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고찰

        김건화(Kim, GeonHwa),이숙향(Lee, Suk-Hyang)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통합교육과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통합교육의 흐름 속에서 특수학교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수도권 내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17명과 관리자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 및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외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통합교육 및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성과 및 교훈, 2) 특수학교에서 바라본 통합교육, 3) 통합교육과 함께하는 특수학교 교육. 결론: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교육의 흐름 속에서 특수학교 교육의 지향점과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주요 관련자들 간 공유된 이해와 협력 증진, 2) 법적 정의에 나타난 통합교육 개념 재정립의 필요성, 3) 통합을 지향하는 특수학교 교육의 실천, 4) 일반학교와의 통합교류 여건 개선요구, 5) 특수학교가 가져야 할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 및 지원요구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about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and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special school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7 teachers and 5 administrato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Focus group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Other data collected besides the interview were such as books, research papers, articles, etc. Thematic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 Resulting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themes emerged: 1) outcomes and lessons from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and interschool exchange, 2) the inclusive education seen in special schools, and 3) education in special school oriented towards inclusive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regarding new orientation and practices for special schools were discussed under the following five points: 1) promotion of shared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2) needs for re-introduc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legal statements, 3) possible actions for education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4) improving conditions for interschool exchanges with general schools, and 5) new identities and roles of special schools along with necessary support need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 동향분석: 2003년~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곽희연,김숙향,이병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3

        Purpose: In this study, a total of 282 articles from 2003 to 2021 were analyzed using the text mining metho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y searching for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text mining method,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e main method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word clou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increased sharply in 2008, and then steadily research continued. And there were analysis 16 places that were published by a total of 61 institutions and published 5 or more papers, 9 sites with 3 or 4 papers, and 36 sites with 2 or less papers.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mothers, intervention, parents, disability, infant,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onduct research related to the subject of family. The four topics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are “Education of toddler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The needs of families with infants and toddlers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for families of infants and toddlers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and “Status of raising infants and toddler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summarized research trends o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domestic and foreign comparative analysis related to research o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search that expands subjects such as infants, fathers, grandparents, and siblings can be expected. Considering the trend in which extended big data research methods are being activated, research using more diverse research methods can also be expected.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의 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에 관련된 연구 동향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방법은 빈도 분석, 워드클라우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관련 논문 편수는 2008년에 급격히 증가한 후 꾸준히 연구가 지속되었으며, 총 61개의 전문 학술지에서 발간되고 있었고 관련 논문을 5편 이상 발간하는 곳이 16곳, 3∼4편은 9곳, 2편 이하는 36곳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빈도 키워드는 ‘어머니’, ‘중재’, ‘부모’, ‘장애’, ‘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가족’ 등의 주제 관련 연구로 조사되었다. 셋째, 토픽 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4개의 토픽은 “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의 요구”,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지원”,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양육현황”이다. 넷째, “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과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양육현황”은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의 요구”와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지원”은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점차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가족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향후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와 텍스트 마이닝 연구 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 분석

        박재범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a special teacher who is pre-service teacher of a graduate school and present basic data on the image of a desirable special teacher in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er asked the preliminary teacher to write the report. Method: The report was selected by 20 pre-service teacher who take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subject analysis and nomina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he is a teacher with expertise. Second, communication is a smooth teacher. Third, the character is a teacher who is formed. Fourth, a loving teacher. Fifth, the teacher is highly adaptable. Sixth, I am a patient teach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desirable special teacher in integrated education ended up being a teacher who was dedicated to and practice inclusive education with the ability and qualifications of intelligence, emotion, and personality. And These studies identified limitations and limitations of several studies and suggested follow-up stud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소속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분석하여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은 어떤 선생님인가?’라는 보고서(Report)를 연구 제공자에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 최종 수집된 자료는 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18명의 예비교사와 통합교육 현장에 참관 경험이 있는 2명의 예비교사의 보고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는 주제 분석 및 유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의 결과는 첫째,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 둘째,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 셋째,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 넷째,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 다섯째,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 여섯째,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으로 밝혀졌다. 결론: 종합적으로 볼 때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지성, 감성, 인성 등의 역량과 자질을 갖추고 통합교육에 헌신하며 실천하는 선생님으로 귀결되었다. 본 연구는 몇 가지의 연구의 한계 및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특수교육 발전 양상에 따른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논의

