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리티케일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가 사일리지 사료가치와 기능성 성분에 미치는영향

        김지숙,라경윤,김율호,박명렬 한국작물학회 2022 한국작물학회지 Vol.67 No.4

        적 요본 연구는 트리티케일의 파종기(가을, 봄)와 수확시기별(유묘기, 수잉기, 출수기, 출수 후 10일, 출수 후 20일) 사일리지 사료가치와 기능성 성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재배환경과 조사료 용도에 맞는 트리티케일의 적정 파종시기와수확기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육후기로 갈수록 트리티케일의 초장과 생체수량은 높아졌고, 수잉기까지의 초기생육은 봄파종보다 가을파종에서 더 높았다. 2. 수확시기별 조단백질 함량 차이가 뚜렷하였다. 생장이진전됨에 따라 조단백질이 감소하는 경향으로 유묘기에가장 높았으며, 가을파종(24.2%)보다는 봄파종(35.0%)했을 경우에 더 높았다. ADF와 NDF에서도 생장후기로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파종기에 의한변화는 크지 않았다. TDN은 유묘기의 봄파종(71.3%)과가을파종(67.0%)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유사한경향을 보였다. 3. 사일리지의 등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pH와 젖산 함량의 경우 봄파종 시 동일한 수확시기일지라도 가을파종이 낮은 편이었고, 생육단계가 진전됨에 따라 조단백질함량과 동일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기능성 물질인 옥타코사놀도 생육초기에 함량이 높았고,수잉기까지는 가을파종이 봄파종보다 높았지만, 출수기이후에는 파종기나 수확기와는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트리티케일 ‘조성’을 이용한 사일리지 제조 시 영양적 측면에서 조단백질이나 TDN, 기능성 물질인 옥타코사놀이 높은 사일리지가 필요할 경우 식물체가 어린 시기인 유묘기에 제조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발효가 잘되는 사일리지가 필요할 경우 출수 후 20일에 수확한 트리티케일을 이용할 경우 더 효율적이다. 가을파종이 어려울 경우 봄파종하여 유묘기에 수확하면 조단백질이나 TDN, 유기산함량이 높은 사일리지를 제조할 수 있다.

      • KCI등재

        남부산간지에서 봄과 여름 조사료 귀리의 파종과 수확 시기에 따른 조사료 품질과 생산성 변화

        신성휴,이현정,구자환,박명렬,라경윤,김병주,Shin, Seonghyu,Lee, Hyunjung,Ku, Jahwan,Park, Myungryeong,Rha, Kyungyoon,Kim, Byeongju 한국작물학회 2021 한국작물학회지 Vol.66 No.2

