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 영양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지식

        박경애(Park Kyoung Ae),이지현(Lee Jee 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가 영양에 관한 어린이집 교사의 지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영양지식이 교사의 연령, 교육수준, 경력, 영양교육 경험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전국의 어린이집에서 표집된 53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질문지를 배포하여 그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양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지식은 일반 적으로 빈약하였으며, 특히 어린이집 교사들에게 필수적인 영유아기의 영양지식은 심각하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영양지식 수준은 교사들의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 때. 그리고 영양교육의 경험이 있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child car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nutrition and the differences in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in terms of the teachers' ages, educational levels, careers, and experiences of nutrition education. Five hundred thirty day care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hild care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was generally poor. Knowledge about the nutrition for young children of infancy, toddlerhood, and early childhood, which was considered as essential for the child care teachers, was especially poor; (2) The level of child care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was generally higher when the teachers were older,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 KCI등재

        비대면 수업으로 행한 교양일본어 수업 실천보고 - 학습흥미와 학습효과를 올리기 위한 시도 -

        朴京愛 ( Park Kyoung-a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4

        본고에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만으로 행해야 하는 환경에서 학생들이 학습 흥미를 잃지 않고 학습효과를 올리기 위한 수업설계를 하고 그 결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학습효과를 올리기 위한 시도로는 단어와 회화 문장에 악센트나 억양표시, 시각적 효과를 살린 PPT 활용, 회화 본문을 듣고 읽은 후 하는 역할놀이, 과제와 퀴즈, 피드백을 충실히 하도록 하였다. 학습흥미를 위한 시도로는 학습목표와 관련된 동영상을 올려 각 과에서 나온 어휘나 문법을 드라마나 애니메이션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고 일본지형이나 일본문화도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두 가지 시도에 대한 사전강의평가 설문조사 결과, 수업내용이나, 수업방법, 교재와 자료, 과제와 수업활동,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가 대부분 80%를 넘었기 때문에 중간고사 이후에도 그대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기말고사 실시 이후의 강의평가에서도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특히 과제로 나간 문형연습에 대해서는 100%의 학생이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고, 89.74%의 학생이 이후에도 일본어를 공부하고 싶다는 학습의욕을 보여주었다. 반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동영상 내용의 제시 방법이나 회화 연습 부분이었다. 이 부분에 대한 개선을 향후 과제로 삼고자 한다. 본고를 통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통해서도 학습자들의 학습흥미와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고, 학습의욕도 고취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In an environment where only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re required, this study tried to design a class to enhance learning effects without making students lose interest in learning and to verify the result through a survey.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the class employed such tools as marking accent or intonation in words and conversational sentences, use of PPT utilizing visual effects, role-playing after listening to and reading conversational texts, assignments, quizzes, and faithful feedback. As an attempt to increase the learning interest, videos related to learning objectives were uploaded for learners to check the vocabulary and grammar from each lesson through dramas and animations and to expose them to Japanese topography and culture. On these two attempts, the pre-class evaluation survey resul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ass content, teaching methods, textbooks and materials, assignments and class activities, and feedback exceeded 80% in most cases, so these attempts were continued even after the midterm exam.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in the class evaluation after the final exam. In particular, 100% of the learners answered that the sentence pattern drill given as an assignment was helpful and 89.74% of them showed their desire to continue Japanese study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e area that needs some improvement was the method of presenting video contents and of practicing conversation. I would like to make the improvement in this area as a future task.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learning interest and effect can be achieved and the learning motivation can be raised even through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之思う」의 사용실태와 그 특징-일본어모어화자의 비교를 통해

        박경애 ( Kyoung Ae Par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0

        일본어 ‘思う’와 한국어 ‘생각하다’는 본동사로 사용될 때 통어적, 의미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일본어 ‘思う’에는 한국어 ‘생각하다’와는 다른 서법(モ-ダル)용법이 있다(李鳳 2009 등).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と思う’ 의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학습자는 주관적 인식용법 의견평가를 가장 먼저 습득하고 있고, 초급에서 최상급에 이르기까지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불확실인식용법의 단정회피나 수행보고용법은 습득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일본어모어화자의 경우 주관적인식용법 의견평가, 희망결의용법, 주관적인식용법 개연성판단 순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학습자와 모어화자를 비교해보면, 모두 주관적인식용법 의견평가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모어화자에 비해 학습자의 사용률이 더 높았으며 사용하는 ‘と思う’의 의미용법 중 희망결의용법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볼 수 있었다. There are syntactic and semantic similarities between Japanese “‘思う” and Korean “생각하다” when they are main verb in the sentence. However, Japanese “‘思う” has a modal usage which differs from Korean “생각하다”.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of Japanese-learning Korean learners`` usage, it is shown that learners acquired opinion assessment of subjective cognition usage for the first time and made the most frequent use of if from beginning level to the most advanced level. It is alsoconfirmed that conclusion evasion of uncertain cognition usage was hard to acquire. On the other hand, Japanese native speakers made frequent use in the order of opinion assessment of subjective cognition usage, hope resolution usage, probability decision of subjective cognition usage. Comparing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they both used opinion assessment of subjective cognition usage the most but learners made more frequent use of it than native speakers. The bigges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hope resolution usage out of semantic usage of “と思う”

