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일 자유의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심효진(Shim, Hyojin),김우리(Kim, Wooli),김정섭(Kim, Jung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일 자유의지, 삶의 만족도 간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고,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삶의 의미와 일 자유의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과 경남에 소재한 4개 학교의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일 자유의지, 삶의 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306부(남109명, 여197명)를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삶의 만족도와 삶의 의미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삶의 만족도와 일 자유 의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삶의 의미와 일 자유의지도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삶의 만족도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은 일 자유의지의 하위요 인인 외부제약이었고, 다음 단계에서는 삶의 의미 하위요인인 의미존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일 자유의지 중 외부제약이 줄어들고, 삶의 의미 중 의미 존재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때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eaning in life and work volition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27 students(males=109, females=197) enrolled in college. Data were collected using by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Steger et al.(2004) s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revised by Won et al.(1990), Duffy et al.(2012)’s Work Volition Scale-Student Version:WVS-SV) revised by Kim et al.(2014), and Diener et al.(1985)’s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revised by Cho et al.(1998). The methods used in analyzing the data were Pearson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meaning in le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were positively correlated but work voli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meaning in lefe and work voli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it turned out that all factors, but not search for meaning and volition, affected on satisfaction with life. And constraints was the strongest variable among all variables to predict satisfaction with life.

      • KCI등재

        놀이기반 학습전략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초등학생의 학습습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심효진(Hyojin Shim),김정섭(Jungsub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기반 학습전략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초등학생의 학습습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놀이기반 학습전략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는 놀이라는 매개를 통해 학습전략을 배우는 형태를 의미한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하는 방과후아카데미(2개 기관)와 지역아동센터(1개 기관)에 참여하는 초등학생 5학년 36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16명)이다. 실험집단에는 놀이기반 학습전략프로그램을 겨울방학 직전부터 12주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기관의 기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학습습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놀이기반 학습전략프로그램은 저소득가정 초등학생의 학습습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based on play on enhancing study habi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36 elementary students from after-school academies(2 organizations) and community child center(one organization) were adopted as subjects: 20 students from one after-school academy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students from the rest of organizations were randomly assigned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and each session took 40 minute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result showed that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based on play had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study habit and self regulatory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Second, however, the program did not have any effect on increasing academic self-efficacy of low-income students.

      • KCI등재

        2007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재료’의 접근 방식에 대한 분석

        심효진(Hyo Jin Sh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재료는 모든 조형 활동에 앞서 기본이 되어야 하는 물성 체험과 미적 앎의 토대가 된다. 미술가나 학습자의 재료에 대한 이해는 곧 미술 표현활동과 미술 작품의 감상이나 향수로 연결되기 때문에 성공적인 미술 활동을 위해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재료’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학습자가 체험하려는 특별하면서 조형적인 인식 여부가 ‘재료’에 어떠한 접근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과서에서 나타난 재료’의 접근 방식에는 첫째,조형요소와 원리의 설명을 위한 접근과 둘째,기법적 혹은 양식적인 접근 셋째,현대미술의 개념적인 접근,넷째,물성 체험과 실험적인 접근 방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조형 활동의 기초가 되는 ‘재료’ 대한 직접적 체험과 확장된 개념의 이해를 기반으로 ‘재료’에 접근 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학생 개개인의 조형 경험의 기회를 확대하여 다양한 물성의 경험과 적절한 테크닉을 구사하도록 하는 것이 감정과 정서를 시각화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재료의 탐구과정에서 습득한 교육적 경험은 삶을 풍요롭게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Materials are mandatory for art, and the experience of materials is important to students to express visually with their emotions and feelings. Understanding of materials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because it could expand diverse art studio activities and help to comprehend works of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contents of materials approach to the learning of art for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chapters titled 'material' in 2007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in order to find its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ing recognition and approach methods of materials. Approaches to materials in the textbook are discussed as the followings. First, to explain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Second, to interpret techniques and styles of art Third, to consider concepts of contemporary art Fourth, to experience materials itself and use medium experimentally The discover of potentials on materials must be useful for creating art work to express one's emotions, however experiencing materials and making art works c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deepen their experience. Therefore, in art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used actively with students' participation. and teachers should consider making art class environment more effectively way and encourage them to find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their own way.

