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불교 연구 동향 분석 -2008~2022년 불교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박종향,김은영,김용태 불교학연구회 2024 불교학연구 Vol.78 No.-

        본 연구는 최근 15년 동안(2008-2022) ‘한국불교’를 주제로 나온 국내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한국불교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그 시의성을 도출하였다. 한국 불교학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인 『한국불교학』, 『불교학보』, 『불교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와 관련된 논문 483편의 초록을 텍스트 마이닝(text-mining) 방식을 사용해 빅데이터로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LDA(잠재 디리클레 할당) 기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결과, ‘불교 사회화와 대중화’, ‘불교 수행과 신앙 전통’, ‘불교학 연구와 방법론’, ‘원효와 한국 불교철학’, ‘선의 역사와 근대의 선승’, ‘동아시아 속의 한국불교’,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사회 복지와 불교적 실천’, ‘불교 교단과 종파의 전개’의 9개 토픽을 추출하였다. 이 토픽들은 한국 불교학의 주요 분야와 주제들을 시대별로 포괄하고 있으며 2000년대부터 꾸준히 게재되는 모습이 확인된다. 시기별로는 특별 기념 학술대회의 개최에 따라 ‘불교학 연구와 방법론’, ‘불교 사회화와 대중화’ 토픽의 논문 수가 급증하기도 했다. 한편 ‘사회 복지와 불교적 실천’과 같은 불교의 사회적 역할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 연구는 코로나 유행 시기인 2020년부터 축소되는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불교의 주제별 연구 동향을 고찰하였고, 향후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 불교학의 미래를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academic papers published on Korean Buddhism over the past 15 years (2008-2022). Topic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on Korean Buddhism and analyze changes over time. The abstracts of 483 papers related to Korean Buddhism were organized and analyzed through a big-data approach, focusing on 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the Korean Journal of Buddhist Studies,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which are representative academic journals in Korea. The following nine topics were extracted through topic modeling based 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1) so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2) Buddhist practice and religious tradition, 3) Buddhist research and methodology, 4) Wonhyo and Korean Buddhist philosophy, 5) history of Seon and modern Seon masters, 6) Korean Buddhism in East Asia, 7) Buddhist thought in Silla and Goryeo, 8) social welfare and Buddhist practice, and 9) the development of Buddhist orders and sects. These topics encompass the major fields and topics of Korean Buddhist studies since 200. The number of papers on Buddhist research and methodology and on the so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creased rapidly as special commemorative conferences were held. In contrast, research on the social role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s exemplified by the topic of social welfare and Buddhist practice, appears to be decreasing since 2021, when the COVID-19 pandemic played a dominant role in social trends. This paper describes trends in academic research in Korean Buddhism, and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will promote shared innovation and the sustainable exploration of perspectives in the future.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개별 맞춤형 학습에 관한 연구동향 : 초중등과 대학 수준 간 비교

        박종향,안화실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personalized & customized learning that considers learner-centered education, individual learner’s needs, learning styles and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university level. Using topic modeling, 732 abstracts published in KCI and other journals until June 2023 were analyzed, resulting in six topics: "institutional aspects of school curriculum," "factors related to ability and level-based instruction," "digital systems and content," "learner and instructional design for diverse groups," "societal demands for desired qualities and competencies," and "development and initiatives for improving/integrating teaching (learning difficulties, disabilities, inclusive classrooms)." Depending on the volume of research, the time periods were divided into three cycles with research on topic 1, "institutional aspects of school curriculum," and topic 5, "competencies required by society," showing an increasing trend. Special education and educational studies were the main focus of research, with keywords related to learning difficulties and special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Commonly, research related to personalized learning using digital systems and content was conducted in a similar volum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acroscopic and microscopic aspects by reflecting the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t the time when educational policies were implemented.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addressing obstacles, issues, and further research in individualized personalized learning.