        본 연구는 조사료 연중생산이 불리한 남부산간지역(전북 장수군)에서 봄과 여름에 재배하는 조사료 귀리의 적정 파종과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품종은 여름 재배용 국산 조사료 귀리 품종 '하이스피드'와 '다크호스'이었다. 남부산간지에서 봄과 여름 조사료 귀리의 적정 파종기와 수확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과 수확시기를 달리하여 각각 재배하고 조사료 수량과 품질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시험장소는 전북 장수군 소재 농가 논 포장이었다. 2015년과 2016년에 2년간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료 귀리를 2월 하순, 3월 상순과 중순에 파종하였을 때, 출수까지 적산온도가 각각 690℃, 724℃, 743℃이었고, 8월 상순, 중순, 하순에 파종하였을 때, 출수까지 적산온도는 각각 1,449℃, 1,091℃, 888℃이었다. 2. 조사료 귀리 품종(하이스피드, 다크호스)을 2월 하순부터 9일 간격으로 3월 중순까지 파종하면 출수기는 모두 5월 10일~5월 16일이었고 평균 3일 정도만 늦었고, 8월 상순부터 10일 간격으로 8월 하순까지 파종하면 출수기는 모두 10월 13일~10월 15일이었고 평균 1~2일 정도만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 상순에 파종한 조사료 귀리는 출수하지 않았다. 3. 봄과 여름 조사료 귀리의 건물수량과 품질은 모두 파종 시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봄 조사료 귀리의 조단백 함량은 5월 하순에 수확한 것이 12.0%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수확시기가 10일씩 늦을수록 급격히 감소하여 6월 상순에는 8.2%, 6월 중순에는 단백질 함량이 6.5%까지 감소하였고, TDN 함량(59~62%)도 비슷한 경향이었지만 감소폭은 작았다. 5. 여름 조사료 귀리는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단백질과 TD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10월 하순부터 11월 중순까지 10일 간격으로 수확한 조사료 귀리의 조단백 함량이 8.4~8.7%, TDN 함량이 59.0~60.1% 정도이었다. 6. 봄 조사료 귀리는 6월 상순과 6월 중순에 수확한 건물수량이 각각 18.7톤/ha와 19.5톤/ha으로 5월 하순에 수확한 것보다 각각 83%와 91% 정도 높았다. 7. 여름 조사료 귀리는 11월 상순과 중순에 수확한 건물수량이 각각 12.5톤/ha와 12.1톤/ha으로 10월 하순에 수확한 것보다 각각 75%와 71% 정도 높았다. 8. 봄과 여름 귀리의 조사료 수량은 출수 이후 수확까지 적산온도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9. 봄과 여름 조사료 귀리의 건물수량과 품질을 고려하였을 때, 남부산간지에서 조사료 귀리를 봄에 재배할 경우에 3월 15일까지 파종하고 6월 10일경에 수확하고, 여름에 재배할 경우에는 8월 25일경까지 파종하고 11월 상순 이후 수확하면 단백질 함량이 8% 이상인 고품질 조사료의 최대 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Oats (Avena sativa L.) represent a good forage crop for cultivation in regions with short growing periods and/or cool weather, such as the mountainous areas of southern Korea. In this study, using the Korean elite summer oat varieties 'High speed' and 'Dark horse', we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to plant and harvest forage oats seeded in spring and summer in a mountainous area. Seeds were planted three times from late February and early August at 9- or 10-days intervals, respectively, and plants were harvested three times from late May to October at 10-day interval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n upland field (Jangsu-gun Jeonbuk) in 2015 and 2016.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forage yield (FY) and quality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s] based on the time of planting and harvest. Neither the forage quality nor yield of either spring and summer oat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ime of planting. The CP of spring oats harvested three times at 10-day intervals from late May was 12.0%, 8.2%, and 6.5%, thereby indicating a reduction with a delay in the time of harvest. In summer oats, CP ranged from 8.4% to 8.7%, although unlike CP in spring oats,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ime of harvest. For both forage types, harvest tim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DN. The FY of spring oats harvested in late May and early and mid-June was 10.2, 18.7, and 19.5 ton ha<sup>-1</sup>, respectively, with that of oats harvested on the latter two dates being significantly increased by 83% and 91%,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 late May. Similarly, the FY of spring oats harvested in late October and early and mid-November was 7.1, 12.5, and 12.1 ton ha<sup>-1</sup>, respectively, with that of oats harvested on the latter two dates being significantly increased by 75% and 71%,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 late October. Taking into consideration forage yield and quality (not less than 8% CP), it would be profitable to plant spring oats in the mountainous areas of southern Korea until March 15 and harvest around June 10, whereas summer oats could be beneficially planted until August 25 and harvested from early November.

