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용학의 후기소설에 나타난 반자본주의적 특성 연구

        류희식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8

        이 논문은 장용학의 후기 소설에 나타난 반자본주의적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장용학은 자신의 후기 소설들이 박정희 독재정권의 ‘근대화’ 기획에 강력하게 저항한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태양의 아들」은 이승만 정권기 지배 세력인 정치와 경제의 결연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작품이 초점화하는 김준업은 신흥 재벌로 성공한 자본가이다. 장용학은 그가 성공한 과정과 비윤리적인 일상의 사적 욕망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국가발전’, ‘근대화’ 등의 거대담론으로 포장된 것의 실제는 자본가의 비윤리적이고 일탈적인 사적 욕망들임을 보여준다. 아울러 김준업과 결연을 맺는 정치인 고병하 부자의 모습도 함께 보여준다. 이들은 과거 식민지 지배자들과 동일하게 선민의식으로 가득찬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다. 장용학은 이들이 자본주의-국가인 한국을 지배할 것므로, 주민들은 이들의 지배에 저항해야 한다는 사실을 암묵적으로 보여준다. 「유피」와 「잔인의 계절」, 「풍물고」 등의 작품에서는 자본주의화에 저항하는 인물들의 삶을 그리고 있다. 이 작품들에서 작가는 자본주의적 욕망을 부정하고, 사회적 예속을 거부하는 인물을 등장시킨다. 「유피」의 주인공은 오직 화폐의 힘만 인정하는 현실을 거부하면서 자살을 감행한다. 또 「잔인의 계절」의 주인공 K는 근대화 분위기 속에서 지배계층의 삶을 욕망하는 아내와 대립한다. 결국 그는 아내를 버리면서까지 근대화에 굴복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풍물고」에서는 현실과 타협하지 않아서 몰락하는 가족을 그린다. 작품에 형상화된 가족의 집단자살은 비극적이다. 하지만, 이는 결코 지배적 권력관계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작가의 강력한 저항의지를 보여준다. 장용학의 후기 작품들은 근대화를 통한 자본주의적 주체화와 사회적 예속을 거부하는 저항의 실천이었다.

      • KCI등재

        표상적 언어관과 비표상적 언어관의 충돌 — 유종호와 장용학의 논쟁과 관련하여 —

        류희식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2

        During 1964~1965, the core of the debate between Jang Yong-hak and Yu Jong-ho was about the orthography of the novel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On the side of the orthography, the two conflicted because Jang Yong-hak chose to write mixing Chinese characters together in the novel, and Yoo Jong-ho insisted on using only Hangeul.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Yoo Jong-ho harshly criticizes Jang Yong-hak’s new story of SangRip(喪笠新話: ‘SangRip’ means Hat worn by the deceased’s son) and fiercely develops each argument. The reason for the controversy was that the literary orientation and the view of language were different. For Yoo Jong-ho, literary language is a representative of national sentiment. For him, the native language was an unpolluted national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that was the best expression of national sentiment. As long as the novel reproduces the sentiment of our nation, it had to be written in Hangeul (the native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Jang Yong-hak’s view of language can be called ‘the language of power’. Language is the oppression and restraint of the body, such as the legal system and the signification system. In order to escape this linguistic system, Jang Yong-hak introduces many conceptual words mixed wi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to the novel. The argument between the two is not just an individual’s problem, but a conflict of the heterogeneous desires of our literary field at the time.

      • KCI등재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욕망의 해방과 ‘비인간 되기’

