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히라츠카 라이초(平塚らいてう)의 섹슈얼리티 담론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문소정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1

        This research traces the root and background of a discourse that conflates “comfort women” with sex workers and/ or Japanese Prostitutes(醜業婦,fallen women) back to the history of Japanese women's movement. Drawing from The Complete Works of Hiratsuka Raicho,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ase of maternal feminism and related discourses of sexuality which was founded by Hiratsuka, a symbolic and representative figure of Japanese women’s movement.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discourse of sexuality which was constructed by Hiratsuka’s maternal feminism entailed discursive suturing of internally contradictory values. To put it in other terms, though Hiratsuka did not acknowledge human rights for sex workers, she at the same time retained moralistic paradigm that perceived sex workers as ‘trouble makers’. In so doing, Hiratsuka also put sex workers back into the stigmatized cateory of ‘fallen women’. The basic assumption that underlies Hiratsuka’s understanding of sex workers was that they were ‘the enemy of maternity, a venereal disease’, those who spoiled maternity and family. Accordingly, Hiratsuka highlighted the tragic calamity that a series of wars and venereal diseases inflicted upon maternity, family, children and race. This also led Hiratsuka to practically undo the difference between ‘comfort women’ who were from the Japanese occupied colonies and other Asian countries, those who were forced into this position, and other sex workers who worked in the Japanese state-regulated-brothel. Hiratsuka’s maternal feminism and her understanding of prostitution has resonated to the Japanese women’s movement of the 1990s and after,as it has been divided over the issue of ‘comfort women’. While some assumed progressive stance and others took conservative-right-wing position, the rest simply remained silent.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히라쓰카 라이초의 모성주의 변용에 관한 연구

        문소정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6

        Hiratsuka Raicho, the well-known new woman in modern Japan, constructed maternalism through ‘the debate on maternity protection’ in the Daisho period. Since then Hiratsuka's maternalism asserting rights of women and maternity protection toward the state was practiced. But the Second Sino-Japanese War lasted in the late 1930s, the contents and assertions of Hiratsuka's maternalism had been altered. Particularly,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 of Hiratsuka's maternalism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of the late 1930s. Because her maternalism of the late 1930s had important meanings which were distinguished from Hiratsuka's maternalism composed through ‘the debate on maternity protection’ in Daisho period. As a result of research, Hiratsuka's maternalism was fused into the discourse of militaristic mother, that is Chong Hoo Buin(hereafter women in the rear guard). Therefore the contents and assertions of Hiratsuka's maternalism had been transformed. First, her maternalism was very emphatic on mothering education of women in the rear guard to beautify Japanese invasion of China. Second, Hiratsuka who emphasized the state's guarantee of maternity proposed many plans for the maternity protection of women in the rear guard. Especially Hiratsuka highlighted the tragic calamity that wars and venereal diseases inflicted upon maternity, family, children and ethic Japanese people. This also led Hiratsuka to demand the programs of venereal disease prevention for Japanese mothers. Besides, as men joined the army i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of the late 1930s more and more women entered the workforce in this period. Hiratsuka stressed the maternity protection along with special protection of women's labor. Especially Hiratsuka's maternalism connected this maternity protection with national hygienics which was emphasized by the militarism of the emperor system of Japan in this period. Third, Hiratsuka's maternalism which declared progressive women's movement in 1920 was altered to set up an alliance with the activities of militaristic state-inspired women's organizations that were made for the mobilization of women under the war system in the late 1930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식민지시기 도시가족과 여성의 현실에 관한 연구 ― 京城府(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

