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 동향분석: 2003년~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곽희연,김숙향,이병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3

        Purpose: In this study, a total of 282 articles from 2003 to 2021 were analyzed using the text mining metho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y searching for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text mining method,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e main method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word clou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increased sharply in 2008, and then steadily research continued. And there were analysis 16 places that were published by a total of 61 institutions and published 5 or more papers, 9 sites with 3 or 4 papers, and 36 sites with 2 or less papers.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mothers, intervention, parents, disability, infant,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onduct research related to the subject of family. The four topics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are “Education of toddler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The needs of families with infants and toddlers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for families of infants and toddlers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and “Status of raising infants and toddler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summarized research trends o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domestic and foreign comparative analysis related to research o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search that expands subjects such as infants, fathers, grandparents, and siblings can be expected. Considering the trend in which extended big data research methods are being activated, research using more diverse research methods can also be expected.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의 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에 관련된 연구 동향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방법은 빈도 분석, 워드클라우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관련 논문 편수는 2008년에 급격히 증가한 후 꾸준히 연구가 지속되었으며, 총 61개의 전문 학술지에서 발간되고 있었고 관련 논문을 5편 이상 발간하는 곳이 16곳, 3∼4편은 9곳, 2편 이하는 36곳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빈도 키워드는 ‘어머니’, ‘중재’, ‘부모’, ‘장애’, ‘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가족’ 등의 주제 관련 연구로 조사되었다. 셋째, 토픽 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4개의 토픽은 “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의 요구”,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지원”,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양육현황”이다. 넷째, “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과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양육현황”은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의 요구”와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지원”은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점차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가족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향후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와 텍스트 마이닝 연구 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고찰

        김건화(Kim, GeonHwa),이숙향(Lee, Suk-Hyang)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과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통합교육의 흐름 속에서 특수학교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수도권 내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17명과 관리자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 및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외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성과 및 교훈, 2) 특수학교에서 바라본 통합교육, 3) 통합교육과 함께하는 특수학교 교육. 결론: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교육의 흐름 속에서 특수학교 교육의 지향점과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주요 관련자들 간 공유된 이해와 협력 증진, 2) 법적 정의에 나타난 통합교육 개념 재정립의 필요성, 3) 통합을 지향하는 특수학교 교육의 실천, 4)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여건 개선요구, 5) 특수학교가 가져야 할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 및 지원요구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about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and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special school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7 teachers and 5 administrato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Focus group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Other data collected besides the interview were such as books, research papers, articles, etc. Thematic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 Resulting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themes emerged: 1) outcomes and lessons from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 2) the inclusive education seen in special schools, and 3) education in special school oriented towards inclusive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regarding new orientation and practices for special schools were discussed under the following five points: 1) promotion of shared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2) needs for re-introduc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legal statements, 3) possible actions for education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4) improving conditions for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and 5) new identities and roles of special schools along with necessary support needs.

      • KCI등재

        국내 특수교육 고교학점제 연구동향 및 지원요구 고찰: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김영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5 특수교육논총 Vol.4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에서 국내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통합교육 고교학점제와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의 지원요구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PRISMA절차에 따라 24편의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에 대한 분석대상논문을 선정했다. 본 연구는 출판연도, 고교학점제 유형(통합교육, 특수학교), 연구대상 등에 따라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의 연구동향을 분석했고, 특수교육 고교학점제를 통합교육 고교학점제와 특수학교 고교학점제로 구분하여 각각의 지원요구를 고찰했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특수교육 고교학점제는 고등학교 과정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교육 현황 및 배치기관별 특성을 다소 고려하지 못한 교육부 주도의 급진적인 하향식 교육혁신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통합교육 고교학점제는 편성․운영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고려한 선택과목 개설․평가․이수기준을 담은 단위학교 규정의 개정, 통합교육 고교학점제 모델에 따른 실례의 보급, 이동 및 공강 시간 지원 인력 배치를 요구했고, 환경개선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동 책무성 공유, 특수교사 대상 고교학점제 연수, 이동 및 공강 시간 지원 인력을 요구했다. 또한, 특수학교 고교학점제는 환경개선에서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교과교실제 전환에 따른 추가 공간의 확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이동 및 공강 시간 지원 인력을 요구했고, 인식에서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성 제고 연수를 요구했다. 결론: 특수교육 고교학점제는 교육부 주도의 급진적인 하향식 교육혁신으로 특수교사에 의해 합목적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교육부 차원에서 통합교육 고교학점제에서는 통합교육 고교학점제 운영 지침 및 모델의 제공,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연수, 지원 인력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에서는 특수학교 내 추가 공간의 확보 및 재구조화, 지원 인력, 특수학교 교사 연수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and support need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and examined the support need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schools. Method: Follow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ramework, 24 studies were selected. Result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veal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was implemented as a top-down initiative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ith insufficient consideration given to the actual educational needs and placement setting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s. Also,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inclusive education, the main support needs are revising school regulations to include elective subject, assessment, and completion criteria suitab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share exampl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odel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and provide support staff for transitions and break times. Environmental improvements requir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hare responsibil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in the credit system. Additionally,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f special schools, the main support needs include securing additional space due to the shift to subject-based classrooms, providing support staff for transitions and break times, and offering professional training to special school teachers. Conclusion: To ensure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provide support that aligns with the specific needs of both the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school credit systems.

