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존 형평성을 고려한 평률세제의 구축

        오시진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8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

        본 연구는 (1)기존의 소득분배 수준의 유지,(2)균형예산 및 (3)세출제약을 고려한 평률 세제를 고안한다.방법론에 있어서 세가지 제약을 기존과 동일한 지니계수 및 외생적 세출 수준을 세입과 동일하게 하는 각각의 제약하에서 평률세제의 파라미터인 기본보조부분과 평률세율을 개인자료인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찾는다.분석결과,그리 높지 않은 기초부분 과 평률세율이 필요함을 보였다.

      • KCI등재

        국제해양법상 역사적 권리 인정 여부에 대한 고찰- 남중국해 중재판정을 중심으로 -

        오시진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9 No.2

        Because of the recent South China Sea Arbitration case (PCA), the question of historical rights has risen to surface. Considering the text and the travaux préparatoires of UNCLOS,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case concluded that there is no room to claim for historical rights in international legal system legally. The Court decided that preexisting rights such as historical rights which is incompatible with UNCLOS cannot be recognized. The Court noted that when China ratified the UNCLOS, Chinese claim to the nine-dash-line as its historical rights were replaced by UNCLOS. However, even though it is true that the term “historical rights” cannot be found in UNCLOS, the stance of the Court is not unproblematic. It is necessary to explain further why Article 311 of UNCLOS and Article 30(3) are applied to the case of historical rights even when it has nothing to do with treaty. Moreover, the Court’s explication was not sufficient how Article 293 of UNCLOS, the dispute resolution clause, is applied to the present case. Considering such,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whether or not UNCLOS is a comprehensive legal system which denies the further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customary law. Present study notes that the Preamble of UNCLOS explicitly states the contrary. Furthermore, previous international court’s cases do not deny the compatibility or existence of historical rights with UNCLOS.

      • KCI등재

        3·1운동 시기 ‘독립’의 국제법적 의미

        오시진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7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rnational legal natur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t is not necessary to reiterate that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an independence movement. Then,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the legal character of “independence” because it is essential to identify what it means to claim independence. In general, the March First Movement is expl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iterated in Wilson’s Fourteen Points. Indeed,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was invoked by various other nations after Wilson’s formulation. However,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was only accepted as a legal norm after World War II, and it was only a political principle right after WWI. From this perspective, the independence claimed in the March First Movement could be nothing more than a political slogan. However, it is critical to distinguish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from “independence.” There are two legal meaning of independence. First, the meaning of independence is the right to separate and be independent of other nations. Second, the meaning of independence is the right of independence, claiming non-interference and non-interv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erceiv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founded in 1919. If the notion of independence is interpreted as the form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a failure. However, if it is taken from the latter meaning, the endeavors could be seen in a different light.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delve into the legal meaning of independence in the March First Movement. It will be suggested that the idea of independence had a legal character by the tim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that the notion was claimed in terms of non-interference and non-intervention. 3·1운동 자체에 대한 국제법적 성격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3·1운동의 성격이 독립운동이었다는 것은 재언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면 ‘독립’의 법적성격에 대해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당시 3·1운동은 Wilson의 14개조에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한다. 자결원칙은 당시 전 세계에 퍼져나갔고, 많은 국가들이 이를 원용한 사례가 있다는 역사학자들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자결권은 당시 미국이라는 승전국의 정치적 원칙에 불과하였고, 국제법으로 확립된 법규범이라고 할 수 없었다. 일반적으로 자결권의 법규범화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라고 본다. 이런 시각에서 보자면, 3·1운동의 독립 주장은 정치적 구호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결권과 독립은 같은 의미일까? 독립은 두 가지 법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독립은 당시 자기결정원칙과 유사하게 ‘분리 독립’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둘째, 독립은 ‘타국의 간섭을 배제할 독립’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법적 개념에 대한 연구는 그 파급효과가 크다. 만일 이 독립의 의미가 ‘분리 독립’이라고 한다면, 사실 임시정부는 분리 독립에 실패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독립의 의미가 간섭 배제 차원에서의 독립이라면 상황은 다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3·1운동 시기 주장한 독립의 법적 의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당시 국제법적 기준에 따라 검토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3·1운동 시기 주장한 독립의 성격이 법적성격을 갖추고 있었다고 볼 여지가 있고, 그 의미가 중의적이지만, ‘타국의 간섭으로부터 독립’의 의미가 강조된 것이라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국제법상 토착민에 대한 고찰