        문소정 서울역사편찬원 2007 서울과 역사 Vol.- No.70

        본 연구는 1920〜30년대 경성부 조선인의 가족과 여성의 현실 중에서 동거가족의 크기와 구성, 가족구성의 맥락 및 가족 속 여성의 생활과 경험의 특성과 변화에 주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민지시기 경성부 조선인의 가족과 여성의 현실은 중상층, 빈민층 그리고 신여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성은 식민지적 변화가 계층, 성별, 교육, 지역에 따라 차이 있게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식민지시기 경성부 조선인의 동거가족의 크기에 편차가 있었다. 그리고 동거가족 형태에도 계층별로 차이가 있었다. 예컨대 중상층에 속하는 집단에서는 3세대 부계직계가족 및 기타확대가족, 그리고 이러한 가족제도에서 가족주기상 나타나는 부계직계 가족규범을 바탕으로 핵가족이 주로 나타나고 있었다. 상층에서는 부계직계 가족제도를 바탕으로 한 기타확대가족이 일반적이며, 이것을 근간으로 여기에 부계직계의 경계를 초월하여 처계, 사위, 외손 등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하층인 빈민층에서는 동거가족의 크기가 중상층보다 작았고, 동거가족의 형태는 부계직계 가족이거나 핵가족이 많이 나타났다. 신여성의 경우, 시부모와 핵가족 구성원 그리고 침모, 식모, 아이보는 아이 등 가사고용인 중심으로 동거가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들의 계층이 중상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외에 다른 부계의 혈연구성원을 가족구성원으로 거의 갖지 않았다는 것은 중상층, 빈민층의 가족구성과 다른 점이다. 신여성의 일부는 시부모와 동거하지 않고 핵가족 구성원과 가사고용인으로 이루어지는 가족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신여성은 부계직계가족이나 부계직계 가족규범을 바탕으로 한 부계직계 가족제도에서 나타나는 핵가족과 핵가족적 규범과 부계직계 가족제도와 타협되어 혼종적으로 구성된 핵가족적 소가족, 핵가족적 규범을 바탕으로 한 핵가족적 소가족을 이루었다. 둘째, 경성부 조선인 여성의 생활과 경험은 가족의 계층적 지위를 매개하여 식민지시기 일어난 여성생활공간의 재구조화와 맞물려 차이 있게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차이성이 중상층과 하층 및 빈민층의 경계를 따라서 극명하게 대조되었다. 우선 경성부에서 중상층 가족의 미혼여성은 중등 정도나 그 이상의 교육기회를 가졌다. 이들의 규모는 1930년 1,924명 정도 되며 경성부 조선인 여성 15~19세 연령층의 12.24%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기회를 통해 획득한 신지식에 기반하여 이들 중 일부는 중등학력으로 취업할 수 있는 직종을 가졌고, 일부는 여고보 이상의 학력을 통해 결혼 후에도 공무자유업종의 직업을 가졌다. 이들이 경성부 조선인 여성의 임노동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78% 정도였다. 반면 하층 빈민층 가족의 여성은 식민지시기 여성의 생활공간으로 첨가된 임노동공간에 들어갔다. 경성부 조선인 여성의 임노동공간에서 이들은 가사사용인, 상업적 하급 서비스직종, 공장노동 등 다양한 형태의 노동에 종사하면서 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성부 조선인 여성 유업자 비율이 12.6%로 낮았던 현실, 빈민층의 경우 남성 1명만으로 생계가 안정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가족경제 사정에서 이들은 경제적 필요를 충족시킬 만큼 임노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끝으로 신여성은 식민지시기 가정공간의 개편과정에서 자격 있는 주부로 호명 ...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시아 여성에 대한 히라쓰카 라이초의 모성주의 영향에 관한 연구

        문소정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3

        Hiratsuka Raicho, the well-known new woman in modern Japan who constructed maternalism through ‘the debate on maternity protection’ in Daisho period. This article is to research Hiratsuka's maternalism composed in ‘the debate on maternity protection’ from the Asian women's perspective. As a result of research, Hiratsuka's maternalism combined all the three major conceps of ‘the debate on maternity protection’. Namely, her maternalism combined with Ellen Key‘s theory of motherhood, motherhood of ethnic/nation state and protection of maternity. Generally speaking, Ellen Key‘s theory of motherhood must have based on eugenics and social-darwinism that was abused by imperialism and fascism. And the idea of motherhood of ethnic/nation state was converted into the state's ideology of genetic superiority, in which the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as social or national resources rather than as personal belongings and that the number and quality of children gave a strong influence to the development and destiny of the nation. As a result of motherhood of ethnic/nation state could not transcend the rule of the emperor system of Japan. Also Hiratsuka who emphasized the state's guarantee of maternity proposed many plans for the maternity protection toward the state. Among them, there were plans of the maternity protection that had dangerous influence on Asian women. For example, Hiratsuka highlighted the tragic calamity that a series of wars and venereal diseases inflicted upon maternity, family, children and ethic Japanese people. This also led Hiratsuka to demand the programs of venereal disease prevention for Japanese mothers. Her claims also had influence to make ‘comfort women’ mobilization policy from the Japanese occupied colonies and other Asian countries during the Asia Pacific War. In this way, Hiratsuka's maternalism composed through ‘the debate on maternity protection’ had dangerous ripple effects on Asian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