럼 민족 공학제는 형식적 차별제도를 폐지하고 ‘일시동인’을 표방한 1920년대 이후 식민지 교육의 이상적 실험이었다. 그러나 실업학교의 민족 공학제 운영은 조선인 학생들에게 매우 차별적인 것이었다. 신입생 선발에서 전체 지원자수 규모를 무시한 민족간 동수 선발 원칙은 조선인에게는 극심한 입학 경쟁을 낳는 불공평한 제도였다. 학교생활에서도 조선인 학생들은 같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차별적 관행을 경험해야 했으며, 학업성적 산출과정에서 일본인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었다. 또한 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하는 과정에서도 추천제 취업은 민족적 차별의 요소가 구조적으로 내재되어 있었다. 이처럼 실업학교의 공학제는 식민당국에 의해 ‘내선융합’의 상징인 것처럼 선전되고 있었으나, 실제 운영은 매우 불공평하며 차별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인 학생들은 집단행동을 일으키며 당국의 민족 공학정책을 정면으로 반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실업학교 학생들의 집단적 저항은 고등보통학교나 보통학교에까지 민족 공학제를 확대하려는 일본 제국주의의 ‘동화주의’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thnic discrimination of the coeducation system operated at secondary vocational school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10-1945. Unlike general schools, secondary vocational schoo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dopted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which allowed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to attend the same school. The aim of ethnic coeducation system was to remove the factors that caused blatant ethnic discrimination, claiming to ‘Fusion of Korea and Japan’ policy. Mixed ethnic groups were organized in a classroom for the same curriculum and a dormitory was also organized with mixed ethnic groups so they could also live in the same space. Furthermore, meticulous attention was paid to the maintennce of ethnic balance when selecting a student representative. However,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operated at vocational schools had highly discriminative features to Korean students. Since the ratio of ethnic group for the admission was fixed, the different admission rate applied to Korean and Japanese. The principle of selecting the same number of candidates from different ethnic groups, neglecting the size of the entire number of applicants, made the system unfair to Korean, causing an intense admission competition. Moreover, even though Korean students successfully entered the school, they had to experience discriminative customs happening in the same classroom everyday. Especially Korean students highly complained about the calculation of school records, because they got comparatively low scores on items in which the subjectivity of an evaluator was involved, such as practice and conduct points, compared to Japanese students. The ethnic discriminative system of vocational schools applied to not even admission and school life but graduation and employment. Employment of students at vocational school at that moment was performed by a recommendation system. When administrative agencies or ordinary companies asked school for a recommendation of school graduates, school selected students suitable for each organization and asked the relevant organization for their employment. However, there were ethnic discriminative elements structurally hidden in such recommendation system. Organization that asked for a recommendation specified the conditions of desired ethnic group for such recommendation and school also selected and recommended students with a discriminative standard for each ethnic group. Consequently, Korean students could not be recommended for a desired job or failed to get a job, being pushed back by Japanese students having lower scores. As described above, the coeducation system at vocational schools having strong ethnic discriminative nature, but it was propagated as if it was a symbol of ‘assimilative educa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However, Korean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who had experienced discriminative customs everyday under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and developed their ethnic awareness and took collective actions to oppose the coeducation policy. Such collective resistance of vocational school students was about raising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ssimilation policy of the imperialism of Japan that attempted to expand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even to other general schools.

      • KCI등재

        원격연수 실태 및 교원의 인식 분석: 교원의 집단별 특성에 따른 연수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 분석을 중심으로

        안홍선 ( Ahn Hong-seon ),박현주 ( Park Hyun-joo ),조상식 ( Cho Sang-s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교원교육 환경에서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면대면 집합연수에서 온라인 원격연수가 지배적인 형태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그러나 원격연수가 양적으로 확대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이러한 변화가 교원의 연수에 대한 태도나 인식에서 어떠한 변화를 낳고 있는지에 관한 논의도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먼저, 교육 환경 변화로 인한 교원의 연수 현황과 원격연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원격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원격연수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를 비롯하여, 개선에 관한 요구 분석이 주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원격연수 활성화와 연수제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교직 경력, 보직 여부, 성별 등에 따른 교원의 개인 특성 분석을 염두에 두고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먼저, 교원의 연수 실태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상이한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원격연수 비중은 교육기본통계조사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으며, 또한 연수 주제에서도 교양·취미 분야에 편중된 것도 아니었다. 다음으로,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 등에서 교원 집단 간의 서로 다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교원이 중·고등학교 교원보다 연수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긍정적이었으며,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초임교원이 다른 경력집단의 교원보다 연수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한편, 본 연구의 조사는 다른 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확인해 주기도 하였다. 즉, 자발적 동기에 의한 참여 집단이 비자발적 참여 집단에 비해 강좌 진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연수의 결과 활용도는 다른 무엇보다도 강좌의 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로부터, 원격연수 개선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연수 강좌 및 프로그램 개발에서 반드시 학교급과 교직 경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동일한 강좌를 개발하더라도 학교급을 구분하여 각기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초임교원의 교직 적응 및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과정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온라인 교육이 갖는 장점을 최대한 발현시키는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다. 시·도교육청 단위의 구획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스템 개방 또는 연계 방안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원격연수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는 방편으로 집합연수 시간을 일부 삽입하여 혼합연수 형태를 확대하는 시도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오히려 프로그램 및 시스템 개발을 통해 면대면 교육의 장점을 온라인상에서 구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 decisive change in the area of teacher education, and online training has become a dominant training tool replacing face-to-face training. Despite the rapid expansion in quantity, the current states of distan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se programs are relatively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the current states of teachers’ use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s, and (b)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distance education programs, and utilization of the program contents in their everyday teaching practice. Online survey with 4,000 teachers nationwide revealed some findings contrary to those in the current National Education Statistics. Distance training was found to be the most widely-u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surpassing face-to-face training. Teachers selected distance learning courses related with pedagogy/teaching, guidance/counseling, or mandatory programs over courses about general education or hobbi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stently repor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th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Also, teachers in the beginning stages showed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distance training programs. Additionally, we found som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Those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involved distance education courses more actively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voluntarily. Utilization of the distance training programs in teaching practice heavily depended on the course themes. Implication of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in light of future direction of dista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사범학교제도의 식민지적 성격

