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完形補文의 統辭와 意味에 대한 考察

        박형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 Vol.46 No.4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syntax and semantics of Korean undeformed NP complement clauses. In Korean there are two types of undeformed NP complement clause constructions which can be restored from ‘da-nun’ to ‘da-go-ha-nun’ or not synchronically. The syntactic structure of undeformed NP complement clause which can be restored from ‘da-nun’ to ‘da-go-ha-nun’ can be understood as the structure of relative clause embedding indirect quotation clause. But ‘nun’ in undeformed NP complement clause which can not be restored from ‘da-nun’ to ‘da-go-ha-nun’ is genitive case marker. Head noun in the undeformed NP complement clause which can be restored from ‘da-nun’ to ‘da-go-ha-nun’ specifies the semantic category of quoted sentence. And furthermore quoted sentence is interpreted as the contents of speech that is quoted. In the other hand the undeformed NP complement clause which can be restored from ‘da-nun’ to ‘da-go-ha-nun’ can be related to head noun variously. This is because ‘nun’ in the undeformed NP complement is genitive case marker. 박형진, 2018. 완형보문의 통사와 의미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180 : 63~89 본고의 목적은 완형보문으로 언급된 구성의 통사와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완형보문 구성 중에는 공시적으로 ‘-다는’을 ‘-다고 하는’으로 환원할 수 있는 구성과 그렇지 않은 구성이 있으므로, 이들을 구분하여 완형보문의 통사와 의미를 살펴본다. ‘-다는’을 ‘-다고 하는’으로 환원할 수 있는 完形補文의 통사 구조는 간접인용절을 내포한 관계절 구성으로 분석할 수 있다. 반면 ‘-다는’을 ‘-다고 하는’으로 환원할 수 없는 완형보문의 ‘는’은 공시적으로 속격 조사의 문법적 지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는’을 ‘-다고 하는’으로 환원할 수 있는 완형보문에서 핵어명사는 인용의 대상이 되는 발화의 의미 범주를 명세화하고, 피인용절은 발화의 내용으로 해석된다. 반면 ‘-다는’을 ‘-다고 하는’으로 환원할 수 없는 완형보문은 후행하는 명사와 다양한 의미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는 완형보문 내의 ‘는’이 속격 조사의 지위를 가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콜하스의 거대함의 건축에 나타난 실존적 의미

        박형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This study examines existential meaning in Rem Koolhaas’ bigness architecture. Koolhaas develops architecture based on complex landscape of contemporary city. And the concept of bigness is a method to accommodate the complex circumstances in contemporary city. This study assumes that there were existential meanings i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of architecture based on the concept of bignes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existential meaning of bigness as architecture concept and existence meaning i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Jussie Library.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Bigness as architecture concept is method that combined urbanism based on Manhattan’s tall buildings with architect’s spacial integration will. So huge internal space by means of bigness concept has existence meanings in itself. Second, Jussie Libray accomodated urban program of a college campus has existence meanings as an whole urban being. That’s because Jussie Library has independent orientation by means of a mass of hexahedron, band of program and integrated volume of inner space. Third, library’s users experience playing existence through traffic line like loss of direction in inner space inserted program of urban scenario, and there are architectural expression such as inner space’s slope, ambigu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boundary by sticking slav. 본 연구는 콜하스의 거대함의 건축에 나타난 실존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콜하스는 현대도시의 유무형적인 복합적 경관을바탕으로 건축을 전개하였으며, 그의 거대함의 개념은 현대 도시의 복합적인 상황을 수용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따라서거대함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건축 내, 외부 공간에는 실존적 의미가 담겨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건축 개념으로서 거대함의 실존적 의미, 거대함의 개념이 적용된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쥬시도서관에 나타난 실존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 개념으로서 거대함은 맨해튼의 마천루에 내재한도시성을 바탕으로 그의 건축 의지, 즉 공간 통합 의지가 결합됨으로써 만들어진 방법론이다. 따라서 콜하스의 거대함의개념을 토대로 형성된 거대한 내부공간은 그 자체로서 실존적 의미를 지닌 것이다. 둘째, 대학 캠퍼스의 도시적 프로그램을 수용한 쥬시도서관은 육면체의 단일 매스, 프로그램의 띠, 통합된 내부공간의 볼륨을 통해 독자적인 정위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완결된 도시적 존재로서 실존적 의미를 지닌다. 셋째, 도서관의 이용객들은 도시적 시나리오에 의해 프로그램이 이식된 실내공간에서 내부공간의 경사로, 맞닿은 상하부 슬라브를 통한 수평, 수직의 경계의 모호함 등의 건축적 장치에 의한 무목적적인 동선을 통해 실존적 경험을 하게 된다.

