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경욱,이한나,신현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cleanl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the authors developed 'Survey for the teachers on the cleanl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athered data from 336 teachers and analysed th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swere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more problems in cleanlines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and the main problem was reduction of their social interaction with general students. Teachers also thought parents were the biggest factor that affect cleanliness. In addition, teachers answered about their teaching practices according to place, time, contents, method, difficulties, needs and responsibilitie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according to cleanliness area, teachers answer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the biggest problem in desirable coping to physiological phenomenon. Also, elementary students were thought to have lower levels of cleanliness compared to upper class students, and special teachers thought the level of cleanl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lower compared to general teachers. Finally, The authors presented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본 연구는 통합환경 내 장애학생의 청결과 관련해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실태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장애학생 청결에 관한 교사인식 설문’을 제작해 사용했으며, 337명의 초, 중, 고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응답자료를 분석해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교사들은 일반학생에 비해 장애학생의 청결에 더 문제가 있고, 다수의 일반학생들은 청결하지 못한 장애학생을 기피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청결하지 못할 때 또래 간 상호작용 감소라는 문제가 가장 심각하게 발생하며, 청결상태에 부모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또한, 교사들의 청결지도는 교실 및 화장실에서 그리고 점심시간과 쉬는 시간에 주로 이루어졌고, 학교생활 중 직접 지도하거나 부모에게 지도를 요청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지도영역은 외모 상 청결과 올바른 생리현상 처리에 집중하고 있었으며, 지도 시 어려운 점은 비협조적인 가정과 지도방법상의 어려움을, 필요로 하는 지원으로는 보조인력과 청결지도교구를 주로 언급했다. 청결지도의 책임은 부모에게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청결영역별 인식결과를 살펴보면, 교사들은 장애학생의 생리현상 처리를 가장 낮게 평정했는데, 학교급별로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초등생의 청결수준을 중, 고등생보다 유의하게 낮게 평정했으며, 교사유형별로는 특수교사가 모든 영역에서 일반교사보다 유의하게 낮게 평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환경에서 장애학생의 청결지도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 청결과 관련한 함의점들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자기조정 전략훈련이 정신지체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남경욱,신현기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6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teaching self-regulated strateg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were enrolled in two special classes in Seoul, Korea. They are randomly divided either into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The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consisted of 10 different problem types which have 10 questions per typ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skill of the participants was measured by a mixed way of structured interview and paper test. After pre-test, 12 sessions of strategy instruction were administered and post-test followed after the final session. Maintenance test was administered two weeks after the post-test. The independent t tests and paired t tests were employed to analyse the results of the tests. For intervention, problem solving strategy was first instructed and then made the students skillful at self-regulated strategy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n the every steps of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process except carrying out the plan ste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maintained the enhanced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use of self-regulated strategy.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effect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n the problem types. This result was thought that the structure of the test made the difficulty level of each type similar. In Conclusion, self-regulated strategy improved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is implies that self-regulated strategy is helpful to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who showing difficulties at prerequisite skills in mathematics to understand and represent better mathematical word problems.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정 전략 훈련이 정신지체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학생 14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는 구조화된 면접과 지필검사의 혼합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검사결과는 독립표본 t-검정을 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기조정 전략훈련을 받은 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단지 문제해결과정의 각 단계와 합계에서 전략을 교수받은 집단의 문제해결력이 통제집단에 비해 향상되는 경향성은 뚜렷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정 전략훈련을 받은 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수학 문장제의 문제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연구에 사용된 측정방식이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거나 측정하기에는 용이하였지만 학생 스스로 문제해결에 필요한 단계를 설정하고 결과를 도출하는데 수고를 경감해주어 학생들이 보다 어렵게 느낀다고 보고된 문제유형들에 대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풀 수 있게 한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자기조정 훈련의 중재기간을 늘이고 측정방식을 달리할 경우 정신지체학생들이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남경욱,박주배,김양한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11 No.2
In order to make a quiet zone, one can consider various methods. Of the methods,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 using control materials such as absorption materials. This method controls sound fields by changing boundary conditions. First, this paper shows that the control material is essentially on the same road as active noise control (ANC). That is, we can consider the control material as the control source of ANC. However we cannot control the source strength. Second, this paper shows that the position of the control material is an important variable by a numerical simulation. And the strategy to optimize the position is addressed.
