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폭력 피해 생존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을 위한 집단무용/동작치료 체험연구

        김하람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신체심리연구 Vol.7 No.1

        This study is a group dance/movement psychotherapy experience study for psychological trauma recovery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aims to find out the meaning of group dance/movement psychotherapy experiences of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group consisted of four adult women with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In addition, the research program was applied based on the methodology of Somatic Experiencing® (SE™).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17 sub-themes and 7 topics were derived. As a resul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reconnection with the body, recovery of a safe sense of body, re-experi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layfulness, and voluntary senses.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provide survivors' experience in dance/movement psychotherapy for psychological trauma recovery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help develop their ability to intervene physically in sexual violence trauma as a contact point for recovery. It is also meaningful in providing practical data that can be applied to the clinical field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생존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을 위한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 체험연구로서, 성폭력 피해 생존자들의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 집단의 참여자는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 4명으로 구성되었다. 또한연구 프로그램은 심리적 외상에 접근하는 신체 중심적 개입으로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Somatic Experiencing®(이하 SE™)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적용하였다. 연구과정은 사전 면담 1회,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 5회기, 사후 심층 면담을 1~2회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연구 방법 및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하위주제 17개, 주제 7개가 도출되었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신체와의 재연결, 안전한 신체감각의 회복, 대인관계의 재경험, 놀이성 및 자발적인 감각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성폭력 피해 생존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을 위한 무용/동작심리치료에 대한 생존자의 경험을제공하고 회복의 접점으로서 성폭력 외상에 대한 신체 중심적 개입의 역량을 발전하는 데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무용/동작심리치료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자료를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심리치료의 소도구 활용과 치료적 요인에 대한 기초 연구

        신휘,김나영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3 신체심리연구 Vol.8 No.2

        무용/동작심리치료 영역에서 치료의 주요 도구는 신체와 움직임 자체에 있으나, 이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소도구에 대한 자료는 미비하여 참고하거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찾기 어렵다. 국내 무용/동작심리치료 영역에서 소도구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해외에서도 연구가 적고 대부분 열람이 제한되어 있어 소도구 활용에 대한 근거와 창의적 확장을 위한 기초자료의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1994~2020년까지 국내 무용/동작심리치료 연구에서 소도구를 활용하고 그 종류와 치료적 요인을 기록한 연구물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무용/동작심리치료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도구의 선호되거나 자주 활용되는 소도구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들 소도구는 네 가지 치료요인 ‘신체, 움직임’, ‘자기인식, 자기표현’, ‘타인, 집단’, ‘공간경험, 경계인식’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특정 치료요인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소도구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동작심리치료 영역에서 활용되는 소도구에 대한 기초자료 마련과 전문적 이해를 위해 활용 소도구의 종류, 소도구 활용의 치료적 요인을 살펴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임상사례연구: ADHD아동이 무용/동작치료에서 경험한 신체리듬