      • KCI등재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모형 개발

        심효진(Hyojin Shim),김정섭(JungSub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ADDIE모형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첫째, 모형 초안 개발 단계에서 문헌분석을 통해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의 과정과 세부내용, 접근방법을 도출하고, 모형의 각 핵심요소들이 체계적으로 계열화 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적용 단계에서 개발된 모형 초안을 실제 대학 현장의 학사경고자에게 적용하여 모형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학사경고자 22명(실험 11명, 통제 11명)의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인 효과분석을 위해 매회기마다 참여자의 평가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개입에 반영하였다. 셋째, 평가 단계에서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모형 초안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 완료 단계에서 전문가 형성평가 결과를 토대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최종모형을 개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모형은 학사경고 극복과정과 학업정서, 학업적 정서조절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였다. 둘째, 본 모형은 학습전문가가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도록 체계적인 절차를 제시하였다. 셋째, 본 모형은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을 위해 접근방법에 따라 4x3 매트릭스 형태의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본 모형은 학사경고자의 학업정서를 고려하여 학업적 정서조절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사경고자의 정서적 특성과 학습전문가의 경험 및 요구를 충분히 반영함으로써 실제 학습전문가가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 시 활용 가능한 모형을 개발한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model for academic probation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First, in the draft model development stage, the process, details, and approach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for academic probation student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each key element of the model was designed so that it could be systematically sequenced to develop a draft model. Secon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developed preliminary model was applied to academic probation students of actual university site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The results of ANCOVA of 22 academic probation students(11 experiments, 11 control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participants' evaluation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in the intervention. Third, the evaluation process verified the usefulness and value of the preliminary model. An expert formation evaluation was conduc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composed of nine learning experts. The output from the implementation was reviewed and the value of the developed model was evaluated. Finally, the final model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odel.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this model organically linked the academic warning overcoming process, academic emotion,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cess. Second, this model suggests a systematic procedure for learning experts to effectively solve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problem of academic warnings. Third, this model presented a 4x3 matrix type of inter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pproach for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Fourth, in this model,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was cyclically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academic emotions of the academic warning.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veloping a model that can be used by actual learning experts to intervene i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for academic warnings by fully reflecting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arnings and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learning expert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a model that can be used by actual learning experts to intervene i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for academic probations by fully reflecting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cademic probations and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learning experts.

      • KCI등재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 효과검증

        심효진(Hyojin Shim),김정섭(JungSub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하는 P대학 학사경고자로 직전학기 성적이 2회 이상, 평점 1.8 이하에 해당된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2분반씩 4개의 집단에 참여한 최종 52명(실험 26명, 통제 26명)의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험집단에는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학업적 정서조절과 관련된 내용을 제공하지 않았다. 결과 학업적 정서조절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학업적 정서조절의 4개 하위요인인 정서의 자각, 목표일치 행동,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 정서조절 전략의 접근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성찰문 분석결과에서 학업정서의 변화, 수업태도의 변화, 목표에 따른 행동 변화 및 학업에 대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참여자들이 학업적 정서조절 방법을 프로그램 참여 이전 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은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통해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특히,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사경고자는 자신의 정서를 자각하고, 학업상황에 대한 적절한 목표와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를 수행하였다. Objectives The program based on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gram was applied to academic probation student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Methods Academic emotional control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confirm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COVA of 52 academic probation students(26 experiments, 26 controls), academic emotion control of academic probation stud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The four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emotion awareness, goal-matching behavior,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 and approach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ll showed positive effects. By analyzing the self-reflection statements of academic probation students, specific effects could be confirmed. In the results of the self-reflection analysis, there were changes in academic emotions, changes in class attitude, changes in behavior according to goals, and positive changes in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s The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learning experts to improve the academic emotion control of academic probation students. Through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gram, it was possible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f the academic probation. In particular, through this program, academic probation students were aware of their emotions and performed a positive reevaluation of their emotions and goals appropriate to their academic situation.