        오시진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토착민이 국제법 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국제법학적으로 토착민을 학문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토착민은 오랜 기간 유럽중심주의적이고 국가중심주의적인 국제법에 비판적이었고, 이들은 탈식민주의적 주장을 전개하여 왔다. 그러나 이들은 국제법 체계를 부정하지 않고 이를 오히려 활용한 측면이 있다. 이들은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국제법을 받아들이고 그들의 의사를 국제법을 통하여 관철시키고자 노력한 부분이 있다. 이에 2007년 ‘UN 토착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 등 여러 규범에서 토착민과 관련하여 국제법 규범 체계에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토착민으로 인해 어떠한 국제법규칙이 변화하였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먼저, 토착민에게도 자율성이라는 일정 형태의 자결권을 인정하게 되었다. 자율성의 개념이 무엇인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자율성은 토착민 고유의 정치적, 법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제도를 유지하고 강화할 권리라 해석될 수 있고, 토착민에게 영향을 줄 사안에 대해서 자유롭게 참여할 권리라 이해될 수 있다. 토착민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다양성이 더 인정되는 방향으로 국제법 체계가 변화하고 있다. 토착민은 주류 사회에 동화될 대상이 아니고 그들의 문화는 존중되어야 하고 오히려 증진되어야 한다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나아가 사회권규약 제15조 제1항(a)에서 규정하는 문화생활 참여권의 내용 또한 토착민을 고려하여 확장되었다. 한편, 토착민의 권리로 그들의 땅 또는 영토와 관련하여 기존 국제법상 영토 개념에 변화를 준 부분도 있다.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제169호와 UN 토착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 등에서는 토착민이 땅 또는 영토에 영적 관계에 있다는 점을 인정하여 기존 영토에 대한 법리에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후자 선언은 천연자원과 관련해서도 토착민에게 영적인 관계가 성립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어떠한 파급효과가 있을지는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에콰도르 헌법과 볼리비아 헌법에서 ‘다원적 국가’(Plurinational State)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은 상당히 함의하는 바가 크다. 토착민 사안은 국제법의 발전 측면에서 계속 더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indigenous peoples influence the international legal system, emphasizing the need for academic study in international law. Despite historical criticism of Eurocentric and state-centric approaches, indigenous peoples haven't rejected the international legal system; instead, they pragmatically utilize it to implement their will. Notable changes in international legal norms, as seen in the UN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2007), highlight their impact. Indigenous peoples are now acknowledged for their self-determination, in terms of autonomy, encompassing the right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institutions and participate in relevant matters. The international legal framework increasingly recognizes their cultural rights, rejecting assimilation in favor of respect and promotion of indigenous cultures. General Comment to Article 15(1)(a)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further include indigenous perspectives. Regarding land rights,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Convention 169 and the UN Declaration recognize spiritual connections, challenging existing territorial norms. The concept extends to natural resources, indicating a shift in international legal perspectives. While the full impact is evolving, the acknowledgment of a "plurinational state" in Ecuadorian and Bolivian constitutions signifies a significant development. The issue of indigenous peoples will remain crucial in the ongoing evolution of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 KCI등재

        하이브리드 전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오시진 국제법평론회 2022 국제법평론 Vol.- No.62