        류희식 동아인문학회 2023 동아인문학 Vol.65 No.-

        This paper examines Oh Jeong-hee’s novel Yet Umul(means Old Wel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eration of desire and its fuction. Old Well is the story of protagonist ‘I’, who lived as a part of the patriarchal system, being liberated from the system and becoming a ‘non-human’. After accidentally becoming aware of the death of ‘him’, her former lover, ‘I’ experience own death. In the end, that death means the death of a patriarchal subordinate subject. The death of ‘I’ is consistent with the legend of the old well. In the legend, after GakSi(means bride) dies, her hairpin becomes a golden carp in the old well. If GakSi is a part of patriarchal system, the golden carp that changed Binyeo(it means an ornament hairpin) represents the infinite potential of a woman. The golden carp only becomes apparent, when Gaksi is freed from the gendering of patriarchy. As time goes by, ‘my’ unconscious becomes obsessed with the deconstruction of Yeondan house. That house functioned as an interpreter in the sign of patriarchal system in the past. After the Yeongdang house is finally deconstructed, ‘I’ shed tears of freedom. Through love with trees, Yet Umul shows ‘me’ becoming a tree, escaping from the patriarchal subject and at the same time escaping from modern humans. 논문은 오정희의 <옛우물>을 욕망의 작동과 그것의 기능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 글이다. <옛우물>은 가부장제의 부품으로 살아가던 ‘나’가 제도에서 해방되어 ‘비인간’이 되는 이야기이다. 주인공 ‘나’는 가부장제 사회의 주부로써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우연히 옛 연인이었던 ‘그’의 죽음을 알게 된 후, ‘나’는 자신의 죽음을 경험한다. 그런데 그 죽음은 가부장 주체의 죽음이었다. 이와 같은 ‘나’의 죽음은 옛우물의 전설과 일치한다. 전설에서 각시가 죽고 난 후 그녀의 비녀는 옛우물 속의 금빛잉어가 된다. 각시가 가부장제의 부품이라면, 비녀가 변한 금빛잉어는 여성의 무한한 잠재적 능력을 의미한다. 금빛 잉어는 각시가 가부장제의 젠더화에서 벗어나야만 생성되는 것이다. 시간이 갈수록 ‘나’의 무의식은 연당집의 해체에 집착한다. 연당집은 과거 가부장적 기호체제에서 해석자로서 기능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연당집이 해체되었을 때, ‘나’는 해방감에 눈물을 흘린다. 연당집이 해체된 직후 ‘나’는 좋아하던 숲을 찾아가 나무와 사랑을 나눈다. 나무와의 사랑을 통해, <옛우물>은 가부장적 주체에서 벗어나는 것과 동시에 근대적 인간에서 벗어난 '나'의 나무되기를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정찬의 「완전한 영혼」에 나타난 5‧18의 의미

        류희식 운곡학회 2023 운곡논총 Vol.14 No.-

        This treatise investigated he meaning of 5.18 in novel 「Complete Soul」 of Jung Chan. First, 1992 year when this novel was expressed, was a period of change of regime. The writer shows Ji, Sung-Soo, a fighter for democracy who finished university and Jang, In-Ha, a typesetter who has not any political thought. He shows the life of persons who became a enemy against state through Jang, In-Ha. They care each other while facing against state violence by becoming a nonsubjective and pre-individual body. In comparision with this, revolutionary subject who was engaged in democratic movement, is shown through Ji, Sung-Soo. They who has the thorough revolutionary thoughts, made sure that their belief and end is absolute. So, they fighted to overthrow a military dictatorship. However, Ji, Sung-Soo was arrested by the police in May 1987 and succumbed to severe torture. Then he loses his faith and falls into despair. In the agony of despair, he realizes that the only way out of that despair is to emulate the life of Jang, In-Ha. The author says that the revolutionary subject trying to change political power through this work should accept a life like Jang, In-ha in 5.18, rather than asserting its own absoluteness. The writer's message of caution that the representative of the movement can be alienated from the public is too important. However, the question is whether Ji, Sung-Soo can become aJang, In-Ha. In other words, as long as one desires to be a“dominating apparatus”, can one become the body of 5.18, the“enemy of the state”? This is because 5.18 is the “extra-state”. 본 논문은 정찬의 소설 「완전한 영혼」에 나타난 5.18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먼저, 이 소설이 발표된 1992년은 대통령 선거가 있던 정권 교체기였다. 작가는 이 소 설에서 민주주의 투사인 대학 출신의 지성수라는 인물과 어떤 정치사상도 없는 식자공 장인하라는 인물을 등장시킨다. 그는 장인하를 통해 5.18 당시 ‘국가의 적’이 된 인물들의 삶을 보여준다. 그들은 비주체적이고 전개체적인 신체가 되어 국가 폭력에 대항하면서 서로의 삶을 돌본다. 이에 비해, 지성수를 통해서는 민주화 운동에 뛰어든 혁명 주체를 보여준다. 투철한 혁명사상으로 무장한 그들은 자신의 신념과 목표가 절대적이라고 확신했다. 그래서 그들은 독재정권을 타도하고자 투쟁했다. 그런데 지성수는 1987년 5월 경찰에 체포되어 지독한 고문에 굴복한다. 그후 자신의 신념을 잃고 절망에 빠진다. 절망의 고통 속에서 그는 그 절망을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장인하의 삶을 본받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정치권력을 바꾸려는 혁명주체는 자신의 절대성을 주장하기보다, 5.18 때 장인하와 같은 삶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운동의 대표가 대중과 유리될 수 있음을 경계하는 작가의 메시지는 너무나 중요하다. 다만, 문제는 지성수가 장인하가 될 수 있는가이다. 다시 말해 ‘국가의 지배장치’가 되기를 욕망하는 한에서, ‘국가의 적’이었던 5.18의 신체가 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5.18은 국가의 ‘외부’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국전쟁을 통한 국민화에 대한 거부와 국가외부로의 지향

