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동료가 판단하는 장애인의 직업적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

        나용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4

        연구문제: 이 연구는 직장동료가 판단하는 장애인의 직업적 성공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장애인과 함께 일하는 직장동료1,0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사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성, 장애유형, 장애정도 및 직업군에 따른 직장동료가 판단하는 장애인의 직업적 성공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본 결과 주효과는 성, 장애유형, 장애정도 및 직업군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효과는 장애유형과 성,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장애유형과 직업군, 장애정도와 직업군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시사점: 직업교육과정 등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직무배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Job Success Factors that are judged bya coworker. The research problems for meeting this purpose are as follows; what is themain e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 that the types of disability, gender, degree of disabilityand the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have on job success factors and sub-elements ofdisability?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1,029 coworkers who were working withvisually impaired, hearing impairment, physical disabilities and mental retardation who werekeeping working more than three months were selected and job success factors wereexamined. People with disabilities work more than three months, and the factors which ledsuccess on the job were also examin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e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on the job success factors and sub-element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conducted. In this analysis, gender, types of disability,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we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Also, jobsuccess factors wer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as a study for researchingdisabilities’ job success factors judged by coworkers expects the following significance. Conclusio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n institution where a job training is carriedout with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for job success. Also, they will be used as evidencewhen the job training plan is established, and the curriculum is designed. In supportactivities factor, unskilled workers and office workers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and skilled workers and assembling equipment and machine followed them.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와의 관계

        나용기,김기룡,김삼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skills in high school enrolled third grade students or majoring cours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elfesteem scale and job readiness scale of 198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as examined. First,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skills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ender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elf-esteem subfactors, as social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placement environment, as job readiness skills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ademic self-esteem and all sub-factors of job readiness skil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degree of disability. Second,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skill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e result of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bout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skills was that academic and social self-esteem among self-esteem sub-factors were best predictable variables daily living skills, social skills and job skills among the job readiness skills sub-factors. This study offer eviden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to find the predictable variables of job readiness, and to apply job planning.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및 전공과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직업준 비도 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는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배치환경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의 경우 사회적 자아존 중감과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업준비도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공과, 특수학교, 특수학급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 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의 경우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직업준비도의 경우 모든 하위 요인 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 중 학업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 감이 직업준비도 중 일상생활기술, 사회기술, 작업기술 요인들을 가장 잘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취업직전의 정신지체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와의 관계를 탐색하 고 예측변인을 밝혀 직업교육계획을 작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3학년 및 전공과 재학 정신지체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적응행동과의 관계

        나용기,김기룡,김삼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3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및 전공과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적응행동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직업준비도 검사와 적응행동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준비기술과 적 응행동과는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독립기능, 경 제활동, 언어발달 및 책임이 직업준비도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준비도의 인지기술 요인은 적응행동의 경제활동 요인 및 언어발달 요인과 상관이 높고, 작업기술 요인은 적응행동의 자기관리 요인과 책임 요인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 신지체 학생의 성, 배치환경, 장애정도에 따라 적응행동의 하위요인은 직업준비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취업직전의 정신지체학생들의 직업준비도에 미치 는 적응행동의 하위요인을 탐색하고 직업교육계획을 작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Job Readiness Skills in high school enrolled third grade students or majoring cours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Adaptive Behavior Scale and Job Readiness Scale of 198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as examined. The research was based on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ive Behavior sub-factors and Job Readiness Skills sub-factors are as follows. Job Readiness Skill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Adaptive Behavior sub-factors such as Economic Activity, Language Development, Responsibility, Independent Function, Self-direction, Socialization, and Prevocational/Vocational Activity. Second, the effect of gender, deployment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for each sub-factor in Adaptive Behavior on Job Readiness Skills were as follows. Males tend to rely on Language Development factors, Responsibility factors, Economic Activity factors, and Numbers and Time factors in order to affect Job Readiness Skills. Depending on the deployment environment, in the case of special class, Job readiness skills is affected by Numbers and Time factors, and Self-direction factors, In the case of special schools, it is affected by Responsibility factors, and Numbers and Time factors, In the case of majoring course, Economic Activity factors influence Job Readiness Skill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sability,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Economic Activity factors, Numbers and Time factors influence Job Readiness Skills. In studen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Language Development factors influence Job Readiness Skills.

