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분리막 접촉기용 Poly(vinylidene fluoride) 중공사막 제조 및 투과특성

        박유인 ( Park Yu In ),이기섭 ( Lee Gi Seob ),연순화 ( Yeon Sun Hwa ),서봉국 ( Seo Bong Gug ),임지원 ( Im Ji Won ),이규호 ( Lee Gyu Ho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6

        상전이 공정을 이용하여 분리막 접촉기용 비대칭 다공성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dimethylacetamide (DMAc)를 사용하였으며 기공 형성제로는 LiCl를 사용하였다. 또한 중공사막 제조시 내부 응고제로는 물, 에탄올/물 및 DMAc/물 혼합액 등을 사용하였으며 외부 응고제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상전이 과정에서 기공 형성제 및 내부 응고제(비용매)가 막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제조된 PVDF 중공사막의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기공크기와 유효표면 기공율은 기체 측정법(Gas Perme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이 중 스킨의 비대칭구조로서 0.02~0.04 ㎛ 범위의 기공크기를 갖는 PVDF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PVDF 중공사막에 대해 물리적 흡수제로 물을 사용하여 기체 및 흡수제의 유속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분리효율을 알아보았다. 현재 분리막 접촉기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대칭 다공성 구조의 Polypropylene(PP) 중공사막과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비대칭 다공성 PVDF 중공사막에 대해 이산화탄소 분리효율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비대칭 다공성 PVDF중공사막 접촉기가 단위 표면적당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효율을 나타내었다. Asymmetric porous polyvinylidene fluoride(PVDF) hollow fiber membranes for membrane contactor were prepared by a wet phase inversion method. In spinning these PVDF hollow fibers. dimethylacetamide (DMAc) and LiCl were used as a solvent and a pore-forming additive. respectively. Pure water, water/ethanol or water/DMAc mixture was used as an internal coagulant, while water was an external coagula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ase inversion process were studi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VDF membrane, expecinlly the effect of pore-forming additive and internal coagulants (non-solvent) addition on the membrane structure. The cross- sectional structure of the prepared PVDF hollow fiber membranes was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Average pore size and effective surface porosity were determined using the gas permeation method. The pore size the prepared asymmetric PVDF hollow fiber membrane was in the ragne of 0.02-0.04 μm. The carbon dioxide separation performances with the change of flow rates of absorbent and mixed gas were studied, using the PVDF hollow fiber membrane water as a physical absorbent. The performances of the asymmetric porous WDF hollow fiber membrane and a symmetric commercialized one made from PP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asymmetric porous PVDF hollow fiber membrane showed higher separation efficiency of CO_(2) per unit surface areas than the symmetric porous PP hollow fiber membrane.

      • SCOPUSKCI등재

        소아 급성 충수돌기염 진단에 지연을 일으키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명기,김경수,박유인,김정호,이정주,김봉성,강혜영,Han, Myung-Ki,Kim, Kyoung-Soo,Park, Yu-In,Kim, Jeong-Ho,Lee, Jung-Joo,Kim, Bong-Seong,Kang, Hye-Yo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2

        목 적: 급성 충수돌기염은 소아 환자에게 가장 흔한 외과적인 응급질환이며 최근의 그 발생 빈도가 감소된다는 보고에도 붙구하고 급성 충수돌기염의 천공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호전되고 있지 않고 있다. 소아 환아에서는 과거력과 진찰 소견이 매우 다양하고 비전형적인 경우가 흔해 급성 충수돌기염의 진단은 자주 지연될 수 있고 천공과 복막염, 복강 내 농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임상 경과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저자들은 후향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진단 지연의 발생과 진단 지연을 초래한 요인, 진단 지연이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6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강릉 아산병원에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되어 급성 충수돌기 제거술을 시행 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으며, 통상 증상을 호소한지 48시간 이상 경과되어 진단이 이루어진 경우를 진단 지연이라고 하고, 48시간 이내 진단이 이루어진 군,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 조사를 하였다. 대상 환아에 대해서 나이, 성별, 진단까지의 시간, 초기 증상, 최초 환자를 검진한 의사의 진료분야, 입원경로, 최초 진단명, 방사선 검사의 효용성, 합병증 유무, 입원 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는 설사 증상과 복부 X선 검사 상 분변 박힘 (fecalith impaction) 의 존재 여부가 진단 지연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처음 접한 의료진에 의해 집에 귀가하여 관찰한 소아에게서 진단 지연이 많았다. 진단 지연군의 절반이상에서, 초기 진단은 급성 충수돌기염이 아닌 위장관염이었다. 진단 지연군에서의 천공률은 87%로 그렇지 않은 군의 22%보다 높았다. 또한 진단지연군에서 더 많은 수술 합병증 발생과 입원 기간을 보였다. 결 론: 비특이적인 증상을 동반하며 복통을 호소하는 소아과 환자를 위장관염, 감기 등 흔한 질환으로 간단히 진단해선 안되며, 급성 충수돌기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세한 병력 청취와 철저한 진찰을 시행하여 급성 충수돌기염의 조기 진단에 노력을 해야 하며, 진단이 부정확한 경우 입원을 권고하고, 조기에 외과적인 의뢰를 시행함과 더불어 복부 초음파 검사, 귀가 후 추적 진찰을 조기에 함으로써 진단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고 하겠다. Purpose: We designed this retrospective study to establish the incidence of diagnosic delay in children diagnosed with acute appendicitis and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with delayed diagnosis and its impact on the clinical course. Methods: All cases of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ho underwent appendectomy from 1996 to 2001 at Gangneung Asan Hospital were reviewed. We reviewed signs and symptoms, type of health professional first contacted, the advice given by the health professional and a history of appendicitis in first degree relatives. Diagnostic period is the time elapsed between first complaints and definitive diagnosis. Delay was defined as diagnostic period exceeded the 48 hours. Postoperative course and complications were also reviewed. Results: Incidence of diagnostic delay differed by whether diarrhea and fecalith on X-ray were present. Also children whose parents were advised to observe them at home were more likely to have a diagnostic delay. In almost half of the cases in delayed group, initial diagnosis was not acute appendicitis but gastroenteritis. The perforation rate in non-delayed group was 22%, whereas 87% in delayed group. The delayed group showed a higher number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a longer hospitalization period. Conclusions: Diarrhea with abdominal pain and fever in children should not be dismissed as gastroenteritis, respiratory infections or other common disorders. Our study suggests that physicians have a responsibility to prevent diagnostic delay and resultant perforation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by having a high index of suspicion about acute appendicitis.