        How should we understand hybrid warfare,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international law? Until recently, war, in terms of international law, was relatively clear. The initiation of the war could also be visually confirmed, the performers of the war were also the state, and the method of war was based on traditional military conflict. However, the appearance of the battlefield in the 21st century is different from the past. It has come to a point where it is no longer possible to say that only physical armed conflict is the only form of war. Hybrid warfare is at the center of the discourse about the emergence of a new form of warfare. When Russia annexed Crimea through a hybrid warfare in 2014,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aid attention to this new idea.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hybrid warfare is problematic. This is because hybrid warfare has a so-called gray zone, which is difficult for opposing countries 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spond immediately. Therefore, there are areas that are difficult to approach with traditional armed conflict law or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Some even argue that the rules of international law in wartime become meaningless. However, there are some points to consider whether this approach is really valid. Is international law useless in hybrid warfare?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hybrid warfare, there are parts that need to be critically considered on hybrid warfare and its discourse itself. First, there are parts that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existing discourses and narratives about hybrid warfare. Unlike conventional discour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ybrid warfare is limited to a specific country. Today's war may require a change in perception, as it may have become a daily situation where hybrid elements must be considered. Second,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reason for the occurrence of international legal problems in relation to hybrid warfare may be a problem of perception. The gray zone, legal and information warfare issues can also be approached with a shift in perception. The perspective on war has changed, and accordingly, the understanding of the exclusive legal application of the dichotomous international law on war may need to change. Rather than being immersed in the problem of distinction between peacetime and wartime, we may have to have a ‘complex perspective.’ However, this approach has a limitation. More fundamentally, it may be necessary to reinterpret and redefine the concepts of “peace” and “war.” .

      • KCI등재

        산업혁명과 인권의 상관관계

        오시진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6 No.1

        Recently, a keen interest has developed in how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affect humanity. However, there are concerns as much as expectations. It is proper to perceive that the effect will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ave tremendous consequences on human socie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lve into the foundatio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human rights in general before raising such a question. Thus,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how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s have affected the transformation of human rights in terms of the history of human rights. This study manifests some implications for a future study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direct and indirect correlations between the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 and human rights could be confirmed in the study of property rights, abolition, labor rights, the right to social welfare, the right of development, the right of peace. Even th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fervently studied,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s and human rights is difficult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making a rational forecast on how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affect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 인류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관심이 크다. 그러나 높은 기대만큼이나 우려도 없지 않다. 제4차 산업혁명의 여파가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할 것이기 때문에, 인권에 끼칠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은 다양한 형태를 띨 것이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제4차 산업혁명과 인권에 대하여 논하기 이전에, 기존 산업혁명과 인권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는 과거 산업혁명이 인권의 변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 상관관계를 인권사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 검토를 통하여 제4차 산업혁명에 인권과 관련하여 어떠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지 그 함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거 산업혁명과 인권의 발전이 직·간접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 형태가 다양하다는 점을 재산권, 노예철폐, 노동권, 사회보장권, 발전권, 평화권을 통해 예시적으로 지적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연구는 학계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과거 산업혁명이 인권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이 인권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에 대한 기초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상 반식민주의 — 일본 영토의 판단기준으로써 포츠담 항복조건을 중심으로 —

