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18세기 退溪學派의 「心統性情圖」 해석에 관한 연구 ─拙齋 柳元之와 愚潭 丁時翰을 중심으로─

        안유경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5 No.-

        This paper in Toegye schools by interpretation of Joljae(Ryu, Won-ji) and Woodam(Jung, si-han) study how the interpretation of Toegye simtongsungjungdo by 17~18 century korea's Confucian. Joljae and Woodam of simtongsungjungdo interpretation is largely able to divide into two. One is Toegye simtongsungjungdo contents of interpretation, other is Yulgok simtongsungjungdo of criticism. First Joljae emphasized according to contents division to Sadan(四端) and Chiljung(七情). Sandan of emotion and Chiljung of emotion is apart because of clearly must division. Also Yulgok simtongsungjungdo criticize to wrong good emotion and evil emotion of divide. emotion originally actual not bulsun(不善) of mixing because of Yulgok not add incase Jung domain(情圈) picture of evil letter. Also Woodam Assessed Toegye simtongsungjungdo overall obvious to equipped with all reasonable. Especially in the Toegye simtongsungjungdo hado(下圖) interpret to SadanChiljung of Libal and Kibal to emphasized Likihobalsul(理氣互發說) of feasibility. Yulgok 「simsungjungdo」 should be in Simsung domain, but lay out Simsung because of wrong. Cheukeun(惻隱), Suo(羞惡), Sayang(辭讓), Sibi(是非) do not get off. Thus Joljae and Woodam emphasized to divide Sadan and Chiljung of Libal(理發) and Kibal(氣發) of Toegye simtongsungjungdo, and criticize to Yulgok simtongsungjungdo. 본 논문은 퇴계학파 내의 拙齋(柳元之, 1598~1674)와 愚潭(丁時翰, 1625~1707)의 「심통성정도」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퇴계의 「심통성정도」가 17~18세기 조선의 유학자들에 의해 어떻게 해석되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졸재와 우담의 「심통성정도」의 해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퇴계 「심통성정도」의 내용에 대한 해석이고 다른 하나는 율곡 「심성정도」에 대한 비판이다. 먼저 졸재는 퇴계 「심통성정도」 하도의 내용에 따라 사단과 칠정을 구분해 볼 것을 강조하였다. 사단의 정과 칠정의 정은 별개의 것이니 분명히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율곡의 「심성정도」에 대해서는 정을 선한 정과 악한 정으로 나눈 것이 잘못되었다고 비판하였다. 정의 본래 실상에는 불선의 섞임이 없기 때문에 율곡이 ‘악’자를 정권의 그림 안에 추가해 넣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또한 우담은 퇴계의 「심통성정도」가 전체적으로 아주 정밀하고 일목요연하며 모든 이치를 다 갖추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퇴계 「심통성정도」 하도에서는 사단과 칠정을 이발과 기발로 해석하여 이기호발설의 타당성을 강조하였다. 율곡의 「심성정도」에 대해서는 인의예지가 심성의 권역 안에 있어야 하는데 심성의 밖에 두었기 때문에 잘못이며, 측은․수오․사양․시비는 맹자가 인의예지의 단서를 발명하여 이전 성인들이 발명하지 못한 것을 확충한 것인데 「심성정도」에서는 모두 이걸 빼버리고 쓰지 않았다고 비판하였다. 이처럼 졸재와 우담은 퇴계 「심통성정도」 하도의 내용인 사단칠정을 이발과 기발로 구분해볼 것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율곡의 「심성정도」를 비판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여헌 장현광과 우암 송시열 사단칠정론의 비교 고찰

        안유경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his thesis aims to clarify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y comparing the Sadanchiljeonglon of Yeohan(Jang Hyeon-Kwang, 1554-1637) and Uam(Song Shi-yeol, 1607-1689). The comparison of Yeohan and Wooum's Sadanchiljeonglon can be compared to a figure representing the early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However their Sadanchiljeonglon are divided into the theories of Toegye and Yulgok. Namely Yeohan, who succeeded in Toegye's scholarship, criticizes Toegye's theory and also criticizes Yulgok's theories. So what are their theoretical grounds, and what point do they criticize the theory of Toegye and Yulgok? That is what we are trying to tackle in the text. Thus, in the text, they clearly identify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y comparing their Sadanchiljeonglon,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see how the theory of Toegye and Yulgok developed the evolution of the early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본 논문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1554-1637)과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사단칠정론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그 이론적 차이를 분명히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헌과 우암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비교는 초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를 대표하는 인물에 대한 비교가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의 사단칠정론은 퇴계나 율곡의 이론과 구분된다. 즉 퇴계의 학문을 계승한 여헌도 퇴계의 이론을 비판하고 율곡의 학문을 계승한 우암 역시 율곡의 이론을 비판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의 이론적 근거는 무엇이며, 이들은 어떤 관점에서 퇴계와 율곡의 이론을 비판하였는가? 이것이 바로 본문에서 다루려고 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이들의 사단칠정론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들 두 사람의 이론적 차이를 분명히 밝히고, 동시에 퇴계와 율곡의 이론이 초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학자들에게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그 전개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21세기 생태환경 문제에서 인간에 대한 해석과 그 역할- 퇴계 이황과 머레이 북친을 중심으로 -

