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서의 분책 방식과 단원 구성 방식 탐색

        이주섭 ( Lee Ju-seop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3 No.-

        이 연구에서는 2007년 2월에 개정 고시된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교과서의 내적 체제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교과서 분책 방식과 단원 구성 방식에 초점을 두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교과서 분책 방식과 관련해서는 영역별, 기능별 통권 형태를 제안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영역별 분책 방식을 취하였고, 몇몇 연구자들은 기능별 분책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영역별, 기능별 연계성을 살려야 한다는 점에서 통권 체제가 더 적합하다는 점, 통권으로 인한 분량 부담이 있기 때문에 한 학기당 2권 체제가 적합하다는 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 다음으로, 단원 구성 방식과 관련해서는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을 구분한 다층 체제의 단원 구성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언어사용 목적별 대단원 체제를 취하였다. 기존의 단원 구성 방식을 비판하면서 새로이 제안된 단원 구성 방식 중에서 주제 중심 단원 구성 방식은 이 연구의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있었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맥락 중심의 대단원, 주제 중심의 중단원, 목표 중심의 소단원 체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ner structure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 is followed by revised curriculum in 2007.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the type of separating volume and the type of Unit Organization for elementary Korean textbook. First, in relation to type of separating volume, I suggested a system of combining domain and function. The 7th Korean curriculum was separated by each domain. And, some articles suggested the type of separating volume be followed with function of textbook. But, this study discussed appropriation of combing domain and function, and appropriation of two volume in one semester. Next, in relation to the type of unit organization, I suggested a type of multi-level unit organization. The 7th Korean curriculum was organized by large unit for language use purpose. And, a theme based unit organization have suggested by some articles gave hint to this study, but they have a few problem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type of context based large unit, theme based middle unit, object based small unit.

      • KCI등재
      • KCI등재

        과정별 쓰기 전략과 쓰기 결과의 상관성 연구

        이주섭 ( Lee Ju-seop ),오정옥 ( Oh Jeong-o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과정 중심 쓰기 상황에서 어떤 전략이 학습자가 쓴 완성글과 상관성이 높은지를 분석하고, 각각의 쓰기 전략이 쓰기 결과물에 반영되고 수용되는 양상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별로 사용한 전략 중 생각묶기 과정의 다발짓기 전략이 쓰기 결과물의 질을 높이는 데 특히 많이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쓰기 전 단계의 전략 사용이 쓰기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을 질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생성한 아이디어를 완성글에 그대로 옮겨 놓는 경우보다는 아이디어를 새롭게 조직하고 첨가하며 필요에 따라 아이디어를 삭제하고 변형한 학생의 경우에 쓰기 결과물의 수준도 높았다. 셋째, 쓰는 중 단계에서는 동료 협의하기를 한 집단의 쓰기 결과물 수준이 자기 수정을 한 집단보다 더 높았다. 협의하기를 한 경우, 동료의 조언을 자기조정 과정을 거쳐 반영하였을 때 쓰기 결과물의 질이 더 높았다. 그러나 협의하기 결과가 우수하더라도 문체나 낱말 수준에서만 수정한 경우에는 쓰기 결과물의 평가 결과가 초고쓰기의 평가 결과와 달라지지 않았다. 협의하기를 하지 않은 경우, 쓰기 능력이나 자기조정 능력이 뛰어난 학습자는 협의하기를 하지 않았어도 쓰기 결과물의 수준이 높았으나 그렇지 못한 학습자는 쓰기 전 단계의 전략들을 수정, 보완하지 않고 그대로 나열하는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play the qualitative analysis, that is, when learners make compositions by applying the strategies for process-oriented writing, what kind of effect the strategies for process-oriented writing has on writing-product. For these analyses, it is given what kind of strategies have a close relation to the completed writing product, on the basis of the interrelation of the writing product applied by the strategies for writing and the writing product among the completed writ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clustering among the organizing processes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uperior quality of the completed writing. Secondly, It is very significant that as far as the mind for writing, which is in the previous stage occurred, is not rewritten on the later stage, but the mind is reconstructed, added, eliminated and transformed, the final product is excellent. Lastly, as for the process of composing, among two groups which accomplished the drafting, one group tried to correct drafts by doing learners' conference, the other did for oneself it. On the whole, the team which performed the learners' conference is bett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차기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개선 방향

        이주섭 ( Ju Seop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In this study, I meant to look into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07 critically and find the way to improve the next Curriculum. That is because a lot of weight is not only given to the contents of Curriculum in the course of education, but also these contents reveal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new Curriculum. In these contents of Curriculum, I focused on two problems. First, I meant to point out the Korean educational meaning of Practice(the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the text), which is most emphasiz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 checked the meaning of Practice and suggested that it should be maintained or intensified in the next Curriculum. Following this, we discussed the problem of setting the area of detail contents which has been a lot controversial so far. I classified the so-far discussion on setting the area into 2 arguments of the advocates for both 4 and 6 areas, then making up the way of setting areas in the next Curriculum.

