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술치료에서의 예술기반 연구방법 활용에 대한 탐색

        소혜진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신체심리연구 Vol.6 No.1

        Arts-based research (ABR) mainly uses creative arts, which are closely connected to human life experiences. ABR methods can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about research topics because they use different ways of examining research topics. However, ABR is unfamiliar to many researchers because it has a shorter history than conventional research methods and because it uses unique ways of analyzing data and presenting results. Like ABR, creative arts therapy also commonly uses the arts as a primary tool for therapeutic work. The author believes that ABR needs to be more actively applied in creative arts therapy research because this methodology can highlight the therapeutic strengths of the arts and solidify theoretical aspects of creative arts therapy. Therefore, the author intends to examin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ABR and explore possible applications of ABR in the field of creative arts therapy. Lastly, the author analyzes related research projects and provides examples of using ABR for researchers. 인간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예술을 주 매체로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예술기반연구(Arts-Based Research)라 한다. 예술기반 연구 방법은 기존의 연구방법론과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탐구하는 연구 주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통찰을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예술기반연구는 다른 연구 방법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으며 창조적 예술표현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뒤 결과물을 제시하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아직도 많은 연구자에게 생소할 수 있다. 다양한 예술 매체를 주요 치료 수단으로 사용하는 예술치료는 창조적 예술표현과 참여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예술기반 연구 방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저자는 예술치료에서 예술만이 가지고 있는 치료적 효과성 및 관련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예술기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예술기반연구의 이론적 특징을 살펴 본 뒤 예술치료 분야에서의 예술기반연구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자는 예술치료 분야에서 예술기반연구를 사용한 논문을 소개하여 예술치료 연구자들이 예술기반연구를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의 변화: 2015-2016년과 2017년의 연구 결과 비교

        소혜진,임성민,조상연,고민숙,문진화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smart device usage trends of young children using two studies conducted in 2015-2016 and 2017 respectively. Methods: We compared the data of the previous study of 130 children (Group A) and the new study of 162 children (Group B). The children and parents were recruited from kindergartens in Seoul and Guri/Namyangju cities. We used the “Parental questionnaire for smart device usage status.” Results: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smart device usage in young children and parental perception. In the 2017 study, smart device usage time increased during weekends (P<0.05) and the usage with siblings decreased (P<0.05). In 2017, the smart device was mostly used when children had to be quiet without disturbing others (36.8%).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the main purpose of use: watching video clips (79.3% vs 76.6%). Overall control of the usage was still largely exercised by mothers; however, when using applications, mothers still only helped the children on request (51.8% vs 49.7%). Regarding the effect of smart device on children, responses of “not knowing” decreased and “will be negative” and “will be positive” increased (P<0.05). Additionally, most mothers thought that “Although the smart device is currently unnecessary, it will be needed in future” in 2017 (46.3%). Conclusion: Limiting the smart device usage time during the weekends and increasing parental involvements are recommended. Guidelines for smart devices usage in young children are also necessary considering the changes in parental attitudes in recognizing the smart device usage as unavoidabl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에 대한 2015– 2016년에 시행한 연구결과와 2017년도에 시행한 연구결과를 비교해보고 두 기간 사이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5년 11월–2016년 4월까지 130명을 대상으로시행한 선행연구 결과와(Group A) 2017년 3월–12월까지 162명을대상으로 시행한 후속 연구의 결과(Group B)를 비교 분석하였다. 경기도 구리/남양주시 및 서울지역의 유아기관에 등원하는 3–5세의유아들과 부모들이 연구에 참여 하였으며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에 대한 부모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결과: 두 기간 사이에 유아들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부모의 인식은 일부 변화가 있었다. 2017년도 연구에서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은특히 주말 시간대에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P<0.05), 형제와 같이 사용하는 것은 줄어들고 있다(P<0.05). 또 어머니들은 유아들이 다른 사람을 방해하지 않고 조용히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스마트 기기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고 하였다(36.8%). 주요 이용 콘텐츠는 두 기간 동안에 큰 차이가 없었고 모두 동영상 시청이 가장 많았다(79.3 % vs 76.6 %). 사용 시작과 종료에 대한 주도권은 여전히 어머니에게 있었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시 유아 혼자 선택하기보다는 어머니 또는다른 도움을 받아 선택하는 것이 늘어나(P<0.05), 전반적인 사용에 대한 통제는 대체로 여전히 어머니가 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녀가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 요청할 때만 도움을 주는 경우와 전혀 도움을 주지 않는 경우가 여전히 높았고 큰 변화가 없었다.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줄고, 긍정적또는 부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하였다(P<0.05). 또 스마트 기기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이전에 비하여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줄었으며(P<0.05), 현재는 필요하지 않으나 앞으로는 필요할 것이라는 응답이다수를 차지하였다(46.3%). 결론: 2017년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들의 주말의 사용 시간을적절히 제한하고 스마트 기기 사용시 부모 개입을 늘리도록 권고한다. 또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이 피할 수 없는 환경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입장을 결정해 가고 있는 부모 태도의 변화를 고려할 때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조속히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A Preliminary Research of the Role of Using Voice as a Bodily Instrument in Creative Arts Psychotherapy