      • KCI등재

        온라인 공개수업(MOOCs)을 통한 종교교육 현황과 특성

        박종향,김은영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宗敎敎育學硏究 Vol.72 No.-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온라인공개수업(K-MOOC) 중 종교 주제의 강좌들에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온라인 종교교육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징들을 파악하기 위한것이다. [연구 내용] K-MOOC 플랫폼에서 종교 관련 강좌 현황을 수집하여 개설 강좌들의 공통점과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 중 종교학을 주제로 전체 내용을 구성한 2개 강좌를 선정하여 실제로수강하면서 구성요소와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 2022년 12월을 기준으로 종교 관련 강좌는 전체 K-MOOC 강좌 수(1300 여개) 중 43개에 해당하였다. 이 강좌들은 주제에 따라 종교학 일반에 대한 강좌, 특정 종교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강좌, 인문교육[문학, 사학, 철학]으로서의 종교를 활용한 강좌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종교학 분야에 집중한 2개 강좌의 사례 분석 결과, 내용적 측면에서 종교에 대한 지식 습득을 넘어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을 받아들이는 다원적 태도를 함양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적 측면으로는 한 주 내에 이수할 수 있는 학습 분량으로 20분 내외의 비디오 영상들과 퀴즈, 토론, 읽기자료 등으로 강좌가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여타의 K-MOOC 강좌들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종교학 강좌만의 제한점이 아닌K-MOOC 플랫폼의 한계로 간주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온라인 종교교육의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엿볼 수 있었지만, 양질의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MOOCs와 같은 온라인 학습환경을 활용하는 것 이상으로 교수자와 운영진의 노고가 요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호·불호 학교공간 인식에 관한 연구

        박종향,신나민,Park, Jong-Hyang,Shin, Na-Min 한국교육시설학회 2015 敎育施設 Vol.22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spaces by researching their place preferences and the reasons for them. For the purpose, we analyzed students' written statements regarding places they like and dislike at school, which were collected from 836 middle and 1,100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at 4 middle and 4 high schools, respectively. Data were transcribed, encoded, and analyzed so as to be clustered to themes revealing the students' senses of places at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st preferred places had to do with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playground, auditorium, gymnasium etc.,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indoor places such as classrooms; (2) the reasons for like-pla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functions (physical, social, learning, and everyday activities), emotions (belonging, healing, and aesthetic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3)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ed restroom as the place that they disliked most; (4) the reasons for dislike-places included physical conditions, atmosphere, person-related, subject-related, and circumstances such as the happening of violence or punishment. These may provide educators, parents, school architects and administrators with practical considerations needed for making school a better place for students at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인공지능기술과 인공지능교사에 대한 인식 분석 : 초·중·고등학생의 관점에서

