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먹거리문제의 해법으로서 녹색소비주의

        송인주(In Joo S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6 農村社會 Vol.26 No.1

        2000년대에 광우병 사태 같은 심각한 먹거리 파동을 겪으며 한국사회에서도 라벨링(labelling)이 식품안전문제 해결을 위한 먹거리 거버넌스의 지배적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런 흐름의 저변에는 녹색소비주의의 정치적 가치와 잠재력에 대한 암묵적 합의가 존재하는데, 대안적 먹거리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관행 농식품체계를 더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체계로 개선해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녹색소비주의가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또 그런 먹거리 소비행태를 통해 대안정치가 실제로 실현될 수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녹색소비주의의 소비주의적 실천 지표로서 가공식품 구매시 식품라벨의 일상적 활용여부에 따라 소비자의 먹거리문제에 대한 관심과 대안소비를 지향ㆍ실행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식품라벨을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소비자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먹거리ㆍ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사회적 가치 고려 같은 대안소비성향, 그리고 대안소비 행동수준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식과 행동의 괴리 가능성을 고려하여 대안소비성향을 나타낸 소비자의 대안먹거리 구매동기를 통제해보면, 라벨 활용에 따른 대안소비 실천수준은 차이가 없으며 정작 라벨은 사적.실용적 관심이 큰소비자에게 더 유효한 수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사회 먹거리문제의 해법으로서 라벨링 위주의 녹색소비주의는 ‘녹색’보다는 ‘소비주의’의 규정을 더 강하게 받는 것이다. 즉 녹색소비주의 해법의 잠재력이 소비자의 사적.실용적 관심에 가로막혀 충분히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녹색소비주의가 지향하는 소비자시민(성)에 내재한 긴장, 즉 자기이익을 우선하는 소비자로서의 이해관계와 자기를 넘어 공공ㆍ이타성을 지향하는 시민적 덕성의 충돌 가능성을 보여준다. Recently food labeling has become the dominant means of food governance for food safety. This trend involves a underlying implicit consensus on the political value and potential of green consumerism. It asserts the alternative food consumption can improve the agri-food system by promoting more socio-ecological thoughts and practices. But there are not so many studies that empirically examined whether green consumerism is being actually implemented in Korea.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onsumers’ propensity and behavior of food purchase depending on the daily use of food labels. The extent to which the consumer group routinely using food labels is concerned about food problem, considers alternative values, and acts alternativel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using group. However, there’s a possibility that the awareness would not match with the behavior. When we control the purchase motivation of the consumers which express the alternative consuming propensity, we can find that there’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alternative consumerist behavior and the label is more useful to the consumers which have the personal and practical interest. It shows the potential of green consumerism can be blocked by private interests of consumers. This raises the question of the validity of consumer-citizenship model that green consumerist advocates, because the consumerist self-interest ideal is not easily compatible with the civic virtues oriented to public altruism.

      • KCI등재

        한국의 쇠고기 등급제: 쟁점과 성격

        송인주(In Joo S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4 農村社會 Vol.24 No.1

        축산물의 육량과 육질을 ‘과학적’으로 평가하여 시장가격과 연동시키는 축산물 등급제는 현재 국내산 축산물 품질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제도다. 그러나 최근 쇠고기 등급제가 지방을 과도하게 함유한 쇠고기 생산을 장려함으로써 국민보건상의 문제를 낳는다는 우려가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쇠고기 등급제의 도입 및 정착 과정과 작동방식을 살펴보고 쇠고기의 생산·유통·소비 전반과 관련된 쟁점을 검토한다. 한국의 쇠고기 등급제는 식육 유통체계의 현대화를 위해 시작되지만 이후 마블링이라는 거의 단일한 육질기준을 확립함으로써 쇠고기 생산방식의 산업화와 축산농가의 기업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했다. 또 지속적인 품질 고급화와 가격 차등화가 전개된 결과 쇠고기 소비의 대중화와 소비시장의 계층화가 동시에 발생했다. 쇠고기 등급제는 ‘품질’ 또는 ‘1등급’을 둘러싼 경쟁을 통해 가축생산과 식육소비에서 포섭과 배제를 강화하는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을 촉진했다. 오늘 한국의 쇠고기 등급제는 지방의 과다섭취와 관련된 국민보건 문제뿐만 아니라 축산의 고도 산업화와 맞물린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의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Beef grading system is an institutional foundation to make a definition of beef quality through ‘scientifically’ evaluating yield and quality and connecting evaluations with market price. But recently, there are emerging new issues about this institution in social question concerning food. The point is that current beef grading system might make national health problems through promoting high-fattened beef production. Why does beef grading system make such a concern? This study investigates historical processes of introduc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beef grading system and examines the issues concerning about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beef. Korean beef grading system was introduced for the modernization of beef distributing system. But it made marbling score as a single standard for quality of meat. As a result, livestock farm had to intensify factory farming and industrial management to fulfill the standard. Thus beef grading system brought about high-level industrialization of Hanwoo industry. And this trend made domestic beef mass-consumption and stratification of beef market concurrently. It means that Korean beef grading system is a component of neo-liberal adjustment of livestock agriculture which institutionalize principle of inclusion and exclusion through quality competition.