        소혜진 한국무용예술학회 2018 무용예술학연구 Vol.70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plore the use of voice as an instrument in music therapy. In general, voi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ntegrating mind and body, connecting feelings and thoughts, and bridging self and others. Clients who experienced emotional struggles found that breathing, toning, and singing were beneficial tools that relaxed tension in the body, lessened anxiety, and allowed them to express their repressed feelings. In particular, the creative aspects inherent in vocal improvisation helped clients to deepen and strengthen positive changes with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Vocal Holding Techniques and Free Associative Singing played important roles for clients not only in their in-depth explorations of personal issues but also in bringing about reconstructive experiences in body awaren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ecovery of trusting relationships.

      • KCI등재

        Experiencing Body Movement in a Creative Arts Psychotherapy Group

        소혜진 한국무용예술학회 2019 무용예술학연구 Vol.7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심리치료전공생들이 내담자로서 집단예술치료에서 제공된 다양한 움직임 활 동을 참여했을 때의 경험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한 명의 남성치료사와 세 명의 여성치료사가 과거 집단예술치료에 참여했던 경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인터뷰하였다. 연구자는 현상학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섯 개의 주제와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a) 신체사용(신체이완, 신체접촉, 신체움직임의 변화), (b) 개인적 경험 (정서적 표현, 어려운 경험), (c) 집단에서의 경험(집단응집력, 더욱 공유하게 됨) , (d) 임상적 발달, (e) 음악의 역할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참여자들은 다양한 신체 움직임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신체에 더욱 민감하게 되었으며, 공동체의 일원으로 집단에서 소속감을 경험하였고 더 나아가서 개인적, 전문적 발달을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신체움직임을 하는 동안 제공된 음악은 참여자들의 참여를 더욱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치료전공생들의 개인적, 전문적 발달을 위하여 집단예술치료에서 음 악, 무용/동작 및 미술 등 다양한 예술매체의 사용이 권장된다. .

      • KCI등재

        발달장애 형제를 둔 음악치료사의 성장경험에 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이지은(Lee, Ji-Eun), 소혜진(So, Hye-Ji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2 교육치료연구 Vol.14 No.3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searcher’s growth experience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a music therapist with a sibli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er analyzed arts-based data related to her growth experiences through an art-based autoethnography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life under the shadow of a broth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d the researcher to develop a desire to be approved by the parents, resulting in the suppression of thoughts and emotions. The researcher also discovered that her nurturing character, which was developed from having a brother, led her to become a music therapist. Finally, the researcher was able to achieve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a process of self-awareness and insight during music therapy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perceptions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to implement a concrete and practical support system, especially for non-disabled siblings.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형제를 둔 음악치료사가 음악치료 훈련과정을 통해 스스로의 성장경험을 이해하고 음악치료 전문가로의 발달과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장애형제이자 음악치료 훈련과정 중에 있는 연구자의 성장경험을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발달장애 형제에게 가려져 부모님께 인정받고 싶은 욕구로 인해 생각과 감정을 억압했으며 부모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나는 장애형제를 통해 돌봄 성향을 발달시켜 음악치료사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치료 상황에서 해결되지 못한 욕구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으나 자기 인식 및 통찰과정을 거쳐 개인적 성장 및 전문적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장애인 및 가족구성원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비장애형제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지원제도가 시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깊이 탐색함으로써 보다 전문성을 갖춘 음악치료사로 성장하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내부자적 관점에서 발달장애인 가족 및 비장애형제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장애인 가족을 위한 지원제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전공 실습생들의 노인 내담자 대상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심영빈,소혜진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4 문화예술융합연구 Vol.5 No.1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음악치료 교육과정에서도 노인 대상 임상실습 경험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전문 음악치료사가 되기 위해서 실습생들은 내담자의 다양한 환경과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치료전공 실습생들이 경험한 노인 내담자 대상 음악치료 경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노인 내담자와 음악치료 실습을 경험한 9명의 참여자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은 2021년 3월부터 10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노인 내담자 대상 음악치료 실습에서의 긍정적 경험’, ‘노인 내담자 대상 음악치료 실습에서의 어려웠던 경험’, ‘노인 내담자 대상 음악치료 실습에서의 음악개입’, ‘노인 내담자 대상 음악치료 실습을 통한 변화’와 같이 총 4개의 영역과 2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실습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전문적 역량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치료전공 실습생이 노인 내담자 대상 음악치료 경험을 통한 변화와 성장에 대해 고찰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노인 내담자를 대상으로 실습을 경험하는 전공생들에게 실습훈련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y practicum students with geriatric cli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music therapy practice with elderly clients and analyzed them using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areas and 23 categories were derived, such as 'positive experiences in music therapy practice with elderly clients', 'difficult experiences in music therapy practice with elderly clients', 'music intervention in music therapy practice with elderly clients', and 'change through music therapy practice with elderly client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changes and growth of music therapy practicum students through their experiences with elderly clients, and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practicum training process for music therapy majors who experience practicum with elderly clients.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음악치료 인턴쉽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서희정,소혜진 한국예술치료학회 2018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의 정신건강의학과 인턴쉽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음악치료사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정신건강의학과 인턴쉽 경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한 뒤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ʻ시작 전 경험,ʼ ʻ의미 있는 경험,ʼ ʻ어려움 경험ʼ 그리고 ʻ성장의 경험ʼ으로 총 4개의 영역과 1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음악치료사들은 정신건강의학과 인턴쉽을 통하여 음악치료적 개입 기술과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 및 동료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는 등 치료사로서 전문성 성장을 경험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라는 고유한 특성을 가진 기관에서 음악치료 훈련생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전문성을 획득하는지에 대해 고찰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인턴쉽을 진행하게 될 훈련생들에게 전문성 발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ternship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in a psychiatric department. To gather the data, the researcher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to explore the internship experiences of 10 Korean music therapists in a psychiatric department. Aft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our domains and 18 categories were generated about participantsʼ internship experi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d various emotional reactions such as anxiety or excitement prior to their internships, but they also improved their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about psychiatric patients. In the realm of positive experiences, they witnessed their clientsʼ changes and were able to gain help from supervisors, unit staff, and peers. Their difficult experiences were related to lack of skills, countertransference, conflicts with staff, and confusion about their roles in the unit. It is hoped that this qualitative research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how music therapy interns need to be prepared before their internships and how they establish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during their internship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assist intern supervisors to understand their internsʼ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a psychiatric department.