        한경근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6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6 No.-

        최근 들어 특수교육관련법의 개정이나 새로운 제정의 움직임과 관련서비스를 둘러싼 여러 가지 논의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논의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특수교육의 발전적 양상으로 간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적 시점에서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구체적 논의에 바탕을 둔 움직임은 없어 보인다. 특수교육에 대한 미시적 정체성 논의에 이어 보다 구체적인 미시적 논의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최근의 특수교육 발전 양상들을 되짚어 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통하여 학계에서의 특수교육의 한국적 정체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제언한다. Recently, the special education field has been showing dramatic changes in policies supporting educational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hanges seem to be mainly focusing on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legislation and related services. Although the changes has brought hot debates in the field, no attempt has been found relating the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in this critical era. This article, therefore,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discussion on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view of issues regarding the legislation and related services. Through this microscopic discussions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s advised to make efforts establishing a new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hat is suited to the new era.

      • KCI등재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통합교육지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탐색

        손지영(Son, Jiyoung),임장현(Lim, Janghy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지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학교과정별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수합된 252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들은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업무 및 기타 행정적 지원, 학부모 상담, 교내외 프로그램 안내, 장애인식개선교육 등을 통합교육지원으로 가장 많이 지원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의 어려움에 대해 학부모들은 장애자녀의 진로와 비장애학생과의 관계 형성 측면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셋째, 통합교육지원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 일반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장애학생 특성에 대한 이해, 특수교사와의 협력 등의 역할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과정 학부모들은 중등과정보다 수업시간의 학습 지도, 친구관계 형성, 행동문제 지원, 특수교사와 협력하는 역할에 대해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 진로교육 및 정보제공, 교직원 및 일반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순으로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과정학부모들은 교수학습지원, 행동문제 지원, 장애인식개선교육,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업무를 하는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 중등과정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지원에 대한 고려점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and teacher roles as perceived by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placed full-time in general classroom. It further investigat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perception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are assigned to general class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the final survey data of 252 people were analyzed. Result: First, the analysis foun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most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 work, parental counseling, and information provision. Second, parents responded most to the difficulty in terms of career paths and relationships with non-disabled students. Third, the role of general teachers was recognized as important to improve awareness of disabilitie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ope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urth,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recognized as high in terms of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for improving awareness of disabilities. Parents generally perceived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s more important than in secondary school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considerations and sugges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were presen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placed full-time in general classrooms.