남경욱,배용찬,배성환,송경호,김훈수,최영진 대한성형외과학회 201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42 No.6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100 consecutive patients with primary cutaneous melanoma over the course of 13 years to determine whether epidemiological differences correspond to different stages of the disease.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survival rate. Our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elected descriptive studies of melanoma in other East Asian population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cutaneous melanoma patterns are similar in East Asian populations. Methods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to staging and survival rate. Additionally, papers from Hong Kong and Japan describing these phenomena in East Asian populations were subjected to a statistical comparison. Results The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1:1.8, and the foot was the most frequent tumor site (49%). Acral lentiginous melanoma occurred most frequently (55%). Nodular melanoma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stage. Stage III–IV tumors with Clark levels of IV–V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 survival rate. A statistical analysis of comparable papers reported in Hong Kong and Japan showed similar results with regard to age, tumor location, and histopathological subtyp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full epidemiological description of 100 consecutive cases of primary cutaneous melanoma in Korea, with results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other East Asian populations. Corresponding to previous findings, nodular melanoma tended to occur at a higher stage than other types, and tumors with high Clark levels and high stages showed a lower survival rate.
남경욱 한국과학사학회 2011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3 No.3
This paper is a preliminary research about Nam Byeongcheol (南秉哲, 1817-1863)’s mechanical clock, based on his “Explanation of a Time-checking Instrument (Heomsiui seol, 驗時儀說). Nam Byeongcheol was one of the utmost literary figures as well as an outstanding scholar of astronomy and mathematics in nineteenth-century Korea. Heomsiui seol was written as one chapter of his treatise on astronomical instruments, titled the Collection of Writings on the Scientific Instruments (Uigijipseol, 儀器輯說), which was compiled in the late 1850s. In Heomsiui seol, he gave detailed explanations on the mechanical clock’s structure, mechanism, making manuals,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understand the peculiarities of Nam Byeongcheol’s mechanical clock. (1) He tried to emphasize the mechanical clock as one of important astronomical instruments instead of a water clock; (2) He adopted two mechanical devices to make his mechanical clock: one is ‘Huygens’s escapement and pendulum’ invented in 1657, another is ‘rack striking system’ developed by Edward Barlow in 1676.
평면 음향 홀로그래피에서 센서간 특성 차이와 측정 위치의 부정확성에 의한 음압 추정 오차의 정량화
남경욱,김양한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8 소음 진동 Vol.8 No.6
When one attempts to construct a hologram. one finds that there are many sources of measurement errors. These errors are even amplified if one predicts the pressures close to the sources. The pressure estimation errors depend on the following parameters: the measurement spacing on the hologram plane. the prediction spacing on the prediction plan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ologram and the prediction plane. This raper analyzes quantitatively the errors when these are distributed irregularly on the hologram plane The sensor mismatch and inaccurate measurement location. position mismatch. are mainly addressed. In these cases. one can assume that the measurement is a sample of many measurement events. The bias and random error are derived theoretically.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ndom error amplification ratio and the parameters mentioned above is examined quantitatively in terms of energy.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남경욱,오순영,신현기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training with individualized supports on purchas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o analyse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oblem solving. For this purpose, three mal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classes who had not been taught about explicit purchasing skill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how the participants purchase goods, pre-observation was implemented. After analyzing the task of their purchasing behaviors, the study developed the stages of purchasing goods for the students. The stages consisted of three subordinated stages;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review. Based on these stages, self-monitoring strategy was employed and analyzed.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he study measured changes in the rate of purchasing skill performance and checked whether the effects thereof were generalized in other places and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monitoring training with individualized support had positively affected the participants' purchasing performances. Second, the reason and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varied through the analysis of problem solving stag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implic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본 중재의 효과검증을 위해 수집한 자료를 문제해결 단계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기능적인 기술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중재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대상 학생들의 평소 물건 구매하기 수행에 대한 사전 관찰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행수준에 적절한 물건 구매하기 과제분석을 실시했으며, 분석된 일련의 과제들은 Polya의 문제해결단계를 참조해서 준비, 실행, 점검의 세 단계로 나누어 중재와 분석에 활용했다. 