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명인의『동두천』 연작시에 나타난 양가적 장소성 연구

        송지선(Song, Ji-seon)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6 No.-

        이 글은 『동두천』 연작시의 지배적 의미인 ‘더러운 그리움’에 나타난 양가성을 논하고자 한다. 그 양가성을 시인이 인식한 동두천의 장소성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의미가 생산된 기반에 혼혈아에 대한 김명인의 타자성과 동질성이 동시에 작용함을 논의한다. 기지촌 혼혈아들에게 동두천 보산리는 어머니의 땅이지만 아버지의 땅은 아니라는 점에서 고향이면서 고향이 아니다. 또한 혼혈아를 바라보는 김명인의 시선도 단일 민족 프레임에 갇힌 타자성과 시인의 고아의식에 따른 동질성이 혼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시인에게 동두천의 장소성은 일관된 정서로 경험되기보다 ‘더러운 그리움’과 같이 양가성으로 경험된다. 동두천의 정치 사회적 의미가 양가적 속성을 이루는 심층이라면, 혼혈아에 대한 김명인의 감정은 표면이 된다. 이에 따라 시인에게 동두천은 ‘더럽지만 그리운’ 장소로 기억 재현된다. 동두천 보산리는 미군기지와 혼혈아의 존재로 한국의 다른 지역과는 확연히 다른 정치, 사회적 특색을 지닌다. 이런 이유로 동두천은 다른 지역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특정 사건을 내재한다. 사건은 상황, 인간에 의해 발생하기 보다는 그 장소가 갖는 여러 사회적 위치가 필연적 조건이 된다. 장소는 인간의 지각과 인식의 기초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경험의 자리로서, 동두천의 독특한 장소성은 시인의 세계인식이 반영된 ‘더러운 그리움’의 전체적 의미를 지배한다. 김명인의 『동두천』 연작시는 미군기지가 주둔하면서 파괴한 동두천의 경관과 인간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는 것으로, 소외된 장소와 사람을 복원하고자 하는 시인의 문학적 소망이 담겨 있다. 지금은 다문화사회라 하여 혼혈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도 기지촌의 혼혈인은 ‘다문화사회의 혼혈인’의 범주에 속하지 못한 사회적 관심 밖의 대상이다. 기지촌의 혼혈인은 한국의 단일 민족 프레임으로만 차별받는 것이 아니라, 가부장적 성윤리 문화에서도 한 번 더 차별받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안에 있는 기지촌 혼혈인에 대한 차별과 배제의 시선을 성찰하고, 사회의 주변인으로 나와 다르지 않은 그들과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통로가 형성되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uss the ambivalence that appears in ‘dirty longing’, which is the dominant meaning in the serial poetry of Dongducheon . It interprets such ambivalence to be the placeness of 「Dongducheon」 as perceived by the poet and it argues that the otherness and homogeneity of Kim Myung In regarding half bloods act simultaneously based on the production of that meaning. To military camp town half bloods, Dongducheon Bosanri is their homeland and it is not their homeland as it is the land of their mothers but not the land of their fathers. Also, within the viewpoint of Kim Myung In regarding half bloods exists both otherness trapped within the frame of a homogenous nation and homogeneity that follows the orphan consciousness of the poet. For such reasons, the placeness of Dongducheon is experienced by the poet as ambivalence such as "dirty longing" instead of as coherent sentiment. If the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Dongducheon forms the depth of ambivalent attributes, the emotions of Kim Myung In regarding half bloods form the surface. Following this, Dongducheon is remembered and reproduced as a "dirty yet nostalgic" place to the poet. Dongducheon Bosanri possesses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areas of Korea with the existence of a US army base and half bloods. For these reasons, specific events that cannot occur in other areas inherently exist in Dongducheon. Events don"t necessarily occur because of situations or people but rather, the various social positions of their locations become essential conditions. Locations are positions of experience that provide basic environments for human perception and awareness and the unique placeness of Dongducheon dominates the general significance of "dirty longing" that is reflected by the world recognition of the poet. The serial poetry of 「Dongducheon」 by Kim Myung In includes introspection regarding people and the landscape of Dongducheon, which was destroyed as the US army base was stationed there and it includes the literary desires of the poet who wishes to restore neglected places and people. We currently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perceptions regarding half bloods are improving. However, half bloods of military camp towns are subjects that exist outside of social interest, unable to belong within the category of "half bloods of a multicultural society". Half bloods of military camp towns are not simply discriminated by Korea"s frame as a homogenous nation but also within patriarchal sexual ethics culture.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serious thought can be given to perceptions of discrimination and the exclusion of military camp town half bloods among "us" and that paths can be formed that search for methods to coexist with them as social outsiders that are no different from us.