      • KCI등재

        한국특수교육법의 장애용어와 정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현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특수교육법의 장애와 구체적으로 발달지체, 지적장애, 학습장애, 정서장애에 대한 장애용어와 정의의 적절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법률 개정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문헌연구다. 조선왕조실록 등 옛 문헌, 장애용어․정의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현행 법률 규정, 관계 학술서와 논문, 사전 등의 문헌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 살폈다. 발달지체, 지적장애, 학습장애, 정서장애만으로 제한했다. 미국에서 들어와 우리 것이 된 용어와 정의를 미국 것으로 비교․해석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국학적 논의도 간략히 덧붙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통적으로 잔질, 폐질, 독질 등이 사용되었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불구, 폐질, 장애, 장해란 말로 바뀌었다. 옛 의미와는 다른 의미의 용어가 되었다. 둘째, 발달지체란 용어와 기준은 모두 미국 장애인교육법에서 왔다. 시행규정에서 제외한 부분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취학 유예의 사유와도 구분되어야 한다. 셋째, 지적장애란 용어와 정의는 모두 미국 장애인교육법과 거의 같다. 발달기 요건에 대한 기준은 제시해야 한다. 넷째, 학습장애는 용어와 정의 모두 미국 장애인교육법보다 전국학습장애연합위원회의 정의를 기초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정서․행동장애는 명칭은 행동장애아동평의회의 제안에서, 기준은 미국 장애인교육법에서 왔다. 정서장애 또는 행동장애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결론: 장애란 유개념의 정의를 채택함으로써 개념체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장애 넷의 공통 사항은 통일할 필요가 있고, 발달 지체의 현저함 정도(발달지체), 지적기능과 적응행동의 어려움 정도(지적장애), 학습기능과 학업성취의 곤란 정도(학습장애), 현저함의 정도와 지속기간(정서장애)은 객관적인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조기발견과 진단․평가의 영역은 각각의 장애에 알맞은 측정도구에 대해 일정 조건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특수교육대상자의 범위를 특정하는 일은 특수교육 일선 현장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기에, 이상에서 밝힌 문제점은 해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학문공동체의 적극적인 논쟁이 필요하고 그 결과를 법률에 담아야 한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장애 외의 장애에 대해서도 용어와 정의의 적정성을 연구해야 하고, 장애에 대한 국학적 논의도 필요하다.

      • KCI등재

        독일 특수교육 교육과정 각론과 학교교육과정 지원방안의 특징 및 시사점-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를 중심으로

        이숙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총 Vol.39 No.4

        연구목적: 독일 연방주에서 특수교육 관련 학교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지원하는 교육과정과 기타 지원방안을 분석하여 특성을 탐색하고 국내 특수교육 학교교육과정 운영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원 방향에 대한 함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독일 연방주 차원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각론의 내용체계, 학교교육과정 지원방안 나아가 교과협의회의 과제와 협력 방식에 대해 분석,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독일과 NRW주 각종 공식 교육과정 및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문헌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NRW주 특수교육 교육과정 각론의 내용체계와 학교교육과정 지원 자료인 ‘수업계획’ 문서는 교육과정 재구성 차원에서 분석하여 구성적 특징을 고찰하였고, 실제 학교 교육과정 현황 파악을 위해 관계자와 면담 및 이메일 서신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각론 내용체계는 목표역량을 기반으로 교과간 및 교과내 연계에 중점을 두었으며,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학생을 고려하여 일반학교 초중등 교육과정과의 연계방안도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교육과정 지원을 위한 ‘수업계획’ 자료에서는 2개 과목(국어, 수학)에서 학년별로 교과 영역을 통합한 통합주제를 세부적으로 구성, 제시하였으며, 통합주제 내에서 생활기능 교과와의 연계방안도 제시하였다. 나아가 학교교육과정 구성 양식을 개발하여 교육과정 재구성 작업의 통일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다. 셋째, 독일의 경우 교과협의회의 구성과 과제를 학교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민주적 절차에 의거한 분업과 협력방식, 의사결정을 통해 모든 구성원이 수용할 수 있는 학교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함을 알 수 있다. 결론: 학교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구성 방향 및 시도교육청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iculum and other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German federal stat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explored their characteristics, and consider th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Methods: The content system of the NRW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lesson plan’ document, a type of curriculum support material, were analyzed using a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and email correspondence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the school curriculum in terms of curriculum reform. Results: First, the content system focused on inter- and intra-curricular linkages based on competency standards, and proposed linkages with gener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a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placed in an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e ‘lesson plan’ materials for curriculum support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in detail and integrated themes that integrate subject areas by grade level in two subjects (German and Mathematics), and also presented linkages with life skills subjects within the integrated themes. In addition, a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form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unity and efficiency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Third, in Germany, the school law stipulates the composition and tasks of the TLC,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seek to organize a school curriculum that is acceptable to all members through division of labor, cooperation, and decision-making based on democratic procedures. Conclusion: This paper discusse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at the local level and systematic support for school curriculum and curriculum re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