      • KCI등재

        폴드 건축에 나타난 경관 해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형진,이종석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5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interpretation in contemporary folding architecture. Since the modern age, each different factor in landscape and urban circumstances had a large impact on contemporary architecture. Folding architecture after deconstruction architecture is a relatively new trend that shows characteristics of a pattern, space, and a structure, unlike any we have never seen before, with integrated and united interpretation of inner and outer factors in architecture. Outer factors related folding architecture are broad concepts embracing intangible landscapes such as memories of past, cultural heritages, and urbanism, in addition to physical contexts of areas and topography. This paper identifies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of landscapes centering selected cases and architectural features by the concept of folding, and with those results, the features of landscape interpretation are the following three things. First,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of landscape in the selected architecture are integrated and combined by inner factors like functions and structures, and forms and spatial structures. Second, architects build alterable architectural patterns and spatial structures by considering surrounding landscapes an organism, not an inalterable thing. Last, fold architecture considers modern urbanism a significant intangible factor, and recognizes that programs and events have an impact on the course of building architecture. With the results, those interpretations of urbanism become a driver of mak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landscape and buildings blurred, and making inner space continuous and flexible. 본 연구는 현대의 폴드 건축에 나타난 경관 해석의 특성을 파악한 것이다. 근대 이후의 다양한 경관적 요인과 도시적 상황은 현대 건축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해체주의 건축 이후 등장한 폴드 건축은 건축 외적 요인들과 내적 요인들의 융합적, 일체적 해석을 통해 이전에는 볼 수 없던 형태적, 공간적, 구조적 특성을 보인다. 그런데 여기서 폴드 건축에 관여하는 외적 요인들은 지역적, 지형적인 물리적 경관뿐만 아니라 과거의 기억, 문화적 유산, 도시성 등의 무형성을 포함하는 경관의 광의적인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사례에 나타난 유무형의 경관적 요인을 파악하고 폴드적 개념에 의한 건축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폴드 건축에 나타난 경관 해석의 특성을 다음의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 건축에서 폴드적 개념의 조형성, 공간 구조를 통해 유무형의 경관적 요소들이 기능, 구조 등의 내적 요소들과 융합, 접목되었다. 둘째, 폴드 건축가들은 주변 경관을 고정, 불변의 것이 아닌 유기체와 같이 인식하였고 개념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건축적 형태와 공간구조를 창조하였다. 셋째, 폴드 건축에서는 현대의 도시성을 중요한 무형적 경관요인으로 보았으며, 도시공간에서의 프로그램, 사건, 이벤트 등이 건축 생성과정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 결과 이러한 도시성에 대한 해석은 건축물과 경관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연속적, 유동적인 내부공간의 동인이 되었다.

      • KCI등재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장대터널 내에서의 운전자 특성 연구

        박형진,황경주,신현주,Park, Hyung-Jin,Hwang, Kyung-Joo,Shin, Hyun-Joo 대한인간공학회 2007 대한인간공학회지 Vol.26 No.2

        Generally, it is well known that driving in tunnel imposes large burden to driver because of spatial constraint, limited visual field and so on. And such a burden of driver result in high accident occurrence. In this reason, studies dealing with features of driving and traffic flow in tunnel have been performed. However, information about characteristics of drivers and traffic in a very long tunnel is not accumulat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tunnel length and burden of driver, driving patterns,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using the tunnel simulator that realizing various tunnel situations. For this, the tunnel sim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along 11km-length section. And biological data of 10 subjects gained from driving condition in simulation program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of real driving condition.

      • KCI등재

        이동통신 페이딩 채널에서의 CONCATENATED 코드 시스템

        박형진,정호영,홍대식,강창언 한국통신학회 1993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1

        In this paper, a new digital mobile channel has been modeled. And concatenated code systems have been proposed to transmit information reliably in the newly modeled mobile fading channels. The BCH code has been used as the outer code and the convolutional code as the inner code. We have modeled the channels which have multipath fading phenomena and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s are identical to that of the mobile fading channel. To find the best code system, we have tested (7, 4), (63, 45), (63, 57) and (31.26) BCH codes as an outer code. Results show that the concatenated code with (7, 4) outer code gives the best performance. And if we use the soft decision, we can improve about 2 -6 dB in the SNR

      • KCI등재

        음이항회귀식을 이용한 도로표지의 인지반응시간 추정모형 개발

        박형진,이기영,김정룡,Park, Hyung-Jin,Lee, Ki-Young,Kim, Jung-Young 대한인간공학회 2006 대한인간공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conomical standard of road signs by verifying the difference of driver's recognition and reaction time according to the space rate of letters on the road signs. For this reason, indoor simulations was conducted to confirm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reaction time on six sign-targets having different space rate. Also,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find the main factors which could lower the rate of misreading. For this model, increasing of legibility of sign is not only simple enlargement of sign, but also suitable match of letters and 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apable of verifying the importance of the space rate in road signs, and being utilized as a effective method to determine the standard of the road 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