      • KCI등재

        이용악 시에 나타난 유민(流民)의 트랜스로컬리티 연구

        송지선(Song, Ji-seon)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이용악 시의 트랜스로컬리티 연구는 일제강점기 정치 사회적 혼란과 관련하여 당시 유민들의 디아스포라적 삶에 내재된 경계적 의미를 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트랜스로컬리티는 기존의 이분법적 경계구분으로는 제대로 설명하기 힘든, 이용악 시의 탈경계적 현상을 해석하고, 당대 유민들이 현실을 직시하고 희망을 찾아내는 동력 기제를 사유하는 개념이 된다. 이용악의 시세계에서 중심공간으로 등장하는 ‘북쪽’, ‘북방’은 고향과두만강을 거쳐 광활한 대륙과 접하고 있는 만주와 연해주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두만강과 연해주는 탈경계적 북방대륙으로서 트랜스로컬적 의미가 큰 공간이다. 함북의 변방지역을 오고 가는 유민은 ‘국민’이나‘민족’이라는 개념의 바깥에서 살아 가는 존재로, 북방의 초국가적인 공간에서 끊임없이 월경하며 살아갔다. 경계로서의 두만강과 대안의 땅으로서의 연해주를 통해 유민의 트랜스로컬한 삶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민에게 두만강은 새로운 삶터를 찾아 가는데 거쳐야할 길목이었다. 도강은 국경을 넘는 위험한 행위이지만, 강 건너 그곳은 생존을 모색할 수 있는 최후의 대안공간이었다. 이용악의 아버지와 친척들은 원고향과 연해주 간의 트랜스로컬한 관계망을 만들어 간다. 그러한 관계망은 조선과 러시아라는 국가와 상관없이 국가 내의 로컬에 밀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그들에게 원고향과 연해주는 단절된 기억과 향수가 아닌 두 지역의 문화와 로컬리티를 동시에 향유하는 트랜스로컬리티의 특성을 보인다. 유민들의 혼종적 정체성은 기원지로부터 목적지로 이동하는 과정의 산물로서, 이는 이용악 문학 공간의 본질적 요소가 된다. 트랜스로컬리티적 관점은 이와같이 이주(민)에 대한 해석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어 낸다. 현실과 가상에서 사람과 물자의 이동성이 활발해진 오늘날, 트랜스로컬리티는 로컬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이해하게 한다. 이것은 로컬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영역으로서 로컬에 잠재된 의미를 도출해내고 세계화 시대의 거시적이고 구조적 동인에 의한 로컬의 장소성과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정체성에 대해 말한다. The study on the translocality of Lee Yong-ak’s poems allows one to consider the boundary implications implicit in diasporic life of the drifting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ssociation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at the time. The translocality serves as a concept that interprets the cross-boundary phenomenon of Yong-ak’s poems, which is hard to explain from the existing dichotomic demarcation and to reason the power mechanism that allows the drifting people of the time to face the reality and seek hope. The `north` or ‘northern region’ that appears as a central space in the Lee Yong-ak’s poetic world stretches its reach beyond his hometown and the Duman River to Manchuria and the Yeonhea Ju. Therefore, the Duman River and the Yeonhea Ju hold translocal meanings as a transboundary northern continent. The drifting people who travelled around a backwater of North Hamgyeong Province, lived outside the boundary of `people` or `nation` but rather in the transnational space of the north while continuously crossing the border.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translocal life of the drifting people through the Dumen River as a boundary and the Yeonhea Ju as an alternative land. To the drifting people, the Duman River was a crossroad that they had to go through on their way to finding a new life. Crossing the river, which is basically crossing the border, was a dangerous attempt but seeking to reach the land across the river was the last option for their survival. Lee Yong-ak`s father and relatives create a translocal network between their hometown and the Yeonhea Ju. Such network is built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als within a nation regardless of the counties of Korea and Russia. In addition, the hometown and the Yeonhea Ju feature translocal characteristics that embrace and enjoy the culture and the locality of the both regions instead of the disconnected memory and nostalgia. The hybrid identities of the drifting people are a result of the process of migration from their place of origin to a new destination,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Lee Yong-ak’s literary world. The translocal perspective, in this regard, gives rise to meaningful results in interpreting the migration (migrating people). The circumstances today that allow the active and easy mobility of people and things both in reality and in virtual world make us understand the various phenomena that occur at local boundaries. This brings out the meanings latent in the local as a new territory that traverses the local boundaries and speaks of the placeness of the local by the macroscopic and structural driver of the globalization era and the identities of the people who live in there.