        류희식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rejection of nationalization and orientationtoward the outside of the state in St. John's Poetic Collection written by Jang,Young-Hak. In the work, Jang tries to betray that South and North Koreanswere ‘nationalized’ during the Korean war through the subordination of peopleby horror of war. The state has conducted war not to protect its people, butto capture and subjugate them. That's why Jang regards entire South Koreaas another POW camp. In the work, POW camp on Geoje island is representednot merely as an exceptional space for keeping prisoners of war, but rathera kind of an arrangement that reveals the general function of modern stateswhich is capturing and subjugating of people through war. As long as modernstates exist and war keeps on, there cannot be a way for entire people toavoid prisoners of war. With the realization, in St. John's Poetic Collection, the protagonist Nuhyecommitted a suicide on the fence of the barbed wire entanglement in theconcentration camp. After the death, Dong-ho detected the possibility thatthe outside of the state, the exterior of the camp potentially can exist. However, Dong-ho, regrettably, wouldn't take specific actions to go beyondthe territory of nation. Nevertheless, it can be identified that Jang aims toextricates literary orientation in his work from the framework of nation/statedistinction, one of the modern institutional dimensions. 본 논문은 장용학의 「요한시집」에 나타난 국민화에 대한 거부와 국가외부로의 지향을살펴본 것이다. 이 작품에 의하면, 남북한의 인민들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국민화’되었으며 그 방식은 공포에 의한 예속이었다. 국가는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쟁을 수행한것이 아니라, 전쟁을 통해 국민을 포획하고 예속시킨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용학은남한 전체를 또 다른 포로수용소로 본다. 이 작품에서 거제도포로수용소는 단순히 전쟁에서 잡힌 포로들을 감금하는 예외적인 공간이 아니다. 오히려 포로수용소는 전쟁을 통한 인민의 포획과 예속이라는 근대국가의 일반적인 작동방식을 보여주는 하나의 배치이다. 근대국가가 존재하는 한, 그리고 우리의 현실에서 국가의 전쟁이 지속되는 한 모든인민들은 언제나 포로인 것이다. 「요한시집」에서 주인공 누혜는 이러한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에 수용소의 철조망에서자살을 한다. 누혜의 죽음을 통해 동호는 수용소의 바깥, ‘국가 외부’가 잠재적으로 실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러나 동호는 국가의 바깥으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작품을 통해서 장용학의 문학적 지향이 근대제도의 하나인 민족/국민국가를 벗어나는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용학 소설에 나타난 금기와 초극