        박동아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19 신체심리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how child diagnosed with ADHD experience changes in the course of dance/movement therap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year old child who were diagnosed with the first ADHD at the age of 7. Child participating in the study participated in a single case where 12 dance/movement therapy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three months from March 2018 to June 2018. Various musical instruments such as music and drums were us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d each session record was prepared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child diagnosed with ADHD in dance/movement therapy.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out how ADHD child can change their body rhythms when using various mediums such as music and drums in dance/mobility therapy and to provide participating child with experiences of varying self-expression and self-energy control when combined with music, drum rhythm and movements. These results show that dance/movement therapy provides ADHD child with experiences related to self-expression and self-regulation. 본 연구는 단일심층사례연구로 ADHD아동이 무용/동작치료 과정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 아동은 10살 아동으로 7살에 최초 ADHD 진단을 받았다. 연구 참여 아동은 2018년 3월 ~ 2018년 6월까지 총 3개월 동안 12회기 무용/동작치료를 진행한 단일사례에 참여하였다. 치료기간동안 다양한 음악, 북과 같은 악기를 사용하였으며 각 세션기록지 작성을 통해 무용/동작치료에서 ADHD아동이 어떤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ADHD아동이 무용/동작치료에서 음악, 북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였을 때 경험한 신체리듬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음악, 북이 가져다주는 리듬과 움직임을 함께 하였을 때 참여 아동에게 다양한 자기표현과 자신의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로부터 무용/동작치료가 ADHD아동에게 자기표현과 자기 조절감과 관련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집단무용/동작치료가 편마비 노인의 우울과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보현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19 신체심리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miplegic elderly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through a group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7 experimental groups and 8 control groups by 15 of the hemiplegic elderly over 65 years old who used the disability welfare hall located in K ward, Y ward, Seoul. Defeat the group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r the total 14 sessions for 90 minutes once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efeats the group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r this study and received psychotherapy during the reception I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Korean-style depression (KGDS)” and “RESE”, and based on this, we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2 to verify the pre- and post-events. Cronbach alpha was us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or ques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treatment of the first group dance movement on the depression of hemiplegic elder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Z = -2.37, <.05). The experimental group (Z = -2.37, <.05) on the effect of second group dance movement treatment on the self-esteem of hemiplegic elderly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way, we were able to obt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y confirming the limited range of movement of the body due to hemiplegia and the unique movement of the body. It is because this study was made up of the fact that he had the ability to adjust the movement, and he became able to understand hemiplegic elderly themselves through a group dance treatment program. 본 연구는 집단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편마비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Y구와 K구에 소재한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 중인 65세 이상 편마비 노인 중 총 15명으로써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에 총 14회기의 집단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주 1회 90분씩 처치하고, 통제집단은 실험집단이 본 연구를 위한 집단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처치 받는 동안 심리치료에 관한 어떠한 치료도 받지 않았다. 본 연구에 활용한 척도로는 ‘한국형 노인우울(KGDS)'와 ‘RESE'이고 이를 바탕으로 사전-사후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2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각 척도지 문항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 α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집단무용/동작치료가 편마비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실험집단(Z=-2.37,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집단무용/동작치료가 편마비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실험 집단(Z=-2.37,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편마비로 인한 제한적인 신체 움직임 가동 범위의 확장과 자신만의 고유한 신체 움직임을 확인하고, 그 신체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자신에게 있음을 본 연구를 위해 구성된 집단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편마비 노인 스스로가 알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라반의 Shape 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만성 정신장애인의 불안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최주희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신체심리연구 Vol.5 No.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verify how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DMT) using Shape factors of Laban takes effect on anxiety and self-expression for adult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subjects were 17 and divided into 8 people in experimental group and 9 in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DMT that applied Laban’s Shape elements, but not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ir anxiety belonged to the lower level anxiety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rea of ​​‘contents’ and ‘body language’,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xpression. This result shows that DMT using Laban’s shape reduces the anxiety of them by recognizing the internal senses based on reality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self-expression by expanding body expression. 본 연구는 Laban의 Shape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만성정신장애인의 불안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E구, D구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만성정신장애인 17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를 시설에 따라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9명으로 각각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총 8회기에 걸쳐 Laban의 Shape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비교집단에게는 처치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로는 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자기표현척도(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를 사용하였다. 전체 회기 시작 전과 종료 후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만성정신장애인의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처치 후 불안이 감소하였고, 한 단계 낮은 불안 그룹에 속하게 되었다. 둘째,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내용의 영역과 신체언어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는 라반의 Shape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신체내부 감각과 주변 환경을 현실에 기반하여 인식하게 함으로써 성인 만성 정신장애인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신체표현을 확장시킴으로써 자기표현 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북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박동아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신체심리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psychotherapy on the attention and self-control of ADHD children. The subjects were 12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using S city mental health cente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divided into six people,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a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using a drum for a total of 10 times, but not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tools include SCRS and K-CBCL. As a resul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through pre-test after the end of the whole program, it was verified tha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using the dru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f-control of ADHD children. Thi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f-control when ADHD children were treated with dance/movement psychology. 본 연구는 북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S시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ADHD를 진단받은 아동12명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6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총 10회기에 걸쳐 북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진행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로는 SCRS(아동용 자기보고식 자기통제력, 부모용 관찰보고식 자기통제력)척도와 K-CBCL(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이다. 본 연구의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은 2019년 4월 5일부터 6월 14일까지 주 1회 5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북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이 ADHD를 진단받은 아동들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전체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후기 3단계로, 초기단계에서는 주의집중, 자기표현 경험하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중기단계에는 집단의 지지와 신뢰감 형성, 자기조절하기 단계이며 마지막 후기단계에서는 집단의 지지와 신뢰감 구축, 주의집중과 자기조절 강화를 경험하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체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에 SCRS 자기통제력 척도와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를 사전, 사후 검사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유무를 검사한 결과 북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ADHD 아동에게 북을 활용하여 무동/동작심리치료를 했을 때,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Tension Flow 리듬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유아의 자기표현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박영옥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2 신체심리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using the Tension Flow rhythm of System I on children's self-expression and self-regulation among two branches of KMP (Kestenberg Movement Profi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negative and non-verbal factors of the entire self-expression and sub-criterion. Second,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overall self-regulation and affective factors. Third, the qualitative changes of self-expression and self-regulationwere revealed as childrenexperienced the quality of various bodymovements in both directions of tension flow, explored,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controlled their own bodies.It also has significance inthat it can be applied as basicdata of a therapeutic and psychological program for parents education or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to detect, intervene and prevent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KMP(Kestenberg Movement Profile)의 두 가지 시스템 중 System Ⅰ의 Tension Flo w 리듬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유아의 자기표현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ension Flow 리듬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에서 자기표현 전체와하위 요인의 음성적 요인과 비언어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검증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Tension Flow 리듬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영향을 검증한 결과에서 자기조절 전체와 정서성 요인에서 유의미한 검증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Tension Flow 리듬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표현과 자기조절의질적인 변화에서 Tension Flow의 양극적 다양한 신체 움직임의 질을 경험하며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하며 유아 스스로 신체를 통제하고 조절하는 긍정적인 자기표현과 자기조절의변화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Tension Flow 리듬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프로그램이유아의 자기표현과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의 조기발견과 개입의 예방 차원의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이나 유아교육현장에서 기초 자료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촉진적인 치료환경의 의미로써의 비지시적인 표현예술심리치료 사례