      • KCI등재

        기형도 시의 근대성에 갇힌 ‘빈 장소’의 토포포비아 연구

        송지선(Song, Ji-seo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89 No.-

        기형도는 부지불식간에 잠식한 근대성이 우리의 삶에 공포, 불안, 우울을 형성하고 있음을 ‘빈 장소’에서 목도한다. 그는 아무것도 없는 장소 혹은 장소라고 할 수 없는 공백의 차원에서 다른 이들의 눈에는 포착되지 않는 어떤 의미를 탐색한다. 기형도 시의 공간 연구는 공간에서 장소로, 장소에서 무장소로 나아가는 현실의 공간적 의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기형도의 전체 시세계에서 안식처로서의 긍정적인 장소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기존 기형도 시의 공간 연구가 무장소, 토포포비아라는 의미에 접근하지 못하는 것은 그동안 문학 연구에서 공간이나 장소에 어떤 긍정성이나 중립성을 부여하려는 문학 비평의 클리셰 때문이다. 현대시의 공간 해석은 장소 너머의 다른 장소들 및 사회적 과정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초점이 모아질 필요가 있다. 기형도의 작품에서 ‘빈 장소’는 분명 일상적인 장소로 사람의 삶이 축적된 장소이나 그곳은 사람을 반기지 않고 소외감을 준다. 장소에 대한 이러한 경험적 실재는 기형도의 시적 응시로 변형되어 사실적 허구인 토포포비아로 재현된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안개’, ‘구름’, ‘공기, ’눈‘ 등은 유동적이고 모호한 상태의 유체들이다. 이러한 유체들은 끊임없이 형태상으로 변화하며 장소를 초월한 흐름을 형성한다. 그것은 다기공(多氣孔)의 현실인 ’빈 장소‘를 자유롭게 오가며, ’빈 장소‘의 의미에 따라 그것들의 의미도 수시로 바뀐다. 유체에 대응되는 ‘딱딱한’ 고체성을 가진 대상들은 산업 자본주의와 함께 출연한 근대성의 본질과 모순, 근대성의 견고한 현실 장악력을 은유한다. 근대의 고체성이 견고해지면 인간의 삶에서 토포포비아가 형성된다. 기형도의 시에서 ‘떠돌이’는 근대적 사회의 부적응자로, 정해진 거처가 없는 타향적 실존자를 말한다. 그는 ‘떠돌이’의 사회적 소외감을 ‘빈 장소’를 통해 보여주는데, 인간의 소외는 장소로부터 소외와 결부된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떠돌이’와 관련된 일상의 사건들은 그에 대한 시인의 타자적 응시로 ‘빈 장소’의 불모성은 심화된다. 본 연구는 기형도 시의 ‘빈 장소’를 통해 근대의 부정적 세계를 들여다 보고, 기형도 문학의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획득하고자 한다. 기형도의 장소 경험과 근대성 사이에 어떤 문제가 놓여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우리는 왜 일상의 장소에서 토포포비아를 경험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Ki Hyung-do witnesses the point that modernity encroaching unknowingly forms fear, anxiety, and depression in our lives from the ‘empty place’. He explores certain meaning not captured by others’ eyes in the place where there is nothing or the dimension of a blank that may not be called as a place. Research on the space found in Ki Hyung-do’s poems fails to follow the spatial meaning of reality leading from space to the place and from the place to the non-place. In the overall world of Ki Hyung-do’s poetry, the positive place as a haven does not appear. Despite that, previous research on the space of Ki Hyung-do’s poems fails to approach the meaning of the non-place and topophobia due to the cliché of literary criticism intended to provide either space or the place with particular positiveness or neutrality in existing research on literature. Interpretation on the space of modern poetry needs to be focused on how to interact with the place beyond the place and social processes. In Ki Hyung-do’s works, the ‘empty place’ is obviously a usual place where people’s lives are accumulated, but it does not welcome but alienate people. Such empirical existence of a place is transformed into Ki Hyung-do’s poetic gaze and reproduced as topophobia, realistic fiction. ‘Fog’, ‘cloud’, ‘air’, or ‘snow’ appearing in his poems is a fluid in the flexible and ambiguous state. These fluids change constantly in their shapes and create a flow transcending the place. They freely come and go to the ‘empty place’, the reality of multiple pores, and their meaning changes frequently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empty place’. ‘Hard’ objects equipped with solidity contrary to fluids represent the essence and irony of modernity that emerged along with industrial capitalism and modernity’s solid power of command over reality. Once the solidity of modernity gets firmer, topophobia is formed in human lives. In Ki Hyung-do’s poems, ‘ddeodori’ refers to a person maladjusted to modern society and also an existent away from home having no fixed place to live in. He shows the sense of social alienation that ‘ddeodori’ have with the ‘empty place’, and this metaphorically reproduces the point that human alienation is associated with alienation from the place. Ordinary events related to ‘ddeodori’ are from the poet’s gaze on him as one of the others and the infertility of the ‘empty place’ gets deepened. This study is aimed to look into the negative world of modernity with the ‘empty place’ found in Ki Hyung-do’s poems and acquire the new meaning and value of Ki Hyung-do’s literature. By examining what kind of matter lies between Ki Hyung-do’s place experience and modernity, we will find the clue of the solution to why we get to experience topophobia in the everyday place.