      • KCI등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최지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5 특수교육논총 Vol.41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국내 교육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전국 유아/초등/중등 특수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에 대한 기술통계와 범주별 응답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은 문항별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의 2/3 이상이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에 참여한 특수교사 대부분은 다문화 특수교육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으며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전문적인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설문 결과 특수교사들은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높은 태도와 효능감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하위영역 결과를 살펴보면 실제로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절한 교육과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특수교육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in Korea, it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a survey exam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ir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Method: In a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surveyed 1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of responses by category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summing the scores of each question to assess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more than two-thirds of special educators had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most of them reported difficulties in teaching theses learners. Most of the surveyed special educators also reported a need for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training and additional specialized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lthough the survey results confirmed that special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and efficacy toward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the sub-domain results showed that in practice,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roviding appropriate instruction and the necessary support to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수준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요구에 대한 사례연구

        연보라(Yeon, Bo Ra)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논총 Vol.33 No.1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반구조화된 면담 가이드에 따라서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교수준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특수학교 1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교 교직경력 10년 이상 등의 선정기준에 따라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사전에 질문지를 만들어 반구조화된 일대일 면담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교 학교수준교육과정은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와 의견을 반영하여 각 학생의 특화된 개별화교육 수업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신체 재활 및 운동 기능 중심의 개별화교육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생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학교 현장에서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기능 중심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이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며, 전인적인 발달을 위한 다양한 교수 환경,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사 연수를 요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수준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교 대내외적인 협력 및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재량권을 요구하고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 대한 평가 및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자율성과 재량권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conducted a study of 7 teachers who working at a special school for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elected criteria such as 10 years of experience. We conducted a semi-structured one-on-one interview. Results: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autonomy curriculum was reflecting the needs and opinions of students and parent, and they are consist of form of student-centered class. Also, they thought that the safety of students at the school site will be considered first priority.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autonomy curriculum was operated by the student"s functional curriculum, which wa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operate the school autonomous curriculum, the need to expand the autonomy and discretion of teachers, require educational cooperation and cooperate with the outside school. Lastly, in the case of reducing the number of key subjects, I agree with the creative experience and the rate of 50% reduction in the subject matter. However, they demanded that flexible adjustments should be made. Conclusion: Consequentially,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urriculum for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students operates effectively,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at the autonomy and discretion to the evaluation of students and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unit school should be expanded.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유아교육기관 협력 경험과 지원 요구

        장정미(Jang Jung Mi),이병인(Lee Byoung 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유아교육기관과의 협력 경험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협력을 위한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1학년 특수교육대상유아를 5년 이상 지도한 경험이 있는 초등특수교사 6명을 목적 표집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여 개별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 내용은 동의를 얻어 녹음한 후 전사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여 3개의 상위 범주, 9개의 하위 범주, 29개의 내용으로 체계화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교육대상유아가 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알고 있었으며 입학 전 업무 부담에도 불구하고 전이 지원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으나 다양한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어려움, 과정 간의 단절된 관계, 서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협력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의 유·초 협력을 위한 세 가지 요구를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 과정에서의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특수교사의 협력 경험을 통하여 전이 지원 과정에서의 유·초 협력 방향을 제시하고, 전이 지원을 위한 유·초 협력 시스템 구축과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llaboration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at preschool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transition into elementary school. Method: For this purpose, 6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ho had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in guiding first-year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and purposive sampling was used.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ith consent, and the transcriptional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ystematized into 29 content categories, 3 upper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difficulties that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into elementary schools; they implemented their own transition support programs before admission, even though it was an additional task that was expected to overburden them. Second,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the transition into elementary schools. However, they face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having of various types of institutions, disconnected relationships with process, and lack of understanding for others. Finally, the participants presented three demands for cooperation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into elementary schoo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rection of collaboration and exchang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lementary schools for the transition support process through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on between these two group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system construction and preparation for effective transi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한국특수교육법의 장애용어와 정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현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특수교육법의 장애와 구체적으로 발달지체, 지적장애, 학습장애, 정서장애에 대한 장애용어와 정의의 적절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법률 개정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문헌연구다. 조선왕조실록 등 옛 문헌, 장애용어․정의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현행 법률 규정, 관계 학술서와 논문, 사전 등의 문헌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 살폈다. 발달지체, 지적장애, 학습장애, 정서장애만으로 제한했다. 미국에서 들어와 우리 것이 된 용어와 정의를 미국 것으로 비교․해석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국학적 논의도 간략히 덧붙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통적으로 잔질, 폐질, 독질 등이 사용되었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불구, 폐질, 장애, 장해란 말로 바뀌었다. 옛 의미와는 다른 의미의 용어가 되었다. 둘째, 발달지체란 용어와 기준은 모두 미국 장애인교육법에서 왔다. 시행규정에서 제외한 부분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취학 유예의 사유와도 구분되어야 한다. 셋째, 지적장애란 용어와 정의는 모두 미국 장애인교육법과 거의 같다. 발달기 요건에 대한 기준은 제시해야 한다. 넷째, 학습장애는 용어와 정의 모두 미국 장애인교육법보다 전국학습장애연합위원회의 정의를 기초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정서․행동장애는 명칭은 행동장애아동평의회의 제안에서, 기준은 미국 장애인교육법에서 왔다. 정서장애 또는 행동장애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결론: 장애란 유개념의 정의를 채택함으로써 개념체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장애 넷의 공통 사항은 통일할 필요가 있고, 발달 지체의 현저함 정도(발달지체), 지적기능과 적응행동의 어려움 정도(지적장애), 학습기능과 학업성취의 곤란 정도(학습장애), 현저함의 정도와 지속기간(정서장애)은 객관적인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조기발견과 진단․평가의 영역은 각각의 장애에 알맞은 측정도구에 대해 일정 조건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특수교육대상자의 범위를 특정하는 일은 특수교육 일선 현장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기에, 이상에서 밝힌 문제점은 해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학문공동체의 적극적인 논쟁이 필요하고 그 결과를 법률에 담아야 한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장애 외의 장애에 대해서도 용어와 정의의 적정성을 연구해야 하고, 장애에 대한 국학적 논의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