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도자공예 용어의 번역양상과 전문용어로서의 적합성

        김현아 ( Kim Hyuna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2 No.-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출간된 도록을 분석해본 결과 한국어 도자공예 용어 301개(type)에 대응하는 번역어는 410개(type)였다. 원천어 1개당 1.36개의 번역어가 존재하는 셈으로 전문용어의 일대 일 요건이 지켜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 도자공예 용어의 13.95%는 번역되지 않았는데 미번역 용어들은 한국어로도 개념파악이 쉽지 않은 것들이었다. 도자공예 용어의 6가지 번역유형 가운데 글자 뜻을 그대로 옮긴 ≪문자 의미역≫이 82.20%로 압도적이었다. 이것은 한국어 도자공예 용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어휘로 이루어져있고 개념을 명확히 전달할 때 목표어로의 번역 역시 수월함을 뜻한다. 도자공예 용어처럼 개념을 전달해야 하는 전문용어의 경우 의미파악이 불가능한 ≪음역≫은 지양해야 하며, 관람객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도자공예 용어의 뜻을 풀어서 번역하거나 원천어에 없는 정보를 추가로 삽입하여 의미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도자공예 용어의 번역어들은 전문용어의 4가지 요건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했다. 한국어 도자공예 용어의 83.58%가 식민지시기 일본에서 유입된 것들이며 제작 원리와 기법에 대한 용어들이 많기 때문에 관련 전문지식 없이는 체계적인 번역이 불가능한 탓이다. 박물관에서의 불평등한 언어 환경은 한국어 이외의 언어 사용자들에게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한하는 차별이 될 수 있다. 한국의 도자공예를 쉽고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그리고 전문용어로서 적합한 형태의 번역어 마련이 시급하다. The results of analyzing workbooks, which published from National Museum of Korea, showed that 301 ceramic technical Korean terms were corresponding to 410 translated terms. Original terms have 1.36 translated terms, so it violates the monosemy in ISO 704. And 13.95% of 301 terms were untranslated, those are hard to understand even in Korean. The patterns of translating technical ceramic terms could be classified as 6 categories, and the direct transl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the original language, which is one of 6 categories, accounts for 82.2% of ceramic technical term translation. It means that Korean technical ceramic terms are made on understandable words, so translation would be also easy if delivering the concepts of original terms in other language. Transliteration should be avoide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When translating technical terms, we should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details and try to make the meaning of technical term clear by inserting additional information if needed. Current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technical ceramic terms did not meet 4 requirements of technical terms. 83.58% of Korean technical ceramic terms were mad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out technical knowledge, systematic translation was near impossible because those technical terms were related to the principle and techniques of making ceramics. The unfair linguistic circumstance for non-koreans could be a kind of discrimination by limiting the opportunity of enjoying culture, so we should develop the appropriate translation of technical terms in order to enhancing museum visitors` understanding.

      • KCI등재

        고려시대 瓷器盤口長頸甁의 소비성격과 조형변천

        김현아(Kim Hyun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8 美術史學 Vol.22 No.-