      • KCI등재

        기형도 시에 나타난 도시인의 방어기제 연구

        송지선(Song, Ji-Seon)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기형도의 시에서 시적 자아는 거대한 도시성 앞에 위축된 나약한 인간으로 나타난다. 그는 불가해하고 낯선 도시성에 직면하여 심리적 불편함을 벗어나고자 방어기제를 보인다.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서울을 떠나면서도 다시 서울로 가고 있는 반복강박을, 도시성에 장악된 빌딩의 토포포비아로부터는 격리기제를, 인파의 익명성과 무관심으로부터는 과거로의 퇴행기제를 보인다. 그러나 이 모든 방어기제에도 불구하고 시적 자아는 도시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도시적 삶을 반복한다. 기형도 시에 나타난 도시는 시적 자아의 객관적인 환경과 조건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인의 감각과 인식이 드러나는 방식, 즉 작품의 표상체계와 관련된다. 기형도는 도시의 각박함과 서로에 대한 무관심으로 도시인의 삶이 위태로워질 때, 그들에게 나타나는 방어기제를 포착·재현한다. 이것은 도시라는 텍스트에 대한 기형도 시만의 독법이다. 따라서 시적 자아의 개인적 차원에서 기형도 시의 독특한 수사를 이해하는 것은 시의 본질과 멀어지는 것이다. 그가 처한 ‘서울’의 도시성과 연결 지어 작품에 접근할 때 시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 기형도의 작품에서 도시성에 노출되어 무기력해진 인간의 내면은 특수한 개인의 것이 아닌 도시성을 헤쳐나가는 우리들의 보편적 세계이다. 본 연구가 도시에 대한 인간의 복잡한 심리 반응을 이해하는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In GI Hyeong-do’s Poetry, the poetic self appears as a weak human being daunted before huge urbanism. In the face of inscrutable and unfamiliar urbanism, he uses a defense mechanism to escape psychological discomfort. He reveals obsessional repetition to keep going back to Seoul and leaving it where he has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a quarantine mechanism about topophobia towards the buildings dominated by urbanism, and also a regression mechanism towards the past for the anonymity and indifference of crowds. Despite all these defense mechanisms, however, the poetic self fails to escape from the city and repeats urban life patterns. The city that appears in GI Hyeong-do’s poems is not only a matter of the poetic self’s objective environment and conditions but is associated with the way the poet’s senses and perceptions are revealed, that is, the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work. GI Hyeong-do captures and reproduces the defense mechanism that is found in urban people when they are at stake due to the harshness of the city and indifference about each other. This is a unique way of reading the text of a city found in GI Hyeong-do’s poems. Therefore, it makes us far from the essence of his poems to understand the unique rhetoric of his poems at the personal level of the poetic self. When we approach his works in association with the urbanism of ‘Seoul’ he is in, we can get closer to the essence of them. GI Hyeong-do’s poems depict the inner side of human beings who have become lethargic being exposed to urbanism, and it belongs to not just a particular individual but all of us who are going through urbanis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humans’ complex psychological responses to the city.