        안홍선(Ahn, Hongseon) 교육사학회 2017 교육사학연구 Vol.27 No.1

        한국의 교육사 이해에서 식민지시기 사범학교제도는 우수한 학생 선발, 목적형 교육과정 운영, 안정적인 교원 공급 등의 측면에서 목적형 양성체제의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가가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것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범학교제도가 성공적으로 기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식민지적 상황이라는 매우 특수한 조건에 있었다. 먼저,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었던 것은 중등교육 기회 제약 및 고학력 지위의 일본인 독점에 따른 반사적 효과였다. 그리고 목적형 교육과정 운영에서도 당시 사범학교는 중등교육 단계에 있었기 때문에 전면적인 시행이 어려웠다. 더구나 양성기간이 길었던 사범학교제도는 안정적인 교원 공급에 매우 불리한 제도였다. 급증하는 교원 수요에 대처하지 못하였고, 부족한 교원은 단기 양성과정이나 일본으로부터의 유입에 의존해야 했다. 이처럼 취약한 사범학교제도가 식민지시기에 목적형 양성체제로서 운영되었던 이유는 다른 데 있었다. 일본에서보다 강화된 폐쇄형 제도를 통해 일반 보통교육을 통해서는 채울 수 없는 교사의 품성 계발을 목적에 둔 것이었다. 교원이 되려는 자를 어린 나이에 조기 선발하여, 장기간의 ‘훈육’을 통해, 국가주의적 교육관을 체득하고 천황주의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식민지적 교원양성제도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assess the prevailing thought that the Normal School System in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1910-1945) was a model of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t is often said that the Normal Schools succeeded in recruiting excellent students, producing qualified teachers and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 through long-term educ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 success of the Normal Schools was due to the oppressed colonial circumstances, not the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tself. So, whe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came to an end, the strong point of the Normal Schools was supposed to be weak. As of now, we can witness that normal school system as a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was transformed into obstacle to producing creative teachers.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및 교사인식 분석

        안홍선(Ahn Hong Seon),박현주(Park Hyun Joo),윤초희(Yoon Cho H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핵심역량 개념에 기초하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개발 및 정의하고, 그에 대한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의 핵심역량 및 교사의 역량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론적·개념적 맥락에서 교사의 핵심역량을 구안하고, 이에 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인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수정하고 정교화하였다. 또한, 현직 교사와 교육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곤란도, 그리고 이러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현재의 양성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수업 역량, 학생 공감 역량, 의사소통 역량, 교육공동체 형성 역량, 교사정체성 개발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그러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는 양성교육에서 여전히 교과를 가르치기 위한 지식과 기술에 편중된 기능주의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학교 교육과정이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개정된 것과 호응하여, 교사교육에서도 교과나 직무 중심의 지식ㆍ기술교육을 벗어나 태도나 가치지향 등을 포함하는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are (a) to develop and defin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b) to examine how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erceive the proposed constructs of key competencie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we reviewed extant literature about teachers’ key competencies and developed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view. Next, initial conceptions of key competencies were revised and refined through two delphi studies. Finally, we examined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of competencies, difficulty in performing competencies, and the extent of contributions of current teacher development curriculum to competencies. The fiv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instruction competency, empathy competency, ability to build education community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y competency.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at current curriculum is perceived to hold functionalistic perspective which mainly focuses on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omprehensive competency approach into teacher development curriculum as well as schoo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정성수(Sung Soo Jung),안홍선(Hong Seon Ahn)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2 지방교육경영 Vol.25 No.3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2020년에 실시되지 않았으며, 2021년부터 제도 개선되어 실시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이해관련당사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1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종료 이후에 평가에 참여한 이해관련당사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도 개선 사항들에 대해 평가부담 완화, 평가 시스템 접근의 편리성, 결과활용 부담의 완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이 높았으나 지나친 간소화, 시스템의 불안정 등 부정적 인식과 우려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일한 제도 개선사항에 대해 평가주체간(교원과 학부모간) 인식 차이가 특히 크게 나타난 사항에 대해서는 좀 더 면밀한 연구와 조사를 통한 제도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평가 결과 활용 계획의 수립, 평가 목적 및 평가 주체에 맞는 맞춤형 평가문항의 설계, 평가 참여율 제고를 위한 학교급별, 지역별, 평가 주체별 방안 모색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perceptions and finding the right direction for future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with interested parties who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valuation of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in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positive perception of system improvement was high, but negative perceptions and concerns were also significant. It was suggested that system improvement through more in-depth research and investigation was necessary for matters in which there was a particularly larg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evaluation subjects(between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he same system improvement ite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plan for using specific evaluation result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design customized evaluation questions for evaluation purposes and evaluation subjects, and seek ways for each school level, region, and evaluation subject to increase the evaluation participation rate. d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