        안유경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40 No.-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humans and the role of Toegye Lee Hwang and Murray Bookchin as part of practical alternatives to today's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that humans are the main culprit of environmental problems. As a result, when human responsibility is exercis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ity or reason, finally can love others and benefit everything, harmonize the entire planet, and create a rational society. This is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oegye and Bookchin demand from humans. In the end, Toegye and Bookchin both recognize human excellence by distinguishing humans from other natural objects, and on the premise of such trust in humans, it is possible to harmonize with everything in nature when restoring the right human image. 본 논문은 생태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이 인간이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역시 인간에게 있다는 시각에서, 오늘날 생태환경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안의 일환으로서 퇴계 이황(1501~1570)과 머레이 북친(1921~2006)의 인간에 대한 해석과 그 역할을 고찰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仁의 실현 또는 이성의 실현을 통해 인간의 책임감이 발휘될 때에 비로소 남을 사랑하고 만물을 이롭게 하여 지구 전체가 조화를 이루며 나아가 합리적 사회를 창조해나갈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퇴계와 북친이 인간에게 요구하는 역할이요 책임감이다. 결국 퇴계와 북친은 모두 인간과 여타 자연물을 구분함으로써 인간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이러한 인간에 대한 신뢰를 전제로 올바른 인간상을 회복할 때에 생태환경 문제를 비롯한 자연만물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이항로의 주리론적 성리학 특징 고찰

        안유경 영남퇴계학연구원 2022 퇴계학논집 Vol.- No.31

        In this paper, examine how his Juri theoretical thinking developed in neo-confucianism,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insimdosim and sadanchiljung among Hwaseo's Ligi and simsung theory, and confirm that these Juri theoretical thinking leads to the theoretical basis of his saving the country practice. Above all, Hwaseo emphasizes Li's uniqueness that does not mix with Gi. Li's an independent positionition as the leader and presiding over the Gi is secured only when speaks only Li without mixing it with Gi, which leads to thinking such as Lisun-Gihu, Lijon-Gibi, Liju-Giyeug, and Risun-Giak,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develops in simsung theories such as his insimdosim and sadanchiljung. In the end, Hwaseo's Juri theoretical thinking provided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realiz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onfucian scholars during an urgent period when the political situation demanded the implementation of the salvation. 본 논문에서는 화서의 주리론적 사고가 이기론과 심성론, 특히 인심도심설과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그의 성리설 전반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나갔는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이러한 주리론적 사고는 그대로 그의 위정척사운동과 같은 救國실천의 이론적 근거로 이어짐을 확인한다. 무엇보다 화서는 기와 섞이지 않는 리의 독자성을 강조한다. 기와 섞지 않고 오로지 리만을 말할 때에 비로소 기를 통솔․주재하는 리의 독자적 지위가 확보된다. 이것은 그대로 理先氣後․理尊氣卑․理主氣役․理善氣惡 등의 사고로 이어지며, 동시에 인심도심설과 사단칠정론과 같은 그의 심성론에서도 그대로 전개된다. 결국 화서의 주리론적 사고는 당시 정국이 救國의 실천을 요구하는 긴박한 시기에 위정척사운동을 전개하여 유학자들의 적극적 현실참여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 KCI등재