      • KCI등재

        최근 국내 뇌성마비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의 경향 분석

        나용기,박은송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intervention researches in Korea by synthesizing findings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51 studies registered in Korea journals were examin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rvention condition were mostly two or three, who were subjected in the type of rigid form. Most of interventions were examined in setting of the school classroom. Second, most of studies were implemented with single group pre-post design and direct observation. Third, most of studies were examined about physical-exercise, while some of studies about psychology-learning, language communication, daily life and epilepsy. Fourth, each of intervention effect was verified by p-value under quantitative researches, qualitative evaluation standard under qualitative researches. Lastly, a proposal for following studies on the cerebral palsy was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 논문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하고, 이후 연구를 위한 시사를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51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여 연구의 일반 경향과 연구 설계, 중재 주제, 중재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재에 참여한 학생은 2∼3명이 많았고 경직형 유형의 학생이 많았다. 중재 환경은 특수학교교실에서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된 설계방법은 단일집단사전사후설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자료 수집 방법으로 관찰을 통한 자료수집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신체-운동에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심리-학습, 언어-의사소통, 일상생활, 간질에 관한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에 적용된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양적연구의 경우 유의수준으로, 질적연구의 경우는 질적평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뇌성마비 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나용기,김삼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2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job readiness skills,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160 students who are in third grade in special classroom of special school and who acquired a job after graduating from majoring course was researched. In order to do this, self-esteem, adaptive behavio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readiness skills were measured. As a manner of data processing,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job readiness skills,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self-esteem in a sense of correlation among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readiness skills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 effect of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job readiness skills, only adaptive behavior had a meaningful effect. The effects that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ve on sub-factors of job readiness skill are as follows. Daily living factors of readiness skills were affected by self-esteem and adaptive behavior. Also, The recognition skills and work skills of job readiness skills were influenced by adaptive behavior. In addition, job conscience of job readiness skills are affected by adaptive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in searching relationships among job readiness skills,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mental retardation student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majoring course and acquired a job, and in designing a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특수학교·특수학급 3학년 및 전공과 재학생 중 현재 직업생활을 하고 있는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06명의 정신지체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적응행동, 진로자기효능감 및 직업준비도를 측정하여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과 직업준비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적응행동과 직업준비도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있고, 적응행동과 자아존중감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세 요인들 중 적응행동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의 하위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준비도의 일상생활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적응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준비도의 인지기술요인과 작업기술요인은 적응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준비도의 직업의식은 적응행동과 진로자기효능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전공과 학생의 진로와 직업 교육과 정을 구성하거나 전환교육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제1부: 학술논문 : 직장동료가 인식하는 장애인의 직업성공 준거 문항 개발 및 타당화

        나용기 ( Yonggi Na ),김삼섭 ( Samsup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3