      • KCI등재

        사고동사 「と思う」「と考える」의 사용실태 -일본어 모어화자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쓴 의견문에서의 용례를 중심으로-

        박경애 ( Park Kyoung-a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6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7

        본고에서는 일본어 모어화자와 한국인 학습자가 동일한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쓴 의견문에서 문말표현「と思う」와 「と考える」를 어떻게 운영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모어화자와 학습자는「と思う」를 종래의 연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신의 주관적 의견이나 판단을 서술할 때 사용하고 있으며, 단정을 할 수 없을 경우에는 「私は」를 부가하여 개인적 견해라는 것을 강조하며 사용하고 있다. 차이점은 모어화자는 「と思う」의 선행부분에 가능, 자발, 수동 등의 형태에 접속하여 사용하거나, 「と思う」를 「ように思える」「ように思われる」등으로 활용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해 학습자는 주로「と思う」형태를 사용한다. 한편, 학습자의 작문에서는 「と思う」의 과용이 보인다. 「と思う」를 과용하는 원인으로는 구어체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이 추상적, 감정적, 주관적이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と考える」는 학습자의 경우 거의 사용하지 못하였다. 모어화자의 경우, 객관적, 논리적인 글을 전개할 때 즉, 소논문(논술)형식을 취할 때나 「である」체를 사용할 때, 내용이 논증적· 과정적일때, 문장체 어휘를 사용할 경우에는 「と考える」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일본어 학습자가 중·상급의 레벨이 되면 「と思う」의 형태적 사용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と思う」를 과용하면 문장이 유치하게 느껴지고 전체적으로 글쓴이의 생각이 정리되지 않았다는 느낌이 든다. 따라서 학습자가 「と思う」를 과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어체, 문장체의 사용구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studied how Japanese native speaker and Korean learners used the expression of ending words 「to omou」,「to kangaeru」 about same subject at the their own opinion statements. As a result, Japanese native speaker and Korean learners use 「to omou」 when describing subjective view and decision, as mentioned in the existing study. In case of failing to decide, they add 「watasi ha(私は)」 to emphasize it as a personal opinion. The difference is Japanese native speaker used 「to omou」, following the form of possible form, the passive, self-active or switched 「to omou」 into 「youni omoeru (ように思える)」「youni omowareru (ように思 われる)」. On the other hand, Korean learnerss mostly use the form 「to omou」. Meanwhile, overuse of 「to omou」 is shown at the learnerss writing. The cause seems that either colloquial words is used or the content is abstract, emotional, subjective. Korean learnerss barely used the 「to kangaeru」. It has shown that Japanese native speaker used 「to kangaeru」when writing objective, logical text such as essay form, 「de aru(である)」 form, demonstrative and process content, use of sentence-formed vocabulary. The problem of use of 「to omou 」form does not occur when Korean learners became intermediate level. However, overuse of 「to omou」is regarded that sentence and writer`s thought is not organized. Thus,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distinction of colloquial, literary style for learners not to overuse of 「と思う」.

      • KCI등재

        심포지엄 : 일본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일본, 일본인, 일본어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박경애 ( Kyoung Ae Park ),오현정 ( Hyun Jung Oh ),脇山尙子 ( Wakiyama Naoko ),高木千鶴 ( Takahi Chizuru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4 No.1

        本稿では韓國の大學で日本語を專攻している學習者(以下專攻生)之、敎養之して履修している學習者(以下履修生)を對象に、日本·日本人·日本語に對する認識を調査し、考察を行った。その結果、學習動機においては「日本語が好きで勉强する」之いう內發的動機が最も高く、最終學習目標之しては、專攻生の場合「ネ一ティブスピ一カ一のレベ兒になるまで」が、履修生の場合「旅行の時に困らない程度」が最も多かった。日本に對する認識は專攻生之履修生之もに經齊的な觀點や國際化之關連し、「先進性」を高く評价していたが、「今後アジアのリ一ダ一之しての役割」については低い評价が多かった。日本人に?しては「秩序をよく守る」之いう肯定的な評价以外に「二重性がある」之いう否定的なイメ?ジも持っていた。また專攻生之履修生共に「日本人の友達がほしい」之いう項目が?著に高く、日本人に?する「親和性」が高く現れた。日本語學習においては、「好きで勉强しており、今後も勉强を?けて行きたい」之いう認識が高かったが、英語や中國語の存在を無視するこ之ができない狀況も伺うこ之ができた。本稿での考察は現在、韓國大學で日本語を勉?している學習者の學習動機之日本·日本人·日本語に對する認識を調べたものであり、本稿での結果をも之に、今後日本語敎育において學習目標に沿った學習方法や敎授法の開發が必要である之思われる。

