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서린 비글로우의 영화 <허트 로커>의 작품세계와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손봉희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미국의 여성 영화감독인 캐서린 비글로우의 영화를 살펴보고 그의 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캐서린 비글로우의 작품 전반에 보편적으로 드러 나는 캐릭터의 특성과 그들이 내러티브 안에서 위치하는 지점을 우선 살펴보고, 캐서린 비글로우가 자신 의 영화에서 끊임없이 주창하는 이데올로기에 대해 논의한 후 그것을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스타일로서 의 핸드헬드에 대해 논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언급되는 영화는 <허트 로커>인데 이 영화의 마지 막 폭발물 해체 장면을 샷 단위로 살펴보면서 캐서린 비글로우의 핸드헬드가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하는 지를 논의한다. 또한 보조적 수단으로 빠른 리듬의 편집이 핸드헬드 샷과 어떻게 결합하는지도 살펴본다. 그 결과 긴장 상태에 놓여있는 캐릭터의 등장과 자위권 옹호 이데올로기가 비글로우 영화를 관통하는 특 징과 철학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그것을 작품에 실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방식 은 핸드헬드 촬영과 빠른 편집이며 그 핸드헬드의 방식이 흔들리는 화면이 만들어내는 화면상의 ‘물리적 긴장감’에 더해 캐릭터가 느끼는 ‘감정으로서의 긴장감’까지 포괄하고 있음을 <허트 로커>라는 대표 작 품의 사례를 들어 규명하였다. 이 연구가 비글로우 영화에 관한 접근 및 스타일을 관통하는 방법론과 핸 드헬드 방식의 원리 및 그 효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있어 초석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중 장서붕과 양윤호의 연구(2021)에 상당 부분 동의하며, 본 연구 역시 캐서린 비글 로우의 <허트 로커>가 중요한 분석 도구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가진다는 점을 전제한다. 그러나 장서붕과 양윤호가 취했던 논의 전개 방식, 즉 핸드헬드에 대한 큰 전제와 설명, 정의로부터 <허트 로커> 라는 개별작품으로 좁혀 들어가 논증하는 방식과는 궤를 달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films of Catherine Bigelow, an American female film director, and to explore and articulate how her films work. First of all, w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with their place/role in the narrative which is universally revealed in Catherine Bigelow's work. Arming the points, this thesis further discusses the ideology that Catherine Bigelow constantly advocates in her films. This would then this research considers the handheld as a way to facilitate and work by means of physical implement through Bigelow’s film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oncepts and approaches, this thesis explores how Catherine Bigelow's handheld is constructed and works centered on the film <The Hurt Locker> while examining the final explosive dismantling scene shot-by-shot. It also looks at how fast-rhythmic editing can be combined with handheld shots as a secondary means. As a result, it was argu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in a state of tension and the ideology of defending the right to self-defense are the characteristics and philosophy that permeate the Bigelow’s movie. And the most essential method for realizing it in the work is handheld shooting and rapid editing. Using the case of the representative work <The Hurt Locker>,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handheld method encompasses the ‘physical tension’ created by the shaking screen as well as the ‘sensation as an emotion’ felt by the charact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touchstone for the follow-up researches to develop/facilitate the principles and effectiveness of the concepts and handheld method penetrating the approach and style of Bigelow’s films. This study largely agrees with the study of Jang Seo-bung and Yang Yun-ho (2021), and this study also presupposes that Catherine Beagle's “Hurt Locker” is used as an important analysis tool.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way Jang Seo-bung and Yang Yun-ho developed the discussion, that is, from the big premise, explanation, and definition of hand hel, they narrow down to an individual work called “Hurt Rocker” and argue.

