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급성기 교통사고 환자의 극복력과 사회적 지지가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신지혜(Shin, Jihye),차지은(Cha, Jieun) 기본간호학회 2021 기본간호학회지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body image in patients in an acute stage following traffic accidents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body imag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86 patients at local hospitals from January 2019 to February 2020. To measure the variables, the body image scale, Conne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43.40±14.75 and the proportion of men was 73.3%. The average score for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body image were 65.16±16.89, 72.93±8.11, and 12.24±6.63, respectively. The highest item on the body image scale was “Are you dissatisfied with the appearance of your scar?”. There were differences in scores for body image according to gender, age, and living status. Resilience (r=-.68, p<.001) and social support (r=-.65, p<.0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dy image. In the regression model, resilience (β=-.41), social support (β=-.30), and gender (β=.22) accounted for 57.6% of the variance in body image. Conclusio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as significant factors protecting body image of patients during the acute stage following a traffic accident. It is recommended that psychosocial nursing interventions be conducted throughout the course of treatment.

      • KCI등재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비평 공동체에 관한 연구

        신지혜(Shin, Jihy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구성된 수업비평 공동체의 사례를 통하여 수업비평 공동체 활동의 실제와 수업비평에 대한 인식, 교사에게 있어 수업비평 공동체 참여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수업비평을 실천하고 있는 3개의 수업비평 공동체들을 찾아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비평 공동체의 공통적인 활동 양상은 수업동영상의 공유, 전사록 작성과 공동체 토론을 통한 수업 분석, 수업에 대한 글쓰기 및 나누기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수업비평에 대한 인식은 주체적인 수업 개선을 위한 연구 방법, 비판적 감수성을 통한 토론과 글쓰기, 수업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는 교육 개혁 등 공동체의 정체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교사에게 있어 수업비평 공동체 활동의 의미는 수업을 보는 안목의 변화 체험과 공유와 협력을 통한 성장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사례와 결과는 현장 교사들에게 수업비평을 활용한 수업 전문성 신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며,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를 유도하여 수업비평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class critique activities, a preception of class critique, and the meaning of experiencing participation in class critique communities. To understand the value of class critique, this research sele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examined three different class critique communities that were voluntarily organiz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a common feature of class critique within these three communities included sharing class videos, analyzing transcribed data in class videos and the content of discussions, writing about classroom teaching, and sharing writing with one another. In terms of the preception of class critiqu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ased upon the identity of each class critique community, such as research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discussion and writing style through critical sensitivity to the various issues, and education reform which started with stories about a class. Fo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lass critique communities, an activity of class critiques could provide transformative experie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foster professional growth through sharing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Such results of this case study can provide practical help to enhance a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by utilizing class critique and influence the value of class critique by encouraging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KCI등재

        대학교양교육에서 환경교육 내실화를 위한 강의 개선 연구

        신지혜(Shin, Jihye),김희경(Kim, Hee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교양교육의 패러다임에 부응하고, 대학의 환경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양 환경강좌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학기와 2학기에 연구자들이 담당했던 A 대학교의 교양교과목 <환경과 인간>의 강의 내용 전반과 수강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와 집단 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양 환경강좌의 강의 내용은 주제들 간의 연결성 확보와 쉬운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적절한 자료의 선택이 밑받침 되어야 한다. 또한 교양 환경강좌의 강의 방식은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간 상호 교류와 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토론 및 모둠 활동 등을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된 대학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후속된 강의 개선 실행 연구의 토대로서 활용되었다. 이 연구는 강의자들은 수업전문성 신장과 기존에 미흡했던 고등 교육기관의 교육 연구 및 실행을 확장의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다만 자료의 수집 시기와 분석 시기의 간극에 따른 일반화의 한계는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for the development of a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in Liberal Art at a university based on learner s need analysis. On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12, researchers conducted environmental course in Liberal Art. In order to analyze the needs of students, researchers used a survey and a group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important to ensure connectivity between the subjects and to select the data for easy understanding of learners in terms of environmental course content. Meanwhile, it is desirable to efficiently organize discussions and group work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of learners in terms of way of teach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develop a teaching expertise of researchers. There i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extends the new academic field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execution.