        자기반구장경병은 고려자기를 대표하는 기종 중 하나로 언급될 만큼 현존하는 유물의 수가 상당하다. 그러나 편년자료가 드물고 문헌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며 良質보다는 粗質이 많아 지금까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해왔다. 여기에 더해 盤形 구연의 병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하는 명칭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는 ‘廣口甁’과 ‘盤口甁’이 혼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 중‘광구’는 단순히 구연이 넓다는 뜻으로 이 용어만으로는 구연의 형태를 설명하기에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구연이 소반처럼 옆으로 벌어지다가 꺾여 올라간다는, 외형적인 특징을 잘 드러내 주는 ‘盤口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자기질의 盤口長頸甁은 강진 용운리, 부안 유천리, 대전 구완동, 용인 보정리 등 남부지역 토축요에서 화형발, 한국식 해무리굽완 등과 함께 출토된다. 그래서 벽돌 가마 출토품들과는 달리 도기적인 造形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우선 자기질임에도 불구하고 扁甁이 확인되며 早期 기형의 경우에는 陶器印花文盤口長頸甁에서 보이는 卵形 동체로 제작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구연부에 시문된 돌대장식, 사선으로 벌어지는 높은 다리굽, 경부와 동체를 따로 만들어 부착하는 성형방법 등은 통일신라시대 도기병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고려시대 여러 소비유적 중 자기반구장경병은 고분에 집중되어 있다. 산성이나 사찰, 건물지 등에서도 발견되기는 하나, 이들은 대부분 자기질이 아닌 도기질이며 도기질의 반구병 중에서도 短頸扁甁이 다수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생활용기로서의 사용유무를 차지하고, 기물이 발견되는 출토지의 성격으로 볼 때 자기반구장경병은 부장ㆍ의례를 목적으로 생산ㆍ소비된 기물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자기반구장경병이 가지고 있는 부장품으로써의 중요성은 고려시대 묘제변화와 긴밀히 연결된다. 묘제에 대한 규제가 엄격했던 고려 전반기에는 병류1점과 완ㆍ발ㆍ접시 등의 소형 기물이 1점씩 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회의 혼란과 더불어 묘제의 규제가 약화되자, 고려 중기부터는 토광묘가 확대되고 부장유물의 종류와 개체량 또한 증가한다. 이와 같은 고분문화의 보편화는 자기반구장경병의 생산과 소비를 촉진시켰고, 이로 인하여 고려 중기 이후에는 병의 제작량 증가와 함께 質도 떨어지게 된다. 결국 자기반구장경병의 조질화는 부장문화의 확대, 토광묘의 증가 그리고 이에 따른 부장유물의 소비증대에 기인한 사회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자기반구장경병의 활발한 소비는 해저 인양유물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대접이나 접시 등과 같은 소형기에 비해서는 많지 않으나, 출토ㆍ전세된 병의 개체량이 상당하고 서로 다른 지역에서도 동일지역 생산품으로 추정되는 자기반구장경병들이 발견되고 있어 해로를 통해 전국 각지로 운반ㆍ유통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기반구장경병에 有文의 비율(47.27%)이 높다는 점 또한 주목된다. 특히이 중에서도 철화문이 두드러지는데(有文 병의 62.80%), 철화문은 시문되는 기종에 제한이 있고 고분뿐만 아니라 제사유적에서도 확인되어 의기적인 성격이 강한 장식기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철화문의 이러한 특이성은 자기반구장경병의 역할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자기반구장경병은 기형과 문양, 공반유물의 양상 등을 근거로 크게 4期(Ⅰ기~Ⅳ기)로 형식 분류된다. 고려 전반기에 만들어진 병은 대체로 어깨의 벌어짐이 크고 다리굽이 붙어 있으나, 고려 중기 이후 점차 평저가 증가하고 어깨를 깎음 정면하거나 저부를 외반 시키는 등 기형이 다양해진다. 또한 Ⅰ기에는 자기반구장경병이 고분출토 병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점차매병?유병 등을 함께 이용하게 되었고 결국 Ⅳ기에 이르면 자기반구장경병이 감소하는 대신 외반구연의 병이 다량 생산되게 된다. 이렇게 반구장경병은 부장품으로서의 역할을 외반구연병에게 내어주면서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자기반구장경병이 언제까지 만들어졌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분청자에서 보이는 상감문양이 자기반구장경병에는 나타나지 않고, 고려 말기 고분에서 발견되는 병이 대부분 외반구연의 것임을 생각해 볼 때 14세기 중후반 이후에는 생산이 중단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다. Bangujangkeng Bottle appeared along with Haemurigup Bowl around the mid to late 11th Century in the clay-built kiln of southern province. For that reason, Bangujangkeng Bottle contains earthenware components such as Doldae decoration, diagonally-spreading high foot, and flattened side although it is a chinaware. Its form varies along different eras. Most of the early Goryeo bottles have wide shoulders and attached Dari-gub, but as time period advanced, the shapes were diversified by flat bottom, neat shoulder cut, and the lower part stretched outwards. The changes seen with Bangujangkeng Bottle are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of the ancient tomb culture. During Goryeo Dynasty, the restriction of the grave style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lessened as the society's stability weakened. So a number of the common class adopted the grave style of noble class. As a result, pit tombs and burying supplementary materials became popular. To complement all the demands, Bangujangkeng Bottle was created in the local kilns. And the expanded demands tended to lower the quality. Therefore, Bangujangkeng Bottles with decreased qualities were found in ancient tombs, where they were used as a part of supplementary burial items. High percentage of Bangujangkeng Bottle has patterns, and the fact that underglazed iron painting(cheolwha) takes about 60% of all patterns within Bangujangkeng Bottle should not be overlooked. Iron painting is only decorated on limited kind of chinawares and are found mostly in funeral relics and ancient tombs. Therefore it may have been decorated on Chinaware for ceremonial purposes. Considering the excavated locations and patterns on the vessel, Goryeo Dynasty Bangujangkeng Bottle is created as one of the supplementary burial items for the general population.