        대산 이상정의 미발론 연구

        안유경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2

        This paper is based on the mibal theory of Daesan(1711-1781). Daesan's mibal theory is in favor of the interpretations of Zuzhi.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make it the Jungyonghokmun to use as a standard.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 Zuzhi of interpretation, Daesan interpret on a basis Jungyonghokmun of content. In other words, mibal time have a perceptual activity, corresponding to Gongui, and can be see and heard in the time of mibal. So why should you stay awake and not be too blind at the time of Mibal? This is because the mind is work through mibal and ibal. From here, Daesan raises the theories of ‘jungjoongjidong’ and ‘dongjoongjijung'. Even in the time of silent mibal, the principle of moving is already in place, even when you're getting a ibal, you already have a quiet principle. It is said that you need to stay awake at all times to deal with ibal. Therefore, the perception should always be kept awake even during the time of mibal, and the study of ‘Kyeong’ by sangsungsung is also stressed. This is a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distinguishes it from Buddhist practice of breaking off relations with things by seeking only silence, the meaning of mibal theory can also be found here. 본 논문은 大山 李象靖(1711~1781)의 미발론을 고찰한 것이다. 대산의 미발론은 주자의 해석을 계승하는 입장이다. 특히 대산은 주자의 『중용혹문』의 내용을 정설로 삼을 것을 강조한다. 미발론에 대한 주자의 해석에 일부 변화가 있지만, 대산은 주자 『중용혹문』의 내용에 근거하여 자신의 미발론을 해석한다. 즉 미발의 때에도 지각작용이 있으며, 미발은 곤괘에 해당하며, 미발의 때에도 보고 들음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미발의 때에는 지각이 어둡지 않고 깨어있어야 하는가? 왜냐하면 마음이란 未發(정)과 已發(동)을 관통하여 유행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대산은 ‘靜中之動’과 ‘動中之靜’의 이론을 제기한다. 고요한 미발의 때에도 이미 움직이는 이치가 갖추어져 있고, 움직이는 이발의 때에도 이미 고요한 이치가 갖추어져 있다. 미발의 때에 지각이 항상 깨어있어야 이발의 일에 언제든지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미발의 때에도 지각은 언제나 깨어있어야 하며, 또한 미발 때의 지각이 항상 깨어있도록 하는 常惺惺의 ‘경’공부가 강조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고요함만을 구하여 사물과의 관계를 끊어버리는 불교의 坐禪과 구분되는 유가 수양론의 특징이며, 미발론의 의미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천명도설의 결정체, 「심통성정도」(『성학십도』)

        안유경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0 No.-

        In this paper analyzing the content of Chenmyungdosul leading yangchon, hase, chuman, analyzing 「simtongsungjungdo」 about how absorbent composite. and through flow of dosal, checking the evolution of the dosal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fucianism of important data. The format of the dosal as a simple illustration and commentary to express clearly abstruse ideological theory is the purpose.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formed into a complex theory of confucianism of the principle of chenyin relationship. Human good nature says that based on chenmyung, as further over reveals a gaping cause of good and evil. Many scholars in the form of dosal to express their academic system, inter alia also a lot of influence on the korean confucianism to chenmyungdo said the chenyin relationship Dosal is covered by a chenyin relationship, yangchon to start, leads hase, chuman, toegye of chenmyungdo, and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simsung, in particular sadan and chiljung relationship finalized 「simtongsungjungdo」. In other words, in a matter of simsung yangchon plot sadan to source Li and chiljung to source ki, chuman regulate to further refine this distinctio. Toegye is the expression of chuman modify worry too divisive wrong, this also in accordance with gobong criticism. Toegye explain in two positions the aspects of the mind, this is 「simtongsungjungdo」. So look started in yangchon chenmyung, simsung, good and evil of dosal expression finish came in toegye 「simtongsungjungdo」. 본 논문은 양촌․하서․추만․퇴계로 이어지는 천명도설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것이 「심통성정도」에 어떻게 흡수․종합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도설의 흐름을 통해 도설의 전개과정이 조선성리학사의 발달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도설의 형식은 그림과 간단한 해설로써 난해한 사상적 이론을 알기 쉽게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리학의 복잡한 이론으로 형성된 천인관계의 원리를 도설의 형식으로 알기 쉽도록 표현한 것이다. 인간의 선한 본성이 하늘로부터 주어진 천명에 근거한 것임을 밝히고, 그 위에 나아가 선악이 갈라지는 원인을 밝힌다. 그래서 많은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자신의 학문세계를 도설의 형식으로 표현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천인관계를 밝힌 천명도가 조선 성리학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천인관계를 다룬 도설로는 양촌의 「천인심성합일지도」를 시작으로 하서․추만․퇴계의 천명도로 이어지며 그리고 심성의 선악문제, 특히 사단과 칠정의 관계가 최종적으로 「심통성정도」에서 종합된다. 다시 말하면 양촌은 리에 근원하는 사단과 기에 근원하는 칠정을 구분하며, 추만은 이러한 구분을 좀 더 구체화하여 ‘四端發於理 七情發於氣’로 규정한다. 퇴계는 추만의 ‘四端發於理 七情發於氣’(「천명구도」)의 표현이 사단과 칠정을 지나치게 이기로 분속시키는 폐단을 염려하여 ‘四端理之發 七情氣之發’(「천명신도」)로 수정하지만, 이 또한 사단과 칠정을 지나치게 이기로 분속한다는 고봉의 비판을 받음에 따라 ‘理發而氣隨之 氣發而理乘之’(「심통성정도」)로 최종 확정한다. 이처럼 퇴계는 성이 정으로 드러나는 심의 양상을 이기론적 구조 속에서 두 가지 관점을 종합하는데 이것이 바로 그의 「심통성정도」이다. 이렇게 보면 양촌으로부터 시작된 천명․심성․선악의 도설적 표현은 퇴계의 「심통성정도」에 이르러 일단락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적응적 완벽성향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담 어려움과 소진의 매개효과