        류희식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2

        This study aims to examine as for how Jang Yong-hak's novels confront taboos in Korean society and investigate the meaning with regards to "Korean Literature and Sociology of Taboos". Jang Yong-hak has once announced that his novels are the challenge to social taboos. Hence, I have traced the genealogy of taboos and its functions to clarify the reasons for his challenge to society. Taboos are more related to 'totems' which constitute various societies than 'transgression.' According to Freud and Nietzsche, many societies are operated by two mechanisms of 'totems and taboos.' Historically, there had been diverse and heterogeneous totems and taboos in a primitive society. However, when despotic monarchy appears as a primitive state, all the totems and taboos are reestablished by 'despotic monarchy and his law (expression).' Bodies lose their own actions and are encoded for totems and taboos. And then totems and taboos are transformed into 'nation (people) and law,' as nation-state appears. Finally, the body itself becomes nation's totem and is voluntarily subjected to legal sanction. In other words, the modern state has incessantly changed bodies into 'nation.' I can state that taboos are the mechanism which restricts and constrains the ability of bodies for the operation and preservation of a society. It is not desirable to make Jang challenge and overcome taboos in his novels. It is useless for him to pursue the objects that society demands and he has attempted to overcome them. He wanted all the bodies to recover their own activity out of subjection. ‘한국문학과 금기의 사회학’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장용학의 소설이 어떻게 한국사회의 금기와 대결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용학은 일찍이 자신의 소설이 사회적 금기에 대한 도전임을 밝힌 적이 있다. 따라서 그가 왜 금기에 도전하고 있는가를 살피기 위하여 금기의 계보와 기능을 살펴보았다. 금기는 ‘위반’보다는 다양한 사회체를 구성하는 ‘토템’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프로이트와 니체 등에 따르면, 여러 사회는 ‘토템과 터부’라는 두 기재를 통해 작동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원시사회체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토템과 터부가 존재했다. 그런데 태초의 국가인 전제군주제가 출현하자 모든 토템과 터부는 ‘전제군주와 그의 법(표정)’에 의하여 재정립된다. 신체들은 자신의 능동성을 상실하고 전제군주의 토템과 터부에 맞게 코드화 된다. 그 후 근대국민국가가 출현하면서 토템과 터부는 ‘국민(민족)과 법’의 형태로 변화한다. 이제 신체 자신이 국가의 토템이 되고, 스스로 법에 구속된다. 다시 말해 근대국가는 신체들을 끊임없이 ‘국민’으로 만들어야 했다. 이상에 따르면 금기는 사회체의 작동과 존속을 위하여 신체의 능력을 구속하고 제약한 장치들이다. 장용학은 전기의 몇몇 소설들에서 이미 무의식화 된 ‘동종포식금지’, ‘근친상간금지’ 등의 금기를 의지적으로 어기는 인물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물들은 능동적으로 ‘비인간’이 되고자 한다. 이와 달리 후기 소설들에서는 신체를 예속하는 국가폭력에 강하게 저항한다. 국가는 자신의 토템과 터부를 구성해야만 존속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들을 국민주체로 호명하고 법으로 구속하기 때문이다. 장용학이 자신의 소설을 통해 금기에 저항하고 이를 초극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히 금기가 금지하는 결핍을 욕망하기 때문이 아니다. 그는 금기가 지향하는 목적 자체(사회체가 요구하는 인간형상)가 무의미한 것이므로 이를 초극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모든 신체들이 예속에서 벗어나 능동성을 회복하기를 원했다.

      • KCI등재

        장용학 후기소설 「夫餘에 죽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연구

        류희식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69

        본 논문은 장용학의 후기소설 「夫餘에 죽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장용학은 식민지가 국가의 산물임을 자각했다. 그는 일본의 천황제와 마찬가지로 당대의 박정희 군사정권 역시 국민을 지배하기 위해 역사를 조작한다는 것을 간파했다. 그래서 그는 당대의 문학운동이 ‘대안근대’를 추구했던 것과 달리, 국가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설을 통해 ‘비국민되기’를 실험했다. 이 작품에서 장용학은 일본제국주의자와 식민지 조선인의 후손을 각각 등장시킨다. 주인공 ‘하다나까’는 일본인이기를 거부하고 백제인이 되고자 한다. 그는 전라도에 갔다가 아버지에게 죽임을 당한 조선인의 손녀인 ‘미스 柳’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그들의 사랑은 ‘미스 柳’의 죽음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다른 한편 하다나까와 ‘반체제분자’인 ‘나’는 우연히 경주에서 만났다가 친구가 된다. 세 명의 인물들이 서로 사랑하고 친구가 된 것은 모두 근대 주체에서 벗어나 새로운 신체로 생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장용학은 소설을 통해 신체들이 민족(국민)주체에서 벗어날 때 진정한 탈식민적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a post-national desire in Jang Yong Hak’s later novel, Dying in Buyeo. Jang Yong Hak acknowledged that colony was the product of nation. He realized that, just as Japanese emperor system did, Park Chung Hee military regime also distorted history to rule people. That is why he experimented “becoming non-nationals” through his novel. While his contemporary writers aimed at “alternative modern,” Jang tried to escape from nation. In Dying in Buyeo, Jang presents the descendants of Japanese imperialists and Koreans as major characters. Hadanaka, the protagonist of this novel, refuses to be Japanese; rather, he wants to belong to Baek-je. He visits Jeonlado and falls in love with Miss Yu, whose father was beaten and killed by Hadanaka’s father. Their tragic love, however, cannot continue because of Miss Yu’s death. On the other hand, Hadanaka and I, a dissident, become friends when encountering in Geyongju. These uncommon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characters could be realized since they ‘become new bodies’ beyond modern subjects. Jang Yong Hak demonstrates that a genuine post-national life could be feasible when a body liberates itself from a national subject.