        박종향,신나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2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사회 발전의 흐름에서 핵심적인 기술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AI와 교육의 관계 맺기를 탐색하기에 앞서 이 기술과 교사 역할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가상의 AI 교사에 대한 초,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설문을 통해 2016년 5월경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에는 초등학생 337명, 중학생 234명, 고등학생 178명(M=12.9세, SD=2.964)으로부터 얻은 응답이 사용되었다. 연구 문제는 AI, AI와 학습, AI 교사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AI 기술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간에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생들은 AI를 ‘편리한 기술’로, 중·고등학생들은 이 기술이 ‘사용하기에 달려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학습 보조 도구로써의 AI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맞춤형 학습 지원’, ‘구조화된 학습콘텐츠 제공’, ‘친절한 튜터링’의 세 가지 주제로 파악되었다. 셋째, AI 교사가 인간 교사를 대체하는 것에 대해서는 참여 학생의 59.8%가 부정적이었다. AI 교사가 대체 할 수 있는 과목으로는 과학, 수학, 영어, 국어 순으로 나타났고, 상담, 교장, 돌봄, 음악, 체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AI 교사의 이미지로는 ‘인간과 똑같은 모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성별에 대해서는 ‘상관없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AI 교사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 결과, 장점으로는 ‘정보 및 지식전달에 효과적’, ‘학생을 공평무사한 태도로 대우’, ‘재미에 대한 기대’, ‘기계의 편리함’이 꼽혔고, 단점으로는 ‘인간과 같은 감정이 없음’, ‘부적합한 교육영역의 존재’, ‘기계사용의 부작용’이 언급되었다. 연구 결과는 AI 기술의 교육적 활용, 미래 교사의 역할, 교수용 로봇 등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emerged as a critical technology that can lead the so-called fourth industry revolution. I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 and futur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students' perceptions of AI technology and AI playing the role of teachers at school. We used student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administered to 6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area. Research participants are those students enrolled in elementary (337), middle (234) and high schools (178) in May, 2016, whose average age was 12.9 (MD=2.964).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around three themes: students' perceptions of AI, AI and student learning and AI teachers. Both statistical and contents analysis method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s of AI technology: elementary students tended to see AI as a 'convenient technology' while the major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it depends on users'; Second, students' perceptions of AI as a tool for supporting their learning included 'customized learning support', 'provision of structured learning contents', and 'kind tutoring'. Third, 59.8% of the respondent students were against the idea of replacing human teachers with AI teachers; and Science, Mathematics, English, and Korean ranked, in the order, as the subjects that AI teachers could deal with whereas roles or subjects such as 'counseling', 'principal', 'caring',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ranked relatively low. Fourth, as to the appearance of AI teachers, the students liked the 'human-like appearance' most and there was no particular preference about the sex of AI teachers. Fifth, the strengths of AI teachers included 'effectiv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fair attitude towards students', 'anticipation of having some fun', and 'conveniences brought by using machinery' whereas the students saw the weaknesses of AI teachers as 'having no human-like emotions', 'inappropriate for a certain area of education', and 'negative side effects caused by using machiner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issues of the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role of future teachers, and the design of empathic robots for teaching, etc.

      • KCI등재

        한국형 온라인공개 우수강좌(K-MOOC) 분석: 교육적 확장성 도구를 중심으로

        박종향,안화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강좌임에도 불구하고 교수자 및 운영자의 추가적인 시간 투자와 노력에 의존하지 않고 많은 수강생을대상으로 강의가 어떻게 설계⋅운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K-MOOC 우수강좌의 설계 요소와 운영에서 상호작용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사례집(2022)에 공시된 우수강좌 10개를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수강 등록하여 강좌들의 공통적인 설계 요소를 추출하고, 교육적 확장성 도구(ESAI)를 사용하여 상호작용의 양상 및 수준을 분석하였다. 설계 요소에는 강의를 구성하는주차, 영상의 길이 등 물리적 구현 요소를, 학습활동과 관련된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내용-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유형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공통적인 설계요인으로는 10개의 강좌 증 8강좌가 일반적으로 대학기관에서 운영하는 15주차로 구성되었고, 각주차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소주제의 모듈과 유닛으로 구성되었다. 주된 학습활동은 동영상과 퀴즈, 토론, 과제이며 영상의 길이는약 10-30분에 해당된다. 강좌에 따라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내용-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학습활동 양상이 확인되었고 이때 피드백의 수준은 학습자의 활동에 단순 반응하는 정도의 기초적인 수준이었다. 결론 K-MOOC 강좌 구성에서 콘텐츠의 세분화와 다양화된 학습활동, 그리고 콘텐츠-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학습활동의다양한 양상은, 코스가 운영되는 동안에 요구되는 전략이 아닌 운영 이전의 설계단계에서 준비될 요소들이다. 또한 이들 강좌의 설계요소와 상호작용 전략은 일반적인 온라인 강의 전략과는 차이를 보여 향후 K-MOOC에서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전략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호·불호 학교공간 인식에 관한 연구