      • KCI등재

        국어과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

        이주섭 ( Ju Seop Lee ),임천택 한국독서학회 2001 독서연구 Vol.6 No.-

        Recent developments and integra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ultimedia technology are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structional learning methods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rperty, fuction and condion of multimedia instruction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the porperty of multimedia instruction materials is visual presentation, complixity, interactionaity, hypertextuality. Second, the fuction of multimedia instruction materials is reflection of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motivation generation, an offer of instructional methods, expantion and fixing of laguage experience, an offer and storing of language data, evaluation of language activity, Third, the condition of multimedia instruction materials is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appropriateness of growth, appropriateness of discourse, appropriateness of instruction, appropriateness of material use.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in three aspects. First, an instructor is to be facilitator, cooperator, reflectional practician, data manager. Second, instruction model is in need of diversification or intergration under certain circumstanc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e multimedia instructional materials that make actual interactive and feedback.

      • KCI등재

        초,중등 학생의 화법 양성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담화 유형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 연구 -학급에서의 발표 상황을 중심으로-

        서현석 ( Hyun Seok Seo ),이주섭 ( Ju Seop Lee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3

        초등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늘 관심과 의문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그 실체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여 왔다. 이 연구에서는 1·2학년 국어 교실의 발표 상황에서 생성된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에서의 발표 상황에서 학습자가 수행한 경험적 내러티브의 평균 발화 시간은 32.13초였으며, 내러티브 당 평균 에피소드는 1.73개이고, 평균 3.57개의 문장과 4.15개의 C-unit을 포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발화시간, 에피소드 수, 문장 수, C-unit 수 등에 대하여 각각 t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각각의 항목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의 차이나, 학년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좀 더 많은 수의 담화를 종적, 횡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지속적으로 살펴본 후 확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말하기·듣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Researchers have not accessed to the core of the spea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even they always have interest and doubt about it. This research is about the aspect focused on personal narrative discourse of learners generated o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Korean class. First of all, at the presentation context in class, the average speaking time of the learner`s personal narrative is 31.13 seconds, the average number of the stories per one narrative is 1.73. It also includes 3.57 sentences and 4.15 C-units average. Secondly, we performed t-verification about speaking time, the number of stories, sentences, and C-units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some difference by sex, and grade. However, it is not found statistically meaningful data on this research. These outcomes could be determined after we analyze more conversatio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keep studying them. Also, there will be needed some efforts to make many contents and instruction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ased on this practical research.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학습 활동에 대한 통시적 고찰

        고아라 ( Ko A-ra ),고상훈 ( Ko Sang-hun ),전제응 ( Jeon Je-eung ),이주섭 ( Lee Ju-seop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쓰기 학습 활동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주요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과 교육과정기별로 교과서 쓰기 학습 활동을 병렬적으로 살펴보고, 쓰기 학습 활동을 통시적으로 분석해 주요 변화의 특징을 탐구하였다. 첫째, 쓰기 학습 활동이 읽기 활동 중심의 쓰기에서 쓰기 활동 중심의 쓰기로 점차 변하였다. 초기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상의 쓰기 학습 활동들은 대부분 글 읽기 활동을 마무리하는 일종의 정리 활동으로 제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쓰기 학습에서의 이해 활동이 쓰기 지식이나 기능을 교사가 직접 전수하는 방식에서 학생들이 직접 탐구하는 방식으로 달라졌다. 셋째, 쓰기의 주체가 개인에서 집단으로 점차 확장되었다. 교육과정 개정이 거듭될수록 소집단 형태의 쓰기 활동이 늘어났다. 넷째, 쓰기 학습 활동이 범교과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쓰기의 범교과적 성격을 반영해 통합적 접근의 쓰기 학습 활동이 포함되기 시작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writing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to reveal the main characteristic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extbook writing learning activities in parallel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riting field. The results of a general analysis of writing learning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changed from writing centered on reading activities to writing centered on writing activities. Most of the writing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early curriculum tended to be presented as a form of organizing activities that concluded the writing activities. Second, activities in writing learning have changed from direct transfer of writing knowledge or functions to exploration. Third, the subjects of writing gradually moved from individual to group. As the curriculum continued, writing activities in the form of convocation increased. Fourth, we confirm that writing learning activities are expanding across the other subject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egins to include writing learning activities of an integrated approach, reflecting the WA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