      • SCOPUSKCI등재

        순환식 중공사막 접촉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분리 특성

        전대규 ( Jeon Dae Gyu ),박유인 ( Park Yu In ),이규호 ( Lee Gyu Ho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6

        흡수제가 흡수모듈과 탈착모듈을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순환식 중공사막 접촉기 시스템에서 다양한 운전변수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분리효율을 고찰하였다. 혼합기체로는 이산화탄소/질소 혼합기체를 사용하였으며 흡수제로는 화학적 흡수제인 탄산칼륨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흡수모듈을 이용한 흡수 실험의 경우 흡수제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투과속도와 제거율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혼합기체의 유속이 증가할 경우 투과속도는 증가하는 반면 제거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순환식 중공사막 접촉기 시스템의 경우 흡수실험의 결과와는 달리 흡수제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투과속도와 제거율이 증가하다 일정유속 이상부터는 탈기모듈에서의 체류시간 감소에 따른 불완전 탈기로 인해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순환식 중공사막 접촉기 시스템의 분리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조건들을 고찰할 수 있었다. Using a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in which absorbent was circulating through the absorption and desorption modules,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carbon dioxide was investigated with the change of various experimental factors. Feed gas and chemical absorbent used in the study were CO₂/N₂mixture and K₂CO₃ aqueous solution, respectively. For the absorption experiment using an absorption module, permeation rate and removal efficiency of CO₂ increased with flow rate of absorbent. However, the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while permeation rate increased with flow rate of feed gas. For the circulatory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CHFMC), both the pemeation rate and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flow rate of absorbent to certain level, but beyond that, they decreased. This kind of resul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case of absorption experiment and it is due to the insufficient desorption of the CO₂ caused by the rather short staying time of the solution in the desorption module.

      • KCI등재후보

        태아 알코홀 증후군 1례

        김정호(Jeong Ho Kim),한명기(Myoung Ki Han),김정임(Jeong Lim Kim),박유인(Yu In Park),이정주(Jung Joo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저자들은 발육부진과 사지의 긴장으로 내원한 8개월된 남아에서 태아 알코홀 증후군을 진단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teratogenic effects of alcohol have been recognized in fetal alcohol syndrome (FAS). FAS is a collection of signs and symptoms seen in some children exposed to alcohol in the prenatal period. An 8 month-old-male with an alcoholic mother was diagnosed as a case of FAS according to the following : 1) early-onset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persistent postnatal growth failure 2) psychomotor retardation 3) craniofacial dysmorphism. Early diagnosis and continued education are advantageous at all levels, benefiting both the individual and all of society. We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 SCOPUSKCI등재

        막 접촉기-탈거탑 복합 공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회수

        연순화,서봉국,박유인,이규호 한국화학공학회 200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9 No.6

        중공사막 접촉기를 기존의 흡수장치에 흡수기로 도입하여 구축한 hybrid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분리·회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리효율이 우수한 중공사막 접촉기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적 특성을 가지는 PVDF, PTFE 및 PP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혼합 기체 및 흡수제 유량 등의 운전조건에 따른 이산화탄소 제거효율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공사막 접촉기가 기존의 충진 흡수탑에 비해 큰 기-액간의 접촉면적으로 인해 분리효율이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PVDF 중공사 막이 안정된 기-액간의 계면을 유지함으로서 다른 중공사막에 비해 우수한 분리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흡수제의 종류(H_2O, K_2CO_3, MEA)에 따른 흡수성능을 조사하고, CO_2-MEA계에서 각 중공사막에 대한 물질전달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산화탄소 분리효율, 경제성, 물질전달 특성 등을 고려하면, MEA를 흡수제로 사용한 경우, PVDF 중공사막이 막 접촉기로서 가장 적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Membrane contactor-stripper hybrid process was used to recover CO_2 from the flue gas. Porous PTFE, PVDF, PP hollow fiber modules were used as the membrane contactor. The CO_2 was removed by the porous polymeric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using H_2O, K_2CO_3 or monoethanolamine(MEA) solution as the absorbent. Then, the CO_2 was recovered from the absorbent by the thermal stripping tower with steam. The membrane contactor increased the gas-liquid contactor area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 and thus the hybrid process showed a higher CO_2 removal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absorption tower. PVDF module with smaller pore size showed the most stable gas-liquid interface an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among the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modules. g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