      • KCI등재

        신경림 시의 로컬리티적 관점에서 본 여성성 연구

        송지선 ( Song Ji-se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9 No.-

        세계화로 국가의 경계와 정체성이 희미해지고 더불어 로컬의 정체성도 잃어가는 것이 일반적 추세이긴 하지만, 그 정도는 지구촌 전역에 걸쳐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중심의 시선에서 멀어 질수록 로컬은 그만의 고유성과 일상성으로 제3의 공간을 형성하기도 한다. 제3의 공간은 국가와 자본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 일상의 탈중심적 공간이다. 그곳의 주체는 장소와의 유기적 관계 맺음을 통해 뿌리를 깊이 내린 장소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대상과의 관계지향적인 원리는 여성성을 관통하는 특징인 동시에 여성성이 지향하는 세계관이다. 신경림 시의 로컬리티적 관점에서 바라본 여성성 연구는 로컬의 정체성을 지키는 숨은 주체로서 여성을 복원하는 작업이다. 그리하여 로컬리티와 여성성이 중심 이데올로기를 벗어난 대안 사회의 가치가 될 수 있음 보여주고자 한다. 신경림의 시는 가부장제 하에서 피억압기제로 있던 여성이 중심 이데올로기에 밀려 주변으로 치부된 로컬에서 어떻게 세계를 포용하며 생명력을 부여하는 지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자연과 유기적 관계에 있는 여성의 몸을 통해 여성이 주체적으로 로컬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여성이 가진 모성은 근대의 중심적 논리가 가져온 폐해를 극복하는 절대적 가치로서 로컬 특유의 따듯함과 순박함을 영속시키는 뿌리로 나타나기도 한다. 궁극적으로 신경림은 시를 통해 로컬이 자본의 균질화 위협을 불식시키고 차별성을 보이려면, 그럼으로써 중심에 결핍된 잠재력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주체자로서의 여성의 정체성이 회복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권력이나 이데올로기에 의하여 억압받는 로컬의 문제에 하나의 대안 영역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On account of globalization, borders between nations and their identity are getting unclear, and along with that, the identity of locals is also getting lost. But the degree of it is not identical worldwide. When they are farther from the sight of the center, the locals rather get to form the third space with their own uniqueness and dailiness. The third space is the daily space of decenteredness that is not defined by the state or the capital. The subjects in it have organic relations with the place and establish the placeness deeply rooted. The principle oriented to relationship with object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penetrating femininity and also the view of the world pursued by femininity at the same time. The study on femininity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ity in Sin Gyeong-rim’s poems is a work to restore women as hidden subjects guarding the identity of locals. It intends to show locality and femininity can be the value of alternative society alienated from central ideology. Sin Gyeong-rim’s poems embody literarily how in the patriarchal system, women under the mechanism of the repressed depart from their status as peripheral locals pushed out from central ideology and embrace the world and provide vitality. It is concretely shown as women giving vitality to locals subjectively through their body in organic relations with nature. Also, the maternal instinct of women is shown as roots perpetuating locals’ unique warmness and plainness as absolute value to overcome the evils resulted from the central logic of the modern times. Ultimately, with his poems, Sin Gyeong-rim paradoxically says that it is needed to recover women’s identity as subjects in order to have locals get rid of the threats of capital to bring homogenization and reveal its discrimination and accordingly exert the potentials that are deficient in the cent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n alternative area to the matter of locals repressed by power or ideology.