      • KCI등재

        ‘도래할 민중’과 장용학 소설의 인물들

        류희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people represented in Korean literature and scrutinize a new concept, as a substitute for it, ‘people to come’ by Delueze and Guattari, to overcome the concept. It also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concept of people by studying Jang Yonghak’s novel. The concept of people, which is formed during 1970s and 1980s as an idea of resistance against the ruling power, fixes its own limits from the conditions such as it cannot basically free from nation-state, it is passive and reactive by nature, it has the property of exclusiveness resulted from sameness. In contrast, people in Delueze and Guattari are the bodies free from nations, people, and family. The people, however, are potentialized after a brief existence during the ‘general migration era’ in America and ‘Soviet era’ before Soviet became the state. Eventually, for Delueze people should be invented and actualized, for which the minor, and ‘becoming- minor’ is important. ‘Becoming-minor’ is for reaching the state of creation realizing all the potential by diverging from the standard which is the code of the state. When the minor encounters state apparatus in the process of creation, it changes into war machine. Jang Yong Hak tries to escape from the capture of state. The characters in his novel conclude that the state does not protect bodies, but makes them its captives. They sometimes are confronting law apparatus, an extreme of a state as an apparatus of capture. In his last work, Travelling Glaciers, Jang presents the offensive and active war machine to break down the oppressive state apparatus during the regime of Park Jung Hee. The concepts of ‘people to come,’ and ‘becoming-minor’ for them, justly, cannot be evenly applied to every literary work. Nevertheless, in Jang Yong Hak, the concepts can provide Korean literature in a state of stagnancy and the study of it with another exit for creation. 본 논문은 우리문학에서 통용된 민중개념의 한계를 검토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인 들뢰즈와 가타리의 ‘도래할 민중’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개념으로 장용학의 소설을 검토해 봄으로써 새로운 민중개념의 실효성을 살피고자 한 글이다. 지배 권력에 대한 저항으로 형성된 1970~1980년대의 ‘민중’개념은 근본적으로 국민국가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 본성이 수동적이고 반응적이라는 점, 그리고 동일성에서 근원하는 폐쇄성 등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비해 들뢰즈(가타리)의 민중은 국가, 민족, 가족 등의 억압에서 자유로운 신체들이다. 그런데 그 민중은 미국의 ‘보편적 이민시기’와 소련의 국가화되기 전 ‘소비에트시기’에 존재하다가 사라져 잠재화되어버렸다. 결국 들뢰즈에게 민중은 발명(현실화)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소수적인 것, ‘소수(자)되기’가 중요해진다. ‘소수(자)되기’는 국가의 코드인 표준에서 벗어남으로써 모든 잠재력을 펼치는 생성의 상태에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소수적인 것이 생성의 과정에서 국가장치와 만나면 전쟁기계로 전화된다. 장용학 소설은 국가의 포획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한다. 소설 속 인물들은 국가가 신체들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포로로 만들었다고 진단한다. 또 그들은 포획장치인 국가의 한 극인 법-장치와 대결하기도 한다. 특히 유고로 남겨진 「氷河紀行」은 박정희 정권의 억압적 국가장치를 파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에 대항하는 전쟁기계의 모습을 보여준다. 들뢰즈의 ‘도래할 민중’과 그것을 위한 ‘소수(자)되기’ 개념이 모든 문학작품에 적용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장용학 소설을 통해 볼 때, 이 개념은 침체기에 있는 우리 문학과 문학 연구에 새로운 출구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