        오시진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39 No.4

        Does Article 2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1951) set the territorial scope of Japan prior to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as a reference point? Compared to other peace treaties concluded after World War II,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has a peculiarity. The detailed territorial terms in Article 2 of the Treaty of Peace do not seem to have any relation to each other. This clause appears to be merely a list of matters that need to be dealt with individually. Moreover, this article does not provide clear guidelines as to how far the territory of Japan exten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territorial scope of Japan i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1951). The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when interpreting Article 2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the Potsdam surrender terms” which is the Japan’s instrument of surrender, become a binding criterion, and accordingly, 1894, the starting point of “violence and greed” presented in the Cairo Declaration, which Article 8 of the Potsdam Declaration invokes, can be the standard for the scope of Japanese territory. In 1945, Japan surrendered unconditionally to the Allied Powers. Therefore, this instrument of surrender is a special case of capitulation and it is legally binding regardless of the scope of its contents.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1947 draft of the Peace Treaty tried to return Japan's territory to 1894, 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iews of Roosevelt and Chiang Kai-shek were maintained until then. This part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Cairo Declaration in the 1947 draft because the Potsdam Declaration was used as the standard in the “Basic Post-Surrender Policy for Japan” by the Far Eastern Commission in 1947. As Dulles stated at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signing conference, the Potsdam surrender terms bind the Allies and Japan. After the signing of this peace treaty, there was also a case in which Japan regarded the terms of Potsdam's surrender term as a criterion binding on Japanese territory.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Cairo Declaration and the Potsdam Declaration have legal effect when interpreting the scope of Japanese territory under Article 2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other words, it could be said that there is an anti-colonial element i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1951) 제2조는 일본 영토 범위를 청일전쟁(1894-1895)이 발발하기 이전 시기의 그것을 기준 시점으로 하고 있는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체결된 다른 강화조약과 비교했을 때,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특이점이 있다. 본 강화조약 제2조의 세부 영토 항목은 서로 아무런 관련성이 없어 보인다. 본 조항은 개별적으로 처리가 필요한 사안들을 나열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본 조항이 일본 영토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지도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1951)의 영토 범위의 판단기준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장은 조약 해석의 원칙에 따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를 해석할 때 일본의 항복문서인 포츠담 항복조건이 구속력 있는 판단기준이 되고, 이에 따라 포츠담 선언이 원용하는 카이로 선언에서 제시하는 “폭력과 탐욕”의 시작점인 1894년이 일본 영토의 범위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945년 일본이 연합국에 대해 무조건적 항복을 하였는데 이 항복문서는 일반 군 지휘관의 항복의 수준을 벗어난 무조건적 항복이기에 그 내용의 범위와 관계없이 법적 구속력이 생긴다. 한편, 본 강화조약의 1947년 초안에서 1894년으로 일본의 영토를 되돌리려 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1947년 극동위원회의 “일본의 항복 후 기본방침”에서 포츠담 선언을 그 기준으로 삼고 있기에 카이로 선언이 1947년 초안에 반영되어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Dulles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 회의에서 밝혔듯이 ‘포츠담 항복조건’이 연합국과 일본을 구속한다. 본 강화조약 체결 이후 일본도 포츠담 항복조건을 일본 영토에 구속력 있는 판단기준으로 본 사례도 있다. 이에 따라 카이로 선언 및 포츠담 선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 상 일본 영토의 범위를 해석할 때 법적 효력이 생긴다고 할 수 있고,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 상 일본 영토복원 시점이 1894년이라 해석될 수 있다. 즉,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반식민주의적 가치가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영토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경계선 기준 영토 개념의 형성과 그 배경 -

        오시진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erritory and study the background. When there is a territorial dispute which is found in pre-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delve into the nature of the concept of territory discussed. The commonsensical notion of territory that we use today cannot be applied to such cases disregarding the temporality and spaciality of the concept. The concept of territory may have been differently constructed within the time and spac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concept of territory and focuses on how the concept changed along the development of cartography in Western history. The research notes that the previous concept of territory was not based on boundary-line, and the line-based territorial boundary emerged at the Vienna Treaty of 1815 by applying colonial experiences in the American continent. The blank space in the then-maps was treated as terra nullius awaiting for the claim of discovery. Moreover, the legal personality of the non-Western nations beyond the boundary-line was deemed inferior. The boundary-line territory concept seems to be an integral part of the concept of the nation-state which discriminates against other kinds of political community that does not meet the criteria of the Western nation-state. The line-based concept of territory was reflected upon the jurisprudence of international law in the 19th century. 이 연구는 19세기 전후 영토의 개념의 형성과정과 그 배경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토분쟁 사안이 전근대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을 시, 영토 개념의 기저에 대해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오늘날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영토 개념이 시공간을 초월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단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대에 따라 영토 개념을 달리 구성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영토의 개념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지도학의 발전으로 영토 경계의 개념이 과거와 달리 경계선의 개념으로 변화한 부분을 지적하였다. 과거에는 비배타적인 동시에 중첩적 관할권을 상정하고 있었고, 영토의 외각 경계보다 영토의 중심이 중시되었다. 변화가 국제사회에 등장한 것은 1815년 빈조약이라 할 수 있는데, 그 배경에는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식민지배 경험이 녹아 들어가 있었다. 경계선 기준 영토 개념이 국가 경계의 일환인 변경의 개념과 맞물려서 식민주의적 함의를 나타냈다. 지도에 그려진 빈 공간은 무주지 취급되었고, 경계선 밖의 비유럽국가들의 법인격이 경시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선형 영토 개념이 19세기에 국제법 법리로 반영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