      • KCI등재

        귀리 종자 생산을 위한 여름 재배의 적정 파종 시기 구명

        박진천,김양길,윤영미,최수연,박종호,박형호,라경윤,박태일 한국작물학회 2022 한국작물학회지 Vol.67 No.3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sowing date for seed yield of summer oat (Avena sativa L.) cultivars “Darkhorse (DH)” and “Highspeed (HS)” in Wanju, Jeonbuk province between 2017 and 2018. We investigated seed yield from 4 sowing dates: July 15, July 30, August 15, and August 30. We evaluated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ummer oats (DH and HS). We found the heading date of all cultivars to be within 50 days. Delayed sowing resulted in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for both years and cultiv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ke length of DH and HS which ranged from 12.8 to 17.8 cm. The sowing date of July 30 produced a higher number of grains per spike, but this yield differed significantly by year and cultivars. In 2017, the first sowing resulted in the lowest DH yield at 132 kg per 10a, while the second sowing had the highest yield at 227 kg. HS yield was the lowest in the first sowing at 126 kg and the highest in the third sowing at 219 kg. In 2018, DH had the lowest yield from the first sowing at 184 kg per 10a, and the highest from the second sowing at 240 k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yields. The first sowing for HS gave the lowest yield at 160 kg, and the second sowing produced the highest at 258 kg. The germination rate of harvested seeds from each sowing date in 2017 and 2018 was found to be higher than 8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ultivars in the 2018 germination rate test. Thus, we found the optimal sowing date for summer cultivation of oats for the highest seed yield to be between July 30 (second sowing) and August 15 (third sowing). 적 요본 연구는 2017년에서 2018년까지 전북지역(완주)에서 하파가 가능한 귀리품종인 「다크호스」와 「하이스피드」를 대상으로 종자 부족을 대비한 단경기 종자생산의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생육 및 종자 소질 등을 평가하여 하파 귀리의 최적 파종 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1. 여름철 7~8월, 4차례에 걸친 파종 시기에 따라 품종별적산온도를 분석한 결과, 종실 생산을 위한 적산온도는두 품종 모두 파종 후 성숙까지 약 1,600°C 내외의 적산온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2017년 시험에서는 다크호스가 7월 15일(1차) 파종이 10a 당 132 kg로 수량이 가장 적었고, 7월 30일(2차) 파종은227 kg, 8월 15일(3차) 파종은 212 kg로 2차 파종이 가장 많았으며, 하이스피드는 1차 파종에서 역시 126 kg로가장 적었고, 2차 파종은 211 kg, 3차 파종에서 219 kg 로 가장 많았다. 3. 2018년 시험의 종실 수량성은 다크호스가 10a당 1차파종 184 kg로 가장 적었고, 2차파종은 240 kg, 3차파종은216 kg로 2차파종이 가장 많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없었으며, 하이스피드에서는 1차파종이 160 kg로 가장적었고, 2차 파종은 258 kg, 3차 파종은 249 kg로 2차파종에서 가장 높았다. 4. 2017년 여름 시기별로 파종한 식물체의 종실을 수확하여 이듬해 파종을 위한 종자 발아율을 검정한 결과 1차에서 3차 파종 시기까지 재배하여 수확한 종자는 발아율이 모두 85% 이상으로 높았으며, 특히, 2차 파종한 식물체에서 얻어진 종자의 발아율이 95% 이상으로 가장높았다. 5. 2018년 발아율 시험의 경우 1차부터 3차까지 파종한 식물체에서 생산된 종실의 발아율이 모두 90% 이상으로매우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6.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종실 수확을 위한 하파 귀리의 최적 파종 시기는 7월 30일(2차)에서 8월 15일(3차) 사이파종이 적합하며, 이 기간 내의 파종이 종실 수량을 높이는데 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조생 다수성 조사료용 4배체 호밀 ‘대곡그린’

        구자환,한옥규,오영진,박태일,김대욱,김병주,박명렬,라경윤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4

        A winter forage tetraploid rye (Secale cereale L.) cultivar, ‘Daegokgreen’,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ICS, RDA in 2016. The mutant line ‘CG11003-8-B’, which was induced from rye cultivar ‘Gogu’ (diploid) by colchicine treatment, was selected for its excellent agronomic performance and was placed in preliminary yield trials for one year, 2013. The line was designated “Homil59” and was tested for regional yield trials at the four locations in Korea from 2014 to 2016. Finally, the new cultivar was named as the ‘Daegokgreen’ (grant number 8274). The leaf of cultivar ‘Daegokgreen’ is wide, long and dark-green color. The cultivar also has a big-size grain with light-brown color. The heading date of cultivar ‘Daegokgreen’ was April 17 which was 2 days later than that of check cultivar ‘Gogu’. The tolerance to cold and wet injury, and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and leaf rust of the new cultivar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heck cultivar but the resistance to the lodging of the new cultivar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check. The average roughage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the new cultivar after 10 days from heading were 37.0 and 7.7 MT ha-1,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to those (38.4 and 8.0 MT ha-1) of the check cultivar. The roughage quality of ‘Daegokgreen’ was higher in crude protein content (8.9%)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7.9%), while was similar to the check in total digestible nutrients (56.9%). This cultivar is recommended for fall sowing forage crops at all of crop cultivation area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