      • KCI등재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의사소통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이윤경(Yun Kyoung Lee), 박경애(Kyung A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이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해 봄으로써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관계기술의 발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COVID-19의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교육기관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초등학교 입학 후 자녀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서울시 N구 소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총 3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이었다. 실험대상 유아에게는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을 9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누리 교육과정의 자유선택 놀이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이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 관계기술에 유의한 효과를 주었다. 이는 유아의 공감적의사소통 능력이 높아질수록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 관계기술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 사회적 환경에서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정확히 인식하여 적절하게 조절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유아가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였을 때 공감적으로 의사소통하는 정저적 교류가 정서성에 효과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래 관계기술이 발달 된 유아는 효과적인 공감적 의사소통을 발휘하여 상호협력적 놀이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COVID-19 시기 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발달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유아들에게 친 사회적 기술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에서 유의미한 연구였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의 가치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an empathic communication program using play affect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as perceived by teachers,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ment program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30 children who are five years old, 1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the subjects were attending a kindergarten in N-gu, Seoul, and their parents expressed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in a situation where they could not use educational institutions due to social distancing measures due to COVID-19. For the young children subjected to the experiment, the empathic communication program using play was implemented 9 times; for the young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free choice play in the NURI Curriculum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SPSS 21.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empathic communication program using pla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perceived by teachers.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empathic communic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higher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young children have the ability to accurately recognize their own emotions through empathetic communication using play in a soci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ontrol and utilize them appropriately. Also, it can be identified that emotional exchange, which refers to children empathetically communicating when they express negative emotions, is effective in emotionality, and children with developed peer relationship skills demonstrate effective empathetic communication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which indicates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mutually-cooperative play.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research in that, despite the period of COVID-19, the study showed that pro-social skills are helpful to preschoolers about to enter elementary school based on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ality, and peer relationship skill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value of empathetic communication programs using play.

      • KCI등재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변유경(Byun, You Kyoung),박경애(Park, kyung 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과학중점학교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 논문 총 31편(학위논문 17편, 학술지논문 14편)을 대상으로 연도, 유형(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주제(과학중점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비교과 체험활동, 정의적 영역, 과학 교과, 수학 교과, 과학교사, 진로, 시설과 환경), 그리고 연구 방법(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는 2010년 학술지논문을 시작으로 해마다 약 3.4편 이상 꾸준히 발표되었다. 주제별로 살펴보면, 과학중점교육과정의 편성·운영 11편(27.5%), 정의적 영역 7편(17.5%), 비교과 체험활동 5편(12.5%), 과학 교과 5편(12.5%), 수학 교과 4편(10.0%), 과학 담당교사 4편(10.0%), 진로 3편(7.5%), 시설과 환경 1편(2.5%)으로 과학중점교육과정 운영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이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17편(54.8%)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문헌연구와 양적연구에 기반한 혼합연구도 자주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 운영의 중요성과 발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향후, 과학중점학교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ience core school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m.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key words related to science core school from September 2018 to January 2019. 31 research theses (17 dissertations, 14 academic journals) on domestic science core school from 2010 to 2018, were analyzed by year, type (thesis, journal), them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cience-focused curriculum, extra-curricula hands-on experience activity, affective domain, science curriculum, mathematics curriculum, career course,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re than 3.4 research papers on science core school have been published steadily annually since the journals in 2010. In terms of the themes,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cience-focused curriculum” is the most commonly used theme: it has been used in 11(27.5%) research papers; affective domain in 7(17.5%); extra-curricula hands-on experience activity and science curriculum in 5(12.5%) respectively; mathematics curriculum and four science teachers in 4(10.0%) respectively; career course in 3(7.5%);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1(2.5%). Regarding to research methods, this study found that quantitative research is widely used in 17 papers (54.8%) and mixed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study and quantitative research is frequently used. This study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that it allows u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and development of science core school and to utilize it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science core school in the future.