      • 동시대 연기자 교육에 있어 ‘몸 훈련’의 의미 : 배우의 준비된 상태

        손봉희,이영란,신대식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한국연기예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동시대 연기교육에 있어 ‘몸 훈련’에 관한 실질적인 역할과 의미에 대한 고찰은 지금 우리에게 배우란 어떠한 존재이며 연기란 무엇인지에 관한 근본적 성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배우는 지금, 여기, 즉 허구적 시공간 속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관객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기예술의 본질은 특정 텍스트가 지향하는 미학적 가치를 추구하여 동시대를 살아가는 관객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데 있 다. 특히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동서양의 주요 연출가 및 연기지도자들의 접근과 실천 방법은 연기예술을 위한 특정 이론만을 제시하거나 강조하는 실제적이지 못한 논의와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이들의 연구와 접근과정은 배우가 무대 위에서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성취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을 집요하고 끊임없이 제기하며 결국 훈련을 통해 준비된 상태를 실천적으로 수용할 수 있 는 주체는 ‘배우 자신의 몸과 솔직한 만남’에 있음을 역설적으로 강조한다. 어느 때보다 물질 숭배와 상호 경쟁이 팽배한 동시대 삶 속에서 이러한 성찰과정은 배우와 연기예술의 본질적 측면을 재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틀을 마련해 줄 것이며 실천적인 훈련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라 믿는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마음의 미적 가치에서 나타난 연기예술 접근

        손봉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연기예술에 대한 접근과정에 있어 핵심 원리로 자리하고 있는 ‘인간의 마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 을 중심으로 마음에 내재한 본의와 가치를 살펴본 후, 과연 이러한 가치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실천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로 확장하고자 한다. 특히 마음이 담고 있는 본질적 가치에 대항하는 자기중심성과 그 한계로부터 비롯되 는 타자와의 연결, 세상과의 관계성 부재 등의 문제점 및 현상을 비판적으로 재고하고 동시대 삶과 예술에 대한 지 향점을 모색함으로써 오늘날 연기예술 접근과정에 있어 마음의 중요성이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고 찰은 기존의 익숙한 방식을 버리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며, 오랫동안 잃어버렸던 배우 개인의 자발적 주체성을 찾 아가기 위한 중요한 시도로 작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동시대 연기예술 교육 및 접근과정에 있어 학생-배 우들에게 요구되는 실천적 공부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고도의 기술력 향상과 성과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오늘날 연기예술 교육 현장에서 마음의 움직임과 그 중요성을 재고하는 시도는 자발성과 공동체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요구 되는 지금, 여기, 우리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배우의 자발적 상태에 관한 재고 - 훈련과 교육의 가치 탐구를 중심으로 -

        손봉희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6 No.2

        This thesis aims to redefine the meaning of the performer’s spontaneity and pay attention to the reality of the ‘preparatory work' (training/study) by means of a prerequisite quality for contemporary student-actor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e significance of these principles in the contemporary acting/performer training. To this e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cept of an ‘armed body’ that inhibits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performers and the phenomenon derived from it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n particular, by rethinking the various approaches and practices of Johnston, Moreno, Alexander and contemporaneous (acting) leaders, who particularly pay attention to the voluntary state of human beings/performers. I would like to (re) illuminate the limitations of ‘old-fashioned education’ that goes back to activeness and spontaneity. As an alternative way(s) to escape from the outdat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limate dotted with so-called oppression, damage, and armed forces, it is a discussion about the necessity of life/art activities that pursue values rather than life/art activities that pursue functions on the trajectory of a strategic location. Based on the points discussed above, this thesis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ath for human/performers to find a path to enter into a voluntary state is triggered by an attempt to negate the secular circuit deep inside, that is, a body free from personal habits. In other words, the voluntary body/state of a person/performer is based on the premise of the person/performer’s direct experience, and the principle that the ‘unpredictability' expressed here corresponds, conforms, and/or proportion with the ‘sincerity’ of the person/performer derive the result-oriented ‘consciousness of purpose’ embedded in the consciousness circuit causes psycho-physical dissonance of humans/performers, and again, it is inevitably faced with a huge wall of consciousness that is rigid or fixed, the self that refuses to chang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developing and reinforcing the essential principles and their applicability of the human/performer’s voluntary state. 이 연구는 배우의 자발성이 함축하는 본의를 살펴보고 이러한 상태에 이르기 위한 선결 조건으로써 오늘날 학생-배우들에게 요구되는 사전 준비(훈련/공부)과정의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발성에 내재한 원리가 동시대 연기예술 훈련 및 교육 과정에 있어 시사하는 가치와 그 의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간/배우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무장된 몸’에 관한 개념과 여기서 파생되는 다양한 현상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인간/배우의 자발적 상태에 주목하는 존스톤, 모레노, 알렉산더 및 동시대 (연기) 지도자들의 관점 및 접근 과정을 재고함으로써 능동적/자발적 상태와 역행하는 ‘구식 교육’의 한계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른바, 억압, 손상, 무장, 무관심 등으로 점철된 구식 교육의 풍토로부터 탈피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기능’을 추구하는 방향이 아닌 ‘전략적 위치’의 궤도 위에서 ‘가치’를 추구하는 삶/예술 활동의 필연성에 관한 논의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간/배우가 자발적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통로를 모색하는 길은 개인의 습관으로부터 자유로운 몸, 즉 내면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세속적 회로를 부정하고 덜어내기 위한 실질적인 시도에서 촉발된다는 사실에 무게를 둔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배우의 자발적 상태는 몸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적 경험을 전제로, 여기서 발현되는 ‘비예측성’이 그 인간/배우의 ‘진정성’(sincerity)과도 부합, 비례한다는 원리를 도출한다. 인간/배우의 의식 회로에 내장된 결과 중심의 ‘목적의식’은 심리-신체적 부조화를 초래하며, 다시금 경직되거나 고정된 틀 속에서 변화를 거부하는 자기라는 거대한 의식의 벽과 마주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연구가 배우의 자발적 상태에 관한 본질적 원리 및 그 적용 가능성을 보다 발전시키고 강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초석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