과제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과제 수행시 사용할 자기점검표를 구성했으며, 기초선 측정 후 교실과 지역사회의 슈퍼마켓과 편의점에서 자기점검법 중재를 주 3~4회 실시했다. 이때 각 학생의 서로 다른 미흡한 하위기술들에 대해서는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였다. 연구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했으며, 자료는 과제분석표 상의 물건 구매하기 하위기술들에 대한 평균 수행률을 측정해서 그래프로 제시했고, 본 연구와 관련된 신뢰도 및 타당도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은 대상학생들의 물건 구매하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는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었으며, 일반화 측정 2주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물건 구매하기 수행률을 과제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학생에 따라 물건 구매하기 과제의 서로 다른 단계에서 과제수행의 어려움과 향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남경욱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friendship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field of Korea, and to give some guide the studies hereafter. For the purpose, the author selected 60 studies, and analysed their conceptual frameworks,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iendship was mainly defined as a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dimension constructs, and considering no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Second, friendship studies mainly employed quantitative research, survey for data collection, elementary student participants, non-categorical disability for research focus, one-way research design, and actual characters for investigation. Third, in relation with the contents, friendship quality for research theme, friendship support programs for independent variable, friendship quality and acceptance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mainly selected. Difficulties of data collection were mainly addressed for the study limitations, and employing of alternative research method was mainly suggested for follow up studies. The author presented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분야의 친구관계 연구논문들을 종합, 분석해 향후 연구접근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관련 논문 60편을 선정하여 친구관계에 대한 개념틀,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분석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관계에 대한 개념틀과 관련해서 연구자의 세 가지 분석준거에 따라 살펴보면 친구관계를 사회적 관계로 규정하고 당사자를 고려하지 않은 범용의 정의를 차원수준에서 정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과 관련해서는 양적연구, 질문지 자료수집, 초등학생에 편중된 연구 참여자, 장애영역을 따로 나누지 않은 연구초점대상, 일방향 연구구도, 실제아동을 설정한 연구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에 있어서 연구주제는 친구관계의 질, 독립변인은 친구관계지원 프로그램, 종속변인은 친구관계의 질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 인식 및 수용태도가 다수였다. 연구의 제한점은 자료수집상의 문제, 제언사항은 대안적 연구방법의 적용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대안적 개념틀을 사용한 연구접근, 연구방법 관련 후속연구 시 고려사항, 연구접근을 위한 틀의 활용, 측정도구의 타당도 향상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장애영아 대상 교육적 서비스에 대한 현장 종사자들의 인식
남경욱,이은정,신현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educational services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arly intervention through educational perspective, and to give some proposals to the teachers and government for improved infant education with validity and fidelity. For the above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executed with 21 teachers on the three elements of education; learner(infant with special needs), educational contents(curriculum), and instructor(teacher). All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sed. The authors discussed and finally drew 58 categories. The author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academic community has to set up strategies and methods about teaching infants with special needs. Second, the government has to be more accountable to the other early intervention services.. Third, the government has to develop national level curriculum for them. Fourth,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should have forms that can be discussed and give feedback. Fifth, the curriculum should be site-centered and user-centered forms. Finally, the teachers who give educational services to infants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provided supports for enhancing knowledge and skills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본 연구는 교육 및 보육계 현장 종사자들이 장애영아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조기개입 서비스에 대해 교육적 관점을 통해 조망함으로써 향후 보다 타당하고 충실한 장애영아 교육을 위한 방안들을 학계와정부에 제언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계 11명, 보육계 10명의 현장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성립의 세 요소인 학습자(장애영아), 교육내용(교육과정 등), 교수자(장애영아 담당교사)에 관한 인식을 심층면접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전사한 350쪽 분량의 자료를 내용분석해 질문항목별로 결과를 도출했다. 결과는 자료손실을 줄이면서 동시에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히 전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고안한 표를 통해 제시했다. 주요 조사결과와 그에 따른 제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종사자들은 유아와 일반영아와 비교해 장애영아가 지닌 몇 가지 특수성을 진술했다. 연구자들은 관련 선행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지 못한 상황에 비추어 학계가 교육대상으로서의 장애영아 특성과 구체적 교수방법을 정립하는 노력이 시급함을 주장했다. 둘째, 장애영아 교육내용 및 기관교육 필요성과 관련해 현장 종사자들은 장애영아 특성에 적합한교육 이외에도 가족지원과 주양육자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연구자들은 이것이 여러 분야의 공동접근이 필요한 문제이므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선도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셋째, 국가수준 장애영아 교육과정과 관련해 현장 종사자들은 그 필요성에 대해 양분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장애영아교육이 처한 현재 상황과 표준보육과정의 한계점을 토대로 국가수준의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개발 및 보급해야 함을 제기했다. 넷째, 표준보육과정에 보완하고 싶은 내용들과 관련해 연구자들은 향후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시 논의와 피드백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해야 함을 주장했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형태와 관련해 연구자들은 활용도 향상을 위해 현장중심 및 사용자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함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장애영아 담당 교사의 자질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장애영아 담당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교수수정 지식과 기능을 강화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