      • KCI등재

        연구개발지출의 자본화 기준 개정에 따른 주가의 미래이익에 대한 정보성의 변화

        김현아(Hyuna Kim),조성표(Seong-Pyo Cho)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經營硏究 Vol.27 No.4

        자본시장에서 주가수익률이 당기 및 미래 이익을 반영하는 정도를 주가의 정보성(informativeness)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지출의 자본화에 따라, 주가의 정보성이 높아지는지, 그리고 이 정보성이 1998년도 자본화 기준의 개정 이후에 더욱 강화되는지의 여부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개발지출의 자본화에 따른 기업성과의 정보가 몇 년까지 주가수익률에 반영되는지를 알아보았다. 1994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지출에 선택적 자본화방법을 사용하여 회계 처리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내생성으로 인한 선택적 편의를 줄이기 위하여 Heckman의 2단계 접근법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주가 수익률은 차기 1년의 미래이익에 관한 정보를 당기주가수익률에 미리 반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차기 2년의 미래이익에 관한 정보는 기업이 연구개발지출을 자본화하였을 때, 당기주가수익률에 반영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1998년 개정 후에만 나타나, 전체 기간의 결과는 1998년도 개정 후의 기간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개발지출의 자본화 회계처리가 자본시장에 유용한 회계정보로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1998년도 기업회계기준의 개정은 연구개발지출에 대한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제고하는 데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informativeness of stock prices is changed after revision of accounting standards on R&D capitalization. Informativeness of stock price is defined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about future earnings reflected in current stock returns which is captured by the future earning response coefficient(FERC), the association between current-year returns and future earnings. In this study, Heckman selection model was used to control for the endogeneity of the accounting choice called selective capitalization of R&D expenditures. The samples are consisted of 2,765 firm-years between 1994 and 2008. The results show that current-year returns reflect the information about future earnings of next year, but reflect future earnings of second year only when the R&D expenditures are capitalized. We find the evidence only after revision of K-GAAP in 1998, which means that the revision strengths information content of R&D information.

      • KCI등재

        예비부부에 적용된 결혼검진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김현아(Hyuna Kim),박우철(Woochul Park) 한국가족치료학회 2023 가족과 가족치료 Vol.31 No.1

        본 연구는 측정회기와 피드백회기로 구성된 초단기 부부개입인 결혼검진 프로그램을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부부 다섯 쌍을 모집한 후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 간 복수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결혼검진을 실시하였다. 단일대상연구 방법론의 시각적 및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혼검진이 인지적 성과지표(관계이해, 관계향상 방법이해, 상대의 마음 이해), 정서․동기적 성과지표(관계향상자기효능감, 관계향상동기, 커플만족도), 행동적 성과지표(관계적 측면 결혼준비도)에서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적면접을 통해 예비부부들은 결혼검진 참여 과정과 이후의 삶에서 다양한 관계향상을 경험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예비부부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는 현재의 예비부부 대상 개입 방식 및 체계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rriage Checkups (MC) engaged with premarital couples, using a single-case research design. Methods: Five premarital couple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Based on a multiple baseline design, each couple participated in MC at different time points. 1) Cognitive, 2) emotional, motivational, and 3) behavioral outcome indices were measured multiple tim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marriage checkup significantly improved 1) cognitiv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understanding of how to improve relationship, and understanding of partner’s mind); 2) emotional, motivational (self-efficacy in relationship improvement, motivation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couple satisfaction), and 3) behavioral outcomes (preparation for marriage in relational aspects). Couples repor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MC.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C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remarital couples. MC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sion of public services helping premarital couples.