      • KCI등재

        한국 역사교육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송인주(Song In-J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본 연구는 ‘역사를 위한 역사’, ‘역사가를 위한 역사’가 아니라, 역사를 전공한 역사가로서 그리고 교육대학교에서 ‘역사교육을 담당하는 역사교육자’로서의 복합적 경험에 의거하여 기왕의 한국 역사교육연구에 관한 비판적 성찰을 하려는 데 있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역사교육연구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연구자로서 현 단계 우리나라 역사교육연구 전반을 회고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보다 정확한 현실인식에 입각하여 역사교육을 바라보려고 하는 교육철학의 빈곤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역사교육에 대한 메타담론을 뿌리로 교육과정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한편 그 토대위에서 역사교육과정과 역사교육연구의 이론과 좌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본다. 미래를 겨냥한 한국 역사교육연구의 유용성은 교육철학과 교육과정 그리고 역사교육과정과의 유기적이며 정합적인 연계 고리를 통해 그 정당성과 타당성의 준거가 마련될 때 비로소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evious research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not in terms of ‘history for history’ or ‘history for historians,’ but in terms of a history educator’s experiences, and suggest a better direction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biggest problem at present in Korean history education in general seems to be the lack of philosophy in which history education is viewed with appropriate awareness of reality. I suggest that we establish the identity for a long standing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education upon the meta-discourse of this philosophy, and the discourse for history education research should start off from this meta-discourse. The value of research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future could be assumed when it acquires it’s justification and validity through organic and synthetic integration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practices in history classrooms.

      • KCI등재
      • KCI등재

        『皇淸職貢圖』의 ‘大一統’ 세계

        송인주(SONG, In-Ju)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8

        본 연구의 목적은 『皇淸職貢圖』를 통해, 청조가 어떠한 논리로 자신들의 ‘大一統’ 이념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했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皇淸職貢圖』는 건륭 연간 청조 황제에게 조공하러 온 外國과 夷狄들의 복식과 양태를 圖像으로 그리고, 그들의 역사와 풍속에 대한 정보를 서술한 서적이다. 『皇淸職貢圖』가 역사 사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 것은 청조가 中國 內地의 非漢人系의 사람들을 어떠한 논리를 가지고 통치를 했는지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皇淸職貢圖』 중에서도 특히 ‘四川’ 지역의 非漢人系 사람들에 대한 묘사를 살펴보았다. 四川 지역은 청조의 영역 속에서 漢人들의 거주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나, 티베트 계를 비롯한 다양한 종족들이 거주하고 있는 공간이었다. 청조는 그 이전의 중화왕조들처럼 사천 지역의 다양한 非漢人系 사람들의 자치권을 박탈하고, 그들을 강하게 통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非漢人系 사람들은 漢人에게 거주지를 빼앗기거나, 동화되기도 하였다. 『皇淸職貢圖』의 四川 지역의 非漢人系 사람들에 대한 묘사를 보면, 청조는 이들을 夷狄으로 여겼으며, 교화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이러한 청조의 논리는 그 이전의 중화왕조가 夷狄들을 대한 태도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었다. 청조의 황제는 만주인 군주였지만, 四川을 비롯한 中原에 거주하는 非漢人系 사람들에 대해서는 자신을 ‘中華王朝의 皇帝’로 드러낸 것이다. 이러한 『皇淸職貢圖』의 非漢人系 사람들에 대한 서술 방식은 중국 근현대의 ‘소수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서술 논리로도 계승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how Qing Empire described its ‘The Great Unity(大一統)’ world in Illustrations of Tributaries of Qing Empire(皇淸職貢圖). Illustrations of Tributaries of Qing Empire described foreigners and barbarians who paid tributes to Qing dynasty on Qianlong reign. 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this document explains how Qing empire recognized and ruled non-Han Chinese ethnic communities in China pro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e of description about non-Han Chinese ethnic communities of Sichuan(四川) in Illustrations of Tributaries of Qing Empire In Qing period, Sichuan was not only the habitation of Han Chinese but also diverse non-Han Chinese ethnic communities including Tibetan people. Like the majority of Chinese empires, Qing empire also strongly controlled these non-Han Chinese ethnic communities, and many of them had been acculturated to Han Chinese culture. The description about non-Han Chinese ethnic communities of Sichuan in Illustrations of Tributaries of Qing Empire presents Qing empire’s attitude about non-Han Chines people of Sichuan. Qing empire saw them as “barbarians” and “the target of edification(敎化).” This Qing attitude succeeded to that of Chinese empires including Ming empire. Qing emperors were Manchu people and also “barbarian”, non-Han Chinese people who inhabited in China proper was that of ‘the emperor of Chinese dynasty.’ This attitude and way of description in Illustrations of Tributaries of Qing Empire was succeeded to historical and cultural narrative of Chinese modern historians about non-Han Chinese ethnic communities in China pro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