      • KCI등재

        과불소화된 아크릴레이트 가교제로 제조된 직접 가교형 겔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오시진,심효진,김동욱,이명훈,이창진,강영구,Oh, Si-Jin,Shim, Hyo-Jin,Kim, Dong-Wook,Lee, Myong-Hoon,Lee, Chang-Jin,Kang, Yong-Ku 한국전기화학회 201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organophosphate를 기반으로 한 과불소화된 아크릴레이트 가교제를 사용하여 제조한겔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과불소화된 아크릴레이트 가교제를 사용하여 만든 겔 고분자 전해질은 액체전해질의 함량이 최대 97 wt%까지 안정한 겔 상태를 유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겔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30^{\circ}C$에서 $1.0\;{\times}\;10^{-2}\;S/cm$의 값을 가졌다. 또한 전기화학적 안정성 테스트에서도 약 4.5V로 이상까지 산화에 의한 열화가 없이 안정하였다. 합성된 겔고분자 전해질을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에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양극으로는 $LiCoO_2$를 사용하였으며 음극으로는 카본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만든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는 0.1C에서 136.11 mAh/g의 용량으로 이론용량과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2C 방전에서도 초기 용량의 91%를 유지하였다. 또한 500번의 충방전 후에도 초기 용량의 70%정도의 용량을 유지하였다. The gel polymer electrolyte(GPE) were prepared by in-situ thermal cross-linking reaction of homogeneous precursor solution of perfluorinated phosphate-based cross-linker and liquid electrolyte. Ionic conductivitie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gel polymer electrolyte with the various contents of liquid electrolytes and perfluorinated organophosphate-based cross-linker were examined. The stable gel polymer electrolyte was obtained up to 97 wt% of the liquid electrolyte. Ionic conductiv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s with the various chain length of perfluorinated ethylene oxide and different content of liquid electrolytes were examined. The maximum ionic conductivity of liquid electrolyte was measured to be $1.02\;{\times}\;10^{-2}\;S/cm$ at $30^{\circ}C$ using the cross-linker($PFT_nGA$).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 was extended to 4.5 V.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test cells composed of the resulting gel polymer electrolyte were also studi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n the lithium polymer batteries. The test cell carried a discharge capacity of 136.11mAh/g at 0.1C. The discharge capacity was measured to be 91% at 2C rate. The discharge capacity decreased with increase of discharge rate which was due to the polarization. After 500th charge/discharge cycles, the capacity of battery decreased to be 70% of the initial capacity.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김우리(Kim, WooRi),심효진(Shim, HyoJin),김정섭(Kim, Jung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자기주도학습능 =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한 일반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자기주도적학습능력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477부(남 167명, 여 310명) 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간의 관계에 있어서 기본심리욕구의 부분매개효과 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등학생들이 부모로부터 자율성을 많이 지지받는다고 지각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477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s were employed: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Second, the results of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partial mediated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In order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it is important for high school students not only to perceive that their parents are supporting their autonomy but also to satisfy basic psychological needs.

      • KCI등재

        잡음 환경 하에서의 전기-역학적 임피던스 기반 조류발전 구조물의 장기 건전성 모니터링

        민지영(Jiyoung Min),심효진(Hyojin Shim),윤정방(Chung-Bang Yun),이진학(Jin-Hak Yi) 한국해양공학회 2011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5 No.4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using electro-mechanical impedance signatures, it is a critical issue for extremely large structures to extract the best damage diagnosis results, while minimizing unknown environmental effects,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nd acoustic vibration. If the impedance signatures fluctuate because of these factors, these fluctuations should be eliminated because they might h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t structural damages. This paper presents a long-term SHM technique under an unknown noisy environment for tidal current power plant structures. The obtained impedance signatures contained significant variations during the measurements, especially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To eliminate these variations, a continuou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appli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pproach using the RMSD (Root Mean Square Deviation) and CC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damage indice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is approach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long-term SHM in noisy environm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수석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정섭 ( Kim Jung-sub ),김은빈 ( Kim Eun-bin ),김우리 ( Kim Woo-ri ),심효진 ( Shim Hyo-ji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컨설팅을 실시할 때 초등수석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협력적 학습컨설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초등수석교사 6인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토대로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학습컨설팅에 관한 인식 및 요구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를 전국의 초등수석교사 203명에게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하게 답변한 202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수석교사는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역량을 자신들이 직접 향상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수석교사는 수업시간을 통해 학생에게 직접적 학습컨설팅을 실천하거나 담임교사를 지원하여 학생에게 간접적 학습컨설팅을 실천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학교 구성원은 물론 외부전문가와 함께 학습컨설팅을 실시할 수 있는 협력적 학습컨설팅 모형을 개발하였다. 초등수석교사가 학습컨설턴트로서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찾아보고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협력적 학습컨설팅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llaborative learning consultation model which could be accepted willingly by the elementary master teachers to enhanc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o achieve this purpose, we had 3 FGI sessions to explore master teachers’ conceptions of learning consultation and to develop a nation-wide questionnaire master teachers’ beliefs and needs of learning consultation at schoo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2 elementary master teachers. To analyze the data,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master teachers tried to enhance their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with the belief that their students have to equip with high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Second, they wanted to provide students with direct learning consultations at the classroom by personally as well as to conduct indirect learning consultations through helping the other teacher or pare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eveloped a collaborative learning consultation model which can be useful to enhance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 SCIESCOPUSKCI등재