      • KCI등재

        이용악 시의 변방지역에 나타난 공간의 이동성 연구

        송지선(Song, Ji-seon)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본 연구는 이용악 시에 나타난 변방 유이민의 이동성을 통해 만주, 연해주를 포괄하는 북방지역을 일제 강점기의 고통이 점철된 부정적 공간이 아닌 생존을 모색하기 위한 대안적 공간으로 본다. 이에 따라 이용악 시에 나타난 변방의 국경은 만주, 연해주에 대한 ‘장벽’이 아닌 유이민의 삶의 전환을 가능하게 했던 ‘이동 경로’로 인식된다. 이용악 시의 고향, 북방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그것의 고정된 공간적 본질성을 전제하여 이용악 시의 새로운 사회적 의미망을 살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이민의 이동경로와 그들 간의 상호 교차되는 장소의 특성을 탐색하여 변방지역이 생성하는 사회적 의미의 폭을 확장시킨다. 이는 이용악 시에 나타나는 변방지역의 공간성을 탈경계적 확장에 따른 구조적 동인에 주목하여 접근한 것으로, 그의 시에 새로운 현실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문학에 재현된 공간의 이동성을 살펴보는 것은 이곳과 저곳을 단순히 구분하는 것이 아닌 인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곳과 저곳의 다른 현실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작품을 통해 주체의 이동 양상을 탐색하는 것은 공간 그 자체에서 생성된 의미가 주체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용악은 일제 강점기 북방을 떠돌던 유이민의 상호 교차되는 장소의 특성뿐만 아니라, 그들 간의 사회적 관계가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포착하여 유이민의 이동 경로와 결절(node)에 담긴 서사를 시로 재현한다. 이에 따른 변방지역의 공간성은 유이민들의 각기 다른 로컬리티가 복합적 양상으로 혼재하나, 그들은 결국 뿌리뽑힌 자들의 동류의식으로 연대감을 갖고 현실에 응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용악의 시에 나타나는 변방지역은 유이민의 생활세계에 누적된 다양한 로컬적 기제를 통해 식민지 현실이 집약된 공간으로 나타난다. Through the mobility of wandering people in border area found in Lee Yong-ak’s poems, this author sees the northern area including Manchuria and the Littoral Province not as negative space full of pa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not as alternative space to survive. In fact, the border described in Lee Yong-ak’s poems about the border area is not the ‘barrier’ to Manchuria or the Littoral Province but the ‘route of moving’ that allowed the wandering people to seek transition in their lives. Advanced research dealing with the hometown or northern area found in Lee Yong-ak’s poems assumes the stereotyped spatial essence of it so fails to examine the socially meaningful networks found newly in Lee Yong-ak’s poems. This author, however, explores the wandering people’s route of mov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they met each other and extends the depth of the social meanings that border area tends to produce. This is an approach applied by focusing on the spatiality of border area found in Lee Yong-ak’s poems in relation to structural drivers attributed to trans-border extension, so it provides his poems with realistic meanings newly. Examining the mobility of space reproduced in literature is not just distinguishing this place from that but understanding different realities of this and that place inducing the migration of characters. Also, exploring the aspects of the agents’ migration within works is intended to figure out how the meanings produced in the space itself are associated with their lives. Lee Yong-ak captures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the people wandering around the northern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et each other but how they had social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ere and then reproduces the narrative containing the people’s route of moving and nodes as poems. The spatiality of that border area tells us that there existed mixed and complex aspects of different localities for the people wandering there, but they did confront the reality having solidarity with consciousness of kind as people rooted out. Therefore, the border area pictured in Lee Yong-ak’s poems appears as space where colonial reality was concentrated through a variety of local mechanisms accumulated in the wandering people’s world for living.