        Discussion about the Priority for the Improvement of Performer Training in Korea

        손봉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Vol.11 No.2

        This thesis examines a significant way to enhancing and improving the term/phenomenon of performer training system in contemporary Korean theatre. To articulate the matters, this research engages in discussing and criticizing those problematic issues that we, as an instructor/trainer, have faced with through the last decades in the field of performer training and education. Specifically, we concern with the necessity of an applicable and appropriate educational/training system where each student-actor would discover his/her own adaptability by evaluating what a specific method and approach is. This atmosphere accurately provided by an instructor/trainer can also facilitate and enhance the young students’ potential possibilities and/or talent, that is, as we argue a way to accomplish each performer’s true nature. To achieve the goals, we underlie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d/or settling performer training program/course by means of an alternative path. The research finding shows that within the atmosphere each student could share then interrogate what a possible or ideal way is according to his/her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with clearer purpose: what kind of performers would you produce, train, and/or educate.

      • KCI등재

        Demystifying an Appropriate Use of a Performer’s ‘Energy’ Where the Performer’s Body Becomes ‘Real’

        손봉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0 No.2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meaning of a performer’s energy taking into an account of the full bodily engagement as the flow of energy and/or psychophysical readiness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significance of qualitative bodily transformation. In this contemporary era, the dominance of performer training and its approaches to acting/training has very frequently meant that how to play a character in a textual based approach by emphasizing on interpreting and impersonating the role as real as possible. In this sense, as a performer trainer, from my observation and research findings shows that it is common for the term energy is not to be motivated by what a performer’s body needs within a specific moment in specific performance which they are working on. To address the problematic issues, this thesis begins by interrogating the practical meaning of transformation with addressing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movement by means of the flow of energy on stage. For a performer, inhabiting/integrating his/her body and mind as oneness and/or unity means s/he sincerely encounter, confront, and therefore listen to his/her body in here and now. Because since the performer’s physical appearance completely defined his/her psychological state, no one can play either the past or the future in the moment. In this manner, an appropriate use of energy synonymous with the flow of energy correspondence with the given time and space in which the performer’s body informs and initiates movement as necessary action. To be precise, the performer’s bodily movement either visible or invisible in a sense of training and rehearsal is perceived as attaining or achieving psychophysical involvement as the full body engagement which enable to make the event happen in the right moment. Here, this thesis argues that the significance of a performer’s inner intensity reminds us of the necessity of qualitative transformation on which the performer could discover his/her own mode of awareness as well as a way his/her body function in the given circumsta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finding would advocates that the performer’s body maintains in the field of energy flow where his/her conscious effort and/or mindfulness disappear. The performer’s movement is a manifestation of the whole bodily engagement by means of being as real in that moment rather than representing reality.

      • KCI등재
      • 에니어그램 2, 3, 4번 성격유형의 자화상 분석

        손봉희 대한에니어그램영성학회 2015 대한에니어그램영성학회지 Vol.4 No.-

        Purpose :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portrait characteristics of enneagram type 2, 3 and 4, to obtain inner dynamic of the feeling triad. Methods : The study was descriptive study based on analyzing portrait characteristics of enneagram type 2, 3 and 4. Results : Portrait characteristics of the feeling triad were positive and optimistic, express themselves. But, the result of detailed analysis with 2, 3 and 4 was there. Conclusion : Analysis of portraits, which has an enneagram type of visual data that can unconscious desire to understand the level of health and emotions as meaning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