      • 알레르기 비염 환아에서 유도객담 호산구와 최대호기속도의 변화

        강임주(Yim Joo Kang),박경애(Kyoung Ae Park),김성은(Sung Eun Kim),도성숙(Sung Suk Do),정승희(Seung Hee Jung),송도영(Do Young So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0 No.2

        목 적 : 알레르기 비염 환아의 상당수에서 기관지천식이 동반되고, 많은 경우 비염은 기관지천식에 선행되어 나타난다. 저자들은 알레르기 비염 환아에서 메타콜린에 의한 기도과민성의 정도에 따른 최대호기속도(Peak expiratory flow rate; 이하 PEFR)의 변화, 유도객담 호산구수, 비점막 호산구수를 비교하여 알레르기 비염 환아에서 기관지의 염증 변화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파티마 병원 소아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한 환아 중 천식 증상의 과거력 없이 알레르기 비염 증상만을 가진 환아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콜린 흡입에 의한 기도과민성 검사 상 PC2O가 10 ㎎/mL 이하였던 군과 {AR-Mch(+)군; 19명)과, 10 ㎎/mL 이상이었던 군(AR-Mch(-)군; 18명)으로 구분하여 유도객담 호산구수, PEFR의 일과성 변화 그리고 비점막 호산구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또한 비염 증상 없이 천식 증상만을 가진 천식군(=19명)을 대조군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1) 메타콜린 흡입에 의한 PC_20는 AR-Mch(+)군이 5.7±3.5 ㎎/mL, 천식군이 1.9±2.7 ㎎/mL로 나타났다. 2) 유도객담 호산구수는 AR-Mch(+)군이 14.0±6.9%, AR-Mch(-)군이 8.1±5.2%, 천식군이 29.6±16.9%로 AR-Mch(+)군에서 AR-Mch(-)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PEFR의 일과성 변화는 AR-Mch(+)군이 7.0±2.6%, AR-Mch(-)군이 5.0±2.9% 그리고 천식군에서 14.0±6.0%로 AR-Mch(+)군에서 AR-Mch(-)군에 비해 좀더 높게 나타났다. 4) 베타콜린 흡입에 의한 PC_20과 PEFR의 일과성 변화는 AR-Mch(+)군과 천식군에서 공히 상관관계가 없었다. 5) 베타콜린 흡입에 의한 PC_20과 유도객담 호산구수는 천식군에서만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비점막 호산구수와 유도객담 호산구수는 양군에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천식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알레르기 비염 환아 중 메타콜린에 의한 기도과민성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 호산구에 의한 기관지 염증 및 PEFR의 일과성 변화의 증가가 가능하나 그러나 이들의 상당수가 천식으로 진행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rhinitis and asthma commonly occur together, and that a temporary relationship between the onset of rhinitis and asthma with rhinitis frequently preceding the development of asthma. We studied to know whether there were asthmatic airway inflammations in subjects with allergic rhinitis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o methacholine who had no asthma symptoms. Methods : Thirty seven children with an allergic rhinitis who visited the pediatric allergy clinic from January 1998 through June 1999 were enrolled. They were group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irway responsiveness to methacholine, and 19 bronchial asthma patients with had no asthma attacks for 2 months were compared as control group.; AR-Mch(+) group(n=19) had a PC20-Methacholine lower than 10 ㎎/mL : AR-Mch(-) group(n=18) had a PC20-Metacholine greater than 10 ㎎/mL. The relationship of PEFR variability, sputum eosinophils, and nasal eosinophils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o methacholine in each groups was compared. Results : 1) The PC20-Methacholine was 5.7±3.5 ㎎/mL in the AR-Mch(+) Group, 1.9 2.7 ㎎/mL in the BA Group. 2) Sputum eosinophil was 14±6.9% in the AR-Mch(+) Group, 8.1±5.2% in the AR-Mch(-) Group, 29.6±16.9% in the BA Group, and sputum eosinophils of the AR-Mch(+)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R-Mch(-) Group. 3) PEFR dinural variation was 7.0±2.6% in the AR-Mch(+) Group, 5.0±2.9% in the AR-Mch(-) Group, 14.0±6.0% in the BA Group, and PEFR dinural variation in AR-Mch (+)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R-Mch(-) Group. 4) The PC20-Methacholine was not correlated with PEFR dinural variation in both the AR-Mch(+) Group and the BA Group. 5) The PC20-Methacholine was correlated with sputum eosinophils only in the BA Group. 6) Nasal eosinophils were not correlated with sputum eosinophils in the AR-Mch (+) and the BA Group.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who ha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o methacholine might have eosinophilic inflammation in the lower airway and increased dinural PEF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asthma symptoms will be developed in these allergic rhinitis childr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