        노지숙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2 신체심리연구 Vol.7 No.2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the non-directive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as a way to create a treatment environment “sufficient holding facilitative environment” through the non-directive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process conducted on children who have psychologically withdrawn due to neglect. The record of the session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In the process, if there was a special session or significant changes in reality, the session was record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progress of the sessions, it was observed that the child experienced a mother-child relationship, becoming capable of distinguishing “me and others”, and eventually acquired a sense of self. The results of this case isthat non-directive and child-centered expressive artspsychotherapy as a meaning of a facilitative treatment environment becomes an intermediate space for him. Also, as intermediate phenomena and intermediate targets were expanded in that space, his ability was also expanded to internalize and comfort himself. 본 논문은 방임으로 인해 심리적인 철수를 했던 아동에게 실시한 비지시적 표현예술심리치료과정을 통해 개인의 발달에 필수적인 ‘충분히 좋은 촉진적 환경’의 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한방법으로써 비지시적 표현예술심리치료를 부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시시적인표현예술심리치료의 회기 진행의 기록은 두 부분의 기간으로 나누었고 그 과정 중 특별한회기나 현실 속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던 경우는 한 주 전 회기를 좀 더 세세히 기록하는방식으로 하였다. 회기 진행을 통해서 아동이 모-아 경험, ‘나와 나 아닌 것’을 구분할 수 있게되고자아감을 획득해 가는것을 볼 수 있다. 사례의 결과로부터 촉진적 치료 환경의 의미로써의 비지시적인 아동중심 표현예술심리치료는 아동에게 중간영역이 되어 그 공간에서 중간현상의 확장과 중간대상이확장이 되어감에 따라 중간대상을자기 자신에게 내면화하고 위로하는 능력도 확장 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예술심리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문헌고찰

        김주은,김기쁨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신체심리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vious literatures about the self-reflections of creative arts psychotherapists and provide related information. To explore this topic, the researchers searched related keywords in the database and finally analyzed 46 literatures that align with the research subj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e arts psychotherapists’ practice of self-reflection prompts their personal growth and development. Second, creative arts psychotherapists are able to reflect upon themselves through supervision, personal therapy, advanced training and creative arts work.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form the importance of creative arts psychotherapists’ practice of self-reflection, which enhances both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the field of creative arts psychotherapies. 본 연구는 현재까지 선행된 예술심리치료사의 자기성찰과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여 예술심리치료사의 자기성찰의 중요성에 대해 탐색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주제에 부합하는 검색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연구 목적에 맞는 문헌 46개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심리치료사의 자기성찰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과정이다. 둘째, 예술심리치료사는 슈퍼비전, 내담자로서의 예술심리치료 경험, 학위 후 심화훈련과정 이수, 그리고 예술작업을 통하여 자신을 인식하고 성찰한다. 본 연구는 예술심리치료사의 자기성찰 개념, 필요성 및 중요성, 방법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이들의 개인적, 전문적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예술심리치료사의 자기성찰에 관한 연구와 예술심리치료사를 양성하는 교육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무용창작 수업을 통한 청소년의 움직임 창의성 경험

        김은지,조은숙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신체심리연구 Vol.5 No.2

        In order to explore adolescents’ experiences on the creativity of movement through dance creation classes,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of Amedeo Giorgi was conducted on a female student in the first grade of S Middle School in Seoul. Collected materials from interviews and observation notes were analyzed by procedures of the Amedeo Giorg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It was revealed from this study that the dance creation class enhanced the creativity of movement in terms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accuracy. Subsequently, four different ideas that the creativity embraces were interpreted into the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psychomotor skill. This approach enabl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ccuracy and each domain of learning. It also allow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learning domain on the enhancement of each concept for the creativity. 본 연구는 무용창작 수업을 통한 청소년의 움직임 창의성 경험에 대한 연구를 위해 서울소재 S중학교 1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아메데오 지오르지(Amedeo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에서의 무용창작 수업 내용은 전문 무용예술가 및 무용교육자가 고안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무용)』 중 중학교 1~3학년군 무용창작 프로그램을 참고하였으며, 면담과 관찰일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지오르지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무용창작 수업을 통한 청소년의 움직임 창의성 경험을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증진으로 확인한 본 연구는, 창의성이 포함하는 네 가지 개념을 다시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이 어떠한 영역의 의미단위로 발달되었으며, 각 영역의 발달이 네 가지 개념 특성을 어떻게 증진시킬 수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