        지실 추출물이 기니 픽 위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in vivo 연구

        임정현 ( Jung Hyun Lim ),김희선 ( Hee Sun Kim ),최은주 ( Eun Ju Choi ),창구 ( Chang Koo Shim ),효진 ( Hyo Jin Park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1

        목적: 지실(Poncirus Fructus, 枳實)은 운향과(芸香科)에 속하는 탱자 나무의 어린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동양에서 전통적으로 위장관 질환에 대한 약제로 사용해 왔으나 아직까지 위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학적인 증거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지실 추출물이 위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기니 픽의 원위부 회장을 채취하여 Krebs-Henseleit (K-H) 용액이 채워진 연동함에 위치시킨 후 K-H 용액을 관류시켜 연동 수축파를 유발하여 연동 수축파의 압력, 수축 곡선하 면적과 전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대장을 적출하여 K-H 용액을 채운 연동함에 고정한 후 인공 배설물을 구측단에 넣고 K-H 용액을 관류시켜 인공배설물이 이동하는 대장 통과 시간을 측정하였다. 지실 열수 추출물 EAB239-W, EAB239-WE, EAB239-WW와 알코올 추출물 EAB239-70%EtOH, EAB239-95%EtOH, EAB239-95%EtOH-H, EAB239-M-H을 각각 추출물 농도(1, 3, 10, 30, 100, 300 μg/ml)를 누적하여 투여하여 변화를 비교하였다. 소장 조직 절편을 K-H 용액이 담긴 욕조에 위치시키고 EAB239-W 투여 후 전기 자극하여 수축파 압력을 측정한 뒤 atropine 또는 tetrodotoxin을 투여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In vivo 상태에서 관을 통하여 EAB239-WE 또는 EAB239-WW를 투여한 후 기니 픽의 위장, 소장, 근위부와 원위부 대장의 수축파 압력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소장 연동 운동 실험에서 EAB 239-W는 소장 연동 운동 속도를 의미있게 빠르게 하였다. EAB239-95%EtOH-H와 EAB239-M-H는 소장 수축파 압력을 감소시켰고 EAB239-WW, EAB239-95%EtOH-H는 각각 수축 곡선하 면적을 감소시켰다. 대장에서는 EAB239-WE가 대장 통과 시간을 의미있게 단축시켰으며 EAB239-70%EtOH와 EAB239-95%EtOH는 지연시켰다. EAB239-W에 의해 소장 조직 절편의 수축 압력은 증가되었으나, atropine 또는 tetrodotoxin 투여 후 억제되었다. EAB239-WE는 in vivo 상태에서 기니 픽의 원위부 대장의 수축 압력을 증가시켰다. 결론: 지실 추출물은 장관 운동에 촉진 또는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지실 추출물은 잠재적으로 기능성 장관 질환의 치료 약제로 사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Backgrounds/Aim: The Poncirus Fructus (PF) is a dried immature fruit of Poncirus trifoliate (L.) Raf. and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folk medicine in Eastern Asia. PF has been used for digestive disease, allergic,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queous or alcohol extracts of PF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of guinea pig was evaluated. Methods: Distal ileum was resected then placed into a peristaltic chamber. Krebs-Henseleit (K-H) solution was pumped into the lumen to induce peristalsis. The propagation velocity, amplitude of the peristaltic contraction, and area under curve (AUC) were measured. Colon was removed and the ends of the colon were connected to the two sides in the chamber. Artificial feces was inserted and K-H solution was pumped into the lumen. The colonic transit time was measured. Each aqueous (EAB239-W, EAB239-WE, EAB239-WW) and alcohol (EAB239-70%EtOH, EAB239-95%EtOH, EAB239-95%EtOH-H, EAB239-M-H) extract was administered to the chamber with increasing dose (1, 3, 10, 30, 100, 300 μg/ml). Gastric, ileal, proximal and distal colonic motility were also measured in conscious guinea pig under treatment EAB239-WE or EAB239-WW. Results: In the ileum, EAB239-W accelerated the velocity of propagation (P<0.05). EAB239-95%EtOH-H and EAB239-M-H decreased the amplitude of the contraction (P<0.05). EAB239-WW and EAB239-95%EtOH-H also decreased the AUC (P<0.05). In the colon, EAB239-WE shortened the transit time but EAB239-70%EtOH and EAB239-95%EtOH delayed it significantly (P<0.05). The stimulatory effect induced by EAB239-W was attenuated by atropine and abolished by tetrodotoxin. EAB239-WE stimulated only distal colonic contraction in vivo study. Conclusions: Each extract of the PF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stinal motility with either stimulatory or inhibitory 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 has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n agent for various functional bowel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