        이 연구에서는 직장동료가 인식하는 장애인의 직업성공 준거 문항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예비조사를 통해 장애인의 직업성공 준거의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직장동료 11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제거시 문항내적 합치도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7개 요인의 63개 문항으로 구성된 직장동료가 인식하는 장애인의 직업성공 준거를 개발하였다. 문항은 근무태도 요인 3개문항, 생산성 요인 7문항, 안전생활 요인 3문항, 업무적응기술 요인 17문항, 사회기술 요인 12문항, 자기관리 요인 10문항, 지원활동 요인 11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 함의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study for developing job success facto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ought by co-workers, is to validate preliminary criterion of job success factors through a preliminary examination. For th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113 Co-work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criterion, which consist of 63 items of 7 factors, of job succ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ought by co-workers were developed. For this, an item internal consistency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e found out that job success Facto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ought by Co-workers consist of 3 items of Working attitude factor, 7 items of production factor, 3 items of Safe factor, 17 items of Adapt working factor, 12 items of social factor, 10 items of Self-management factor, 11 items of Support activities factor. Lastly,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나용기 ( Yong Gi Na ),김기룡 ( Ki Ryong Kim ),강우정 ( Woo Jeong Kang ),김삼섭 ( Sam Sup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이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관련 연구 162편 중 실험연구 및 메타분석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하는 30편을 선정하여 자아 개념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크기를 Hedges’g 값 및 랜덤모형과 고정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효과크기의 표본 수는 75세트였으며, 각 효과크기는 서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랜덤모형을 사용하여 전체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자아개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1.796으로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학습장애 학생을 위해 실시되는 자아개념 프로그램들이 실제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유형, 연구 참여자의 학교급 및 학교유형, 자아개념 측정도구, 측정도구의 하위영역, 연구설계방법 및 실험기간 등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역시 .8 이상의 높은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자아개념이 낮다고 보고되고 있는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연구와 프로그램 실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about program to improve self-concept, includ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by Meta-analysis. 75 cases from 30 studies on self-concept was extracted and conducted to examine effect size(Hedges’g) based on Random model.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studies was 1.796, very positive and effective. The results from analysis according to categorical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activity-centered program was higher than that of academy-centered program. Second, the effect size of self-concept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effect size of program in regular class was higer than in special class. Fourth, the effect size of program by self-esteem measurment was higher than by self-concept measurement. Fifth, the effect size of personal section of self-concept’s subcategories was higher than academic section of those. Sixth, the effect size of true experimental design program was higher than quasi-experimental design program. Seventh, the effect size by program period was not clearly different.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suggested more studies on self-concep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uld be accumulated to generalize effects.

      • KCI등재

        낙동강 하류 상수원수의 생물활성탄에 의한 수질개선 및 세균분포 특성

        이상준,박홍기,영신,정종문,류동춘,용기 한국환경과학회 200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0 No.2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Investigation of bacterial characteristics have been conducted in a pilot plant using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in water treatment process at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Most of water control parameters were highly improved after passing through BAC. Approximately 54% of dissolved organic carbon was removed in coal-based BAC process. Bacterial biomass and bacterial production appeared 9.8×10 exp (8) CFU/g and 7.l㎎-C/㎥·hr in coal-based BAC, respectively. Predominant bacteria species grown in BAC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Flavobacterium, Alcaligenes, Acinetobacter and Aeromonas species. Particularly Pseudomonas vesicularis was dominant in both coal-based and coconut-based BACs, while Pseudomonas cepacia was dominant in wood-based BAC.

      • KCI등재

        Supply Contract Intelligence

        Yonghwi Noh(노용휘),Donghyun Choi(최동현),Jin Sung Rha(진성),Yongkee Suh(서용기)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지능정보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재고 과부족 경험을 주문에 반영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행동적 경향이 공급사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소매점 몇 곳의 경영자와의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 다이나믹스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급사슬 전체 이익, 판매자 이익, 구매자 이익, 주문량, 판매량, 재고초과, 재고부족 등 다양한 공급사슬 성과 변수에 대한 분석 결과 서로 다른 공급 계약은 서로 다른 공급사슬의 성과를 가져왔다. 또한, 구매자의 행동적 요소는 공급계약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공급계약은 공급사슬 참여자들의 행동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수립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ehavioral factors (buyer’s tendency to reflect stockout and overstock experiences in ordering decision) on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This study employs system dynamic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se behavioral factors derived from the interview with several representatives of retailer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different contract can bring different performance (total profit, seller’s profit, buyer’s profit, order quantity, sales quantity, overstock, and stockout).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se behavioral factors play a significantly influential role in the performance of supply contract. These results imply that supply contrac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behavioral factors of supply chain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