      • KCI등재후보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치료에서 음악치료사의 관계형성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유예지,소혜진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examine Korean music therapists’experience in their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s the result of data analysis, five domains were emerged: “prejudice against children with ASD,”“experiences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building,”“difficulties in building therapeutic relationships,”“efforts to build therapeutic relationships,”“development through therapeutic relationships building with children with ASD.” These domains were further divided into 25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sic therapists themselves had positive experiences of self-growth as they developed therapeutic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accentuate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ASD and provides direction for music therapists who strive to develop these relationships.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치료에서 음악치료사의 관계형성 경험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치료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 9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교차분석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사전인식’, ‘치료관계형성의 어려움’, ‘치료관계형성을 위한 노력’, ‘치료관계형성 경험’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 치료관계형성을 통한 성장’등 총 5개의 영역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사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며, 치료를 통해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노력의 극복과정 및 다양한 임상적 개입에 대한 시도 등을 탐색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서 이를 통해 음악치료사로서 성취감과 직업적 보람, 동기부여 등을 경험하고 나아가 치료사로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의 음악치료에서 관계형성의 과정 및 임상적 개입, 치료사의 정서적 어려움 등에 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이 주 대상인 음악치료사들에게 치료관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전문적·개인적 발달에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박진희,소혜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심리 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고찰한 것으로, 음악치료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학사학위이상을 소지한 남녀 전문음악치료사 117명이다.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결 과에서 연령(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 최종학력(직업적 자기효능감), 경 력(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심리적소진이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의 인과모형은 완전매개모형을 가진다.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이직의도 및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 를 낮추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과 고용안정성과 관련 된 후속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music therapist’s job self-efficacy and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Upon review, one hundred seventeen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s that were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questionnaires that are composed of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s, job self-efficacy,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dditionally,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Scheffé’s post hoc test was us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noted statistical differ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noted between age, education, and career.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the reasons of the music therapist’s turnover, intention and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ist’s job security.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주향기,소혜진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car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usic therapists currently active in the field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s. As a result, music therapists‘ self-care experiences derived three domains and 26 categories. The emerged domains include: a) self-care motivation; b) personal self-care experience; c) professional self-care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music therapists underwent self-knowledge and self-acceptance through self-care experiences, which allowed them to experience positiv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growth. In addition, music therapists who engaged in self-care felt that they grew to understand their clients better and was found to promote client-centered intervention. Therefore, music therapists’ self-care has value as a developmental task for the growth of a music therapist, both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Finally, this study examined music therapist’s self-care experiences and raised the importance of it. The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self-care strategies and education.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임상에서 3년 이상, 현재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면담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은 ‘자기돌봄의 동기’, ‘개인적 자기 돌봄 경험’, ‘전문적 자기 돌봄 경험’의 3개 영역과 26가지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음악치료사들은 자기 돌봄을 통하여 자기성찰을 하고 자신을 이해 및 수용하여 주체적 삶의 태도와 타인과의 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며 개인적인 성장을 하였다. 또 음악치료사의 개인적 성장은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켜 내담자 중심 개입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은 음악치료사의 성장을 위한 발달과업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을 고찰하고, 자기 돌봄의 중요성을 제고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자기 돌봄 전략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