        안유경,김준성,천성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학교와 수업 연구 Vol.6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and difficulty of counse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nsity toward adaptive perfectionism among childhood teachers and happiness. Toward this end, the study recruited 382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four cities, namely, B, G, J, and Y. A total of 346 copies of online questionnaires were us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variables using SPSS 25.0 and Amos 20.0. The mediated effects were then ver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the two-stage approach of the structural equation. First, adaptive perfection demonstrat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difficulties and exhaustion, whereas happiness was shown as a negative relationship. Moreover, counseling difficulties pointed to a static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happiness was a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counseling difficulties and exhaustion were found to sequentially mediate the impact of adaptive perf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happiness. These findings reveal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ounseling difficulties and exhaus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perfection and happiness. In other words, adaptive perfection directly influences happiness. However, high levels of adaptive perfection lower counseling difficulties. Therefore, the study infers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by preventing exhaustion through interventions, such as counseling skills and training, to reduce counseling difficul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aims to help establish effective measure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enhance the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daptive perfection. Finally, we discusse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 KCI등재

        한주 이진상과 화서 이항로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안유경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3

        his thesis is aimed at revealing their theoretical differences, which is Hanju Lee, Jin-sang(1818-1886) and Hwaseo Lee, hang-lo(1792~1868) sadanchiljunglon of contrast study. Both Hanju and Hwaseo are a Confucian scholar who represents the Toegye School and Yulgok School in the late 19th century. In view of this, the contrasting study of Hanju and Hwaseo are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Toegye and the Yulgok sadanchiljunglon. Because, as you can see in the text of the text, they al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Toegye and the Yulgokhe theory. In the text of the text, we clearly examine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y Hanju and Hwaseo sadanchiljunglon of contrast study.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see how the theory of Toegye and Yulgok was deployed in the nineteenth century. To sum up, based on the thesis(性發爲情), even though interpret sadan and chiljung as Libal,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Juli and Juki division, interpreted as an opposing concept. The former corresponds to a representative incident of Yulgok and the latter corresponds to the positive thinking of Toegye. It is also a feature of Hanju and Hwaseo sadanchiljunglon,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oegye and Yulgok. Because of this, it also called for the combined of Toegye and Yulgok. 본 논문은 寒洲 李震相(1818-1886)과 華西 李恒老(1792-1868)의 사단칠정론을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들의 이론적 차이를 밝힌 것이다. 한주와 화서는 모두 19세기 한말의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를 대표하는 유학자이다. 이렇게 볼 때, 한주와 화서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대비적 고찰은 결국 퇴계와 율곡 사단칠정론의 이론적 차이를 밝히는 일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본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들은 모두 퇴계와 율곡의 이론에 근거하여 자신들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해석을 전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한주와 화서의 사단칠정론을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들 두 사람의 이론적 차이를 분명히 밝히고, 동시에 퇴계와 율곡의 이론이 19세기라는 한말에는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그 전개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들은 모두 ‘性發爲情’의 명제에 근거하여 사단과 칠정을 理發로 해석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主理․主氣의 관점에서 사단과 칠정을 대립적 개념으로 해석한다. 전자는 율곡의 일원적 사고에 해당하며(渾淪) 후자는 퇴계의 양변적 사고에 해당한다(分開). 이것이 퇴계와 율곡의 이론과 구분되는 한주와 화서 사단칠정론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이들의 이러한 해석을 두고 ‘당시 서로 대치하던 분개와 혼륜의 관점을 종합하려 하였다’거나 ‘퇴계와 율곡의 이론을 종합․절충하였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 KCI등재

        안정복과 정약용의 인물성이론 해석 고찰

        안유경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7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the theory of Inmulseongi of sunam(An jung-bok, 1712~1791) and Dasan(Jeong yak-yong, 1762~1836) who are members of the Toegye school, Seongho school, Silhak scholar, and reveal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nclusion, both Sunam and Dasan within the same Seongho school argue for the theory of Inmulseongi.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the theory of Inmulseongi that they claim. If Sunam develops the theory of Inmulseongi from the standpoint of inheriting Neo-confucianism worldview, Dasan develops the theory of Inmulseongi from the standpoint of criticizing the Neo-confucianism worldview. This is evident in the interpretation of Seong(性), and if Sunam is interpreted as a foresight of human nature in the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Dasan is interpreted as a favorite symbol. This is nothing short of saying whether it is a succession of existing Neo-confucian traditions or a shift to a new paradig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eo-confucianism. This is the theoretical difference between these. Nevertheless, similar theoretical structures a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arguing that are different. Unlike Sunam interpreting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thing nature in the composition of Sadan/bonyeonjiseong and Chiljeong/kijiljiseong, Dasan interprets it as the composition of Dosim/doeuijiseong and Insim/kijiljiseong. This is the theoretical parallel between th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