        박종향(Park, Jong-Hyang),신나민(Shin, Na-Min) 한국교육시설학회 2015 敎育施設 Vol.22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spaces by researching their place preferences and the reasons for them. For the purpose, we analyzed students' written statements regarding places they like and dislike at school, which were collected from 836 middle and 1,100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at 4 middle and 4 high schools, respectively. Data were transcribed, encoded, and analyzed so as to be clustered to themes revealing the students' senses of places at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st preferred places had to do with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playground, auditorium, gymnasium etc.,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indoor places such as classrooms; (2) the reasons for like-pla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functions (physical, social, learning, and everyday activities), emotions (belonging, healing, and aesthetic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3)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ed restroom as the place that they disliked most; (4) the reasons for dislike-places included physical conditions, atmosphere, person-related, subject-related, and circumstances such as the happening of violence or punishment. These may provide educators, parents, school architects and administrators with practical considerations needed for making school a better place for students at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대학에서의 학업실패 예방과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학사경고자의 경험과 어려움 탐색

        박종향(Park Jong hyang),이효정(Lee Hyo jung),이선영(Lee Sun 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대학 내 학업실패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지원체제와 방향을 알아보고자 학사경고자들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A대학 재학생 중 1회 이상의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학사경고 횟수, 전공, 성별, 학년을 고려하여 15명이 최종 참여하여 총 7번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는 연구자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4개의 주제와 12개의 소주제로 정리되었다: 1) 대학생활에 대한 인식과 경험, 2) 학사경고 이유에 대한 인식, 3) 학사경고에 대한 반응과 변화, 4) 학교 지원에 대한 인식과 경험.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은 다른 대학에서 수행되었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요구는 학생상담센터 지원의 유지 및 확대, 전공 관련 학습지원의 구체화, 신입생에 대한 정보 제공 등으로 정리되었다. 특히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생 시기에 경험한 개별적인 학교활동 참여수준은 이후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생의 개별적인 요구에 대한 대학차원의 지원방안이 논의되었다. 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to prevent academic failure as well as to build accountability, and appropriate support systems in higher education. In all, a total of 15 students who had failed to meet the academic requirements at least o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was based on their major, sex, and school year. The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by researchers, and the results include 4 main themes and 12 sub-themes as follows: (1)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university life, (2) students’ perceptions of why they are on academic probation, (3) students’ reactions and changes after academic probation, and (4)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student support services at the university. In addition, participants’ personal traits were also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heir individual needs including counseling services, learning support program based on their academic majors, and information support for first-year students. Lastly, planning and providing individualized support for students in universit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관계 분석

        박종향 ( Jonghyang Park ),신나민 ( Namin Shin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4

        대학 교육의 질적 고양을 위해 교수자들이 새롭게 등장하는 교수법에 관심을 갖고 실제수업 현장에 적용해 보는 실천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을 사례로 대학교수자들이 새로운 교수법을 자신의 수업에 어느 정도 수용하고자 하는지, 그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Rogers의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과 Davis의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4년제 대학 교수자 194명(M=47.86세, SD=8.86, 남자 87.6%)으로부터 얻은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은 교수자의 ‘수업변화의지’, ‘교수효능감’과 ‘조직의 지원’이 플립드러닝의 ‘유용성’과 ‘용이성’에 대한 지각을 매개로 플립드러닝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CFI=.919, TLI=.906, RMSEA=.070). 둘째, 외적변인과 매개변인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수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효능감, 조직의 지원, 유용성이었고 이 가운데 유용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의 지원 및 수업변화의지변인은 유용성을 매개로 수용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드러닝을 비롯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교수-학습 방법이 대학 수업 현장에 확산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variables that affect instructors' intention to apply Flipped Learning(FL) into their pedagogy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Basing o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by Rogers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y Davis,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and tested with the survey data garnered from 196 instructors(Average age=47.86, SD=8.86, Male=87.6%) working in five 4-year universities. The model comprised of three extraneous variables (instructors' willingness to change pedagogy, teaching efficacy, institutional support) and two mediating variables (usefulness and easiness) and the intention to accept FL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via AMO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goodness of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was at the level of acceptance (CFI=.919, TLI=.906, RMSEA=.070). Second, the variables of teaching efficacy, institutional support, and usefulness turned out to have direct impact on the acceptance of FL and, among which, the usefulness variable had the biggest effect size. Third, the variables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willingness to change pedagogy had indirec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mediated by the usefulness variabl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considerations into the diffusion of emerging teaching-learning methods in order to bring about better instructions in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