      • KCI우수등재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1호 일반조항의 적용 기준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20. 3. 26. 선고 2016다276467 판결을 계기로 -

        申智慧 ( Shin Jihye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6

        지난 2014년 도입된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1호 카목은 “그 밖에 타인의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 등을 공정한 상거래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영업을 위하여 무단으로 사용함으로써 타인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부정경쟁행위의 한 유형으로 열거하며 규율한다. 카목은 이러한 행위를 “부정한 경쟁행위로서 민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네이버 사건 판례(대법원 2010. 8. 25. 자 2008마1541 결정)를 입법화한 것으로, 일반조항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런데 부정경쟁방지법 카목의 적용범위를 판단함에 있어서 특허법, 상표법, 저작권법 및 부정경쟁방지법 가목 내지 차목의 부정경쟁행위 등 기존 법령에서 규율되는 침해행위와의 관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기존 법령에서 보호되는 권리에 포함되지 않는 지적 성과는 원칙적으로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공공영역(public domain)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과를 이용한 행위를 다시 불법행위 내지 부정경쟁행위로 규율하기 위해서는 행위태양에 있어서 고도의 위법적 징표가 요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경쟁방지법 카목의 해석, 적용에 있어서 마치 무단 사용행위만으로 곧바로 동목의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 것처럼 오해되어 온 것은 아닌지 의문이며, 대상판결(대법원 2020. 3. 26. 선고 2016다276467 판결)에서도 역시 그러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해는 기존에 정립되어 온 지적재산권 체계를 뿌리째 뒤흔들 수 있다. 따라서 부정경쟁방지법 카목을 해석, 적용함에 있어서는, 창작자 보호와 자유경쟁 촉진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맞춰 온 기존 지적재산권 체계의 대원칙을 항상 염두에 두고, 신중하고 세심한 접근법을 취해야 할 것이다. Nevertheless,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Section (k)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t seems that the act of using any intellectual achievements without permission has been misunderstood as if it directly corresponds to the Section (k). The same problem is found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on March 26, 2020, 2016da276467. Such misunderstandings could shake up the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ystem from the ground up. Therefore,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Section (k)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 careful and meticulous approach should be taken, always keeping in mind the basic principle of the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ystem that seeks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of creators and the promotion of free competition.

      • KCI등재
      •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매개 에너지 수요 예측 및 효율성 연구

        신지혜(Jihye Shin),김윤재(Yunjae Kim),이수진(Sujin Lee),문현준(Hyeonjoon Moo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2 No.6

        최근 전세계의 탄소중립 요구에 따른 에너지 효율 증대를 통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효율성 관련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방송과 미디어 분야에는 에너지 효율이 더욱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해 난방 에너지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수요 예측 모델을 선정하고, 설명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도입하여 수요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파악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KCI등재

        블록체인의 성립과 운용에 있어서 민사법적 쟁점 :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적 이해를 기초로

        신지혜(Shin Jihye) 한국비교사법학회 2021 비교사법 Vol.28 No.3

        블록체인은 ‘분산 공개 원장’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으로, 중앙집중 기관이나 시스템의 간섭 없이 익명의 다수인에게 정보를 유통시키면서 여러 가지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정보의 위변조를 어렵게 만드는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획기적인 기술이기는 하나, 다수의 참여자에게 똑같은 내용의 정보를 각각 모두 보유하도록 하는 비효율적인 방식을 통해 비로소 성립하는 것이어서, 경제적 비효율을 감수하더라도 탈중앙화와 익명성 보장이 반드시 필요한 영역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법적 쟁점 분석의 전제로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고, 암호화폐와의 관계도 간략히 소개하였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과 다른 유사 기술사상, 예를 들어 코드화 내지 디지털화, 암호화기술, 내용검증 장치 및 Peer to peer 등을 구별하면서 블록체인 고유의 민사법적 쟁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블록체인의 성립과 운영을 둘러싼 민사법적 쟁점으로는 블록체인 참여자들의 지위와 책임 문제, 블록체인 위에서 발신된 의사표시의 취급 등을 거론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외에도 아직까지 생각지 못한 여러 가지 민사법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이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블록체인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해결책을 찾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lockchain, so-called ‘distributed public ledger’, is a technology that makes it difficult to forge or falsify information by using various computer programming technologies without interference from centralized institutions or systems. Blockchain is definitely a groundbreaking technology, however, it is only established through an inefficient way of allowing multiple anonymous peers to have all of the same informa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it in areas where decentralization and anonymity are essential, even at the cost of economic inefficiency. In this articl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are explained in detail as a premise for analyzing legal issues, and the relationship with cryptocurrency is also briefly introduced. In particular, it was attempted to distinguish blockchain technology from other similar technological ideas, for example, codification or digitalization, cryptography, content verification devices, peer to peer, etc., to derive civil law issues unique to blockchains. The civil law issues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blockchain may include the following: the positioning and responsibility of blockchain participants, the handling for the manifestation of intention sent on the blockchain, etc. In addition to these, a number of civil law issues that have not yet been considered may arise. I hope that this article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recognizing the legal issues around the blockchain itself and finding their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