      • KCI등재

        기형도 시에 나타난 침상도시(bed town)의 로컬리티 연구

        송지선(Song Ji-seon)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기형도는 유년 시절부터 스물아홉의 나이로 요절할 때까지 25년간 ‘광명’에 거주했다. 1980년대 ‘광명’(당시는 경기도 시흥군)은 서울의 배후지 농촌이었으나, 산업화 를 거치면서 기능적으로 배치된 침상도시로 변화한다. 여기서 말하는 ‘침상도시’라는 공간표상은 비단 ‘광명’에만 국한되지 않고, ‘서울’의 주변도시를 아우르는 것이다. 기형도는 도시의 거리에서 ‘낯섦’과 ‘거리두기’라는 산책자의 시선을 통해, 도시 군중의 익명성을 포착하여 그의 작품에 독특한 방식으로 형상화한다. 도시화가 가져온 익명성의 문제는 감각의 변형과 시선의 문제를 가져옴과 동시에 도시적 장소성에 기반을 두는 표현수단, 즉 표상체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형도 시의 지배적 공간 이미지를 ‘낯설고 딱딱하고 비어 있음’으로 보고, 이러한 공간 인식이 침상도시의 로컬리티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이러한 기형도 시의 공간과 장소 의식은 현실과 동떨어져 추상적 · 보편적으로 접근했던 기존 연구 성과를 재평가 한 것으로, 기형도시의 독특한 형상화 방식이 실제 현실 속의 구체적 장소성에 기반한 것임을 말한다. 기형도 시에 나타난 침상도시의 로컬리티를 묻는 것은 ‘서울’에 종속된 주변 도시의 장소상실에 대해 성찰하고, 왜 우리는 장소를 상실하게 되었는가를 묻는 삶의 근본을 찾는 방법이 된다. Gi Hyeong-do lived in ‘Gwangmyeong’ for 25 years, from his childhood till he died at an early age of twenty-nine. In the 1980s, ‘Gwangmyeong’ (Siheung-gun, Gyeonggi-do, at the time) was a hinterland of Seoul, a farming village, but it is transformed into a bed town functionally distributed through industrialization. He captures anonymity of the urban crowd through strollers’ eyes of ‘unfamiliarity’ and ‘distancing’ on urban streets and gives form to that in his works with a unique method, for the issue of anonymity that urbanization brought about causes issues of the modification of the senses and gaze and at the same time, affects the form of expression, which is based in urban placeness, in other words,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regards ‘unfamiliarity, stiffness and emptiness’ as the dominant spatial image of Gi Hyeong-do’s poetry and definitely reveals that this spatial recognition occurs in the locality of the bed town.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bed town’ mentioned here is not just limited to ‘Gwangmyeong,’ but also brings the surrounding cities of ‘Seoul,’ together. This awareness of space and location in his poetry re-evaluates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 that used abstract and universal approaches, apart from reality, which shows that his poetry is based on specific placeness in the reality. Asking about the locality of the bed town in Gi Hyeong-do’s poetry becomes a method of finding the root of life, reflecting on the loss of place in the surrounding cities subordinate to ‘Seoul’ and asking about the reason why we came to lose the place.

      • KCI등재

        바로크와 로코코시대 남성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의 변화양상

        송지선(Ji-Seon Song),최은미(Eun-Mi Choi)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5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6 No.4

        In modern times, men’s makeup and hairstyles have become more feminine. Under these trends, this study analyzed men’s makeup and hairstyles during the Baroque and Rococo periods when men’s adornment culture was at its peak. 100 men’s portraits from that time were selected. According to analysis of men’s cosmetology culture, short hair and long mustaches were popular because of Renaissance era dress which existed in the early Baroque era. In addition, there was almost no lip makeup because of the mustache. Entering the mid Baroque period, hair became longer while mustaches got shorter. As a result, cheek and lip makeup became more common. In the late Baroque period, hairpieces became very popular, and mustaches disappeared. At the same time, lip makeup got darker. Entering the Rococo era, men’s makeup became gaudier, and more diverse hairstyles appeared.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men’s makeup and hairstyles during the two different eras and found that their cosmetology culture has changed according to socio-cultural background at that time.

      • KCI등재

        기저세포암 증후군 환자에서 상악동 창과 골편이식을 이용한 치성각화 낭종의 제거 치험례: 접근의 용이성 및 재건의 의미

        문민선,이혜경,정희선,송지선,Moon, Min-Seon,Lee, Hye-Kyung,Jeong, Hii-Sun,Song, Ji-Sun 대한성형외과학회 2010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7 No.6

        Purpose: Basal cell nevus syndrome (BCNS), also known as Gorlin syndrome, is a rare autosomal dominant disorder. It is characterized by complex neoplastic syndrome with multisystemic manifestations, involving six major features. This article presents a rare genetic disorder and usage of the author's methods for odontogenic keratocyst, developed in the maxillary sinus. Methods: A 67-year-old man was presented with large calcified maxillary mass and multisystemic manifestations and findings that matched with basal cell nevus syndrome. The calcified maxillary mass was removed via the versatile maxillary window and maxillary bone segment was repositioned. Results: Histopathologic findings revealed that maxillary and mandibular lesions were odontogenic keratocysts and the skin lesions were basal cell carcinoma. Conclusion: Basal cell nevus syndrome is a rare genetic disease that requires surveillance and care for basal cell carcinoma and multisystemic problems. The author's method was satisfactory for maxillary odontogenic keratocyst in the aspect of the approach and re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