      • KCI등재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에 적용한 마사지 및 족욕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김현아 ( Hyuna Kim ),임경희 ( Kyunghee Lim ),김가은 ( Gaeun K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에 적용한 마사지 및 족욕 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문헌고찰하고 메타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2022년 9월 28일까지 출판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전자데이터베이스로 검색한 후 PRISMA 보고지침에 따라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효과크기는 Review Manager 5.4 version 프로그램으로 메타분석 하였으며, Cochrane’s risk of bias(RoB 2)로 문헌의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다. 연구 내용: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에 적용한 마사지 및 족욕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는 총 1,153편의 문헌에서 4편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에 적용된 마사지 중재의 효과 크기는 -0.75(95% CI: -1.23~-0.27)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포함된 연구수가 적었지만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의 마사지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ssage and foot bath in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As a research metho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used,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ublished by Sept. 28, 2022 were searched 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PRISMA reporting guidelines. The comprehensive effect size was analyzed with the Review Manager version 5.4 program, and the risk of bias (RoB 2) was evaluate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massage and foot bath applied to CIPN. As a result, 4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out of a total of 1,153 studies, and the effect size of massage applied to CIPN was -0.75 (95% CI: -1.23 to -0.27),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number of studies included in this study was small, the effectiveness of massage intervention in CIPN was verified, providing future clinical evidence.

      • 잡지 《포름》의 한국디자인사적 가치

        김현아(Kim Hyuna),안병학(Ahn Byunghak)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잡지 《포름》의 발행 전후 디자인을 둘러싼 시대 상황과 《포름》의 편집기조, 체제, 내용, 디자인을 검토하여 잡지의 성격과 활동을 살피고 1980년대를 여는 시점에서 《포름》이라는 매체가 한국 디자인과 관련하여 어떤 문제들에 주목했는지, 그리고 그 의의는 무엇인지를 조명했다. 연구를 위해 《포름》 4호, 7호를 제외한 11권 실물 모두를 구해 분석했다. 편집인 이대일(현 명지대학교 명예 교수) 선생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관련 구술 자료를 확보했고 이를 1970년대와 1980년대 한국 디자인사 관련 단행본, 학위논문 등 문헌 자료와 비교하여 검토했다. 내용 측면에서 《포름》은 디자인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독자가 디자인 개념을 습득하고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했다. 서구의 글과 자료를 번역, 연재했고, 당시 디자인 현장의 상황과 쟁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며 국내 디자인계의 현실을 성찰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비평을 다뤘다. 잡지 디자인 면에서도 잡지에 수록된 디자이너의 철학과 아이디어, 작품, 발언을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지나치게 변화가 심한 편집디자인을 지양하고, 그리드 시스템을 충실히 따랐다. 해외 원작자에게 받은 슬라이드 필름 원본을 사용해 선명하고 품질 좋은 원색 화보를 다뤘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 통권 13호가 발간된 디자인 전문지 《포름》은 다양한 해외 디자인 작품과 이론 소개, 1970–1980년대 디자인계의 상황 소개, 이를 둘러싼 문제 제기,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와 비평을 선보였다. 무엇보다 디자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근원적 질문을 쫓았다. 이 연구는 디자인에 대한 문제제기와 담론이 산업화와 경제적 부흥의 뒤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1980년대 초 디자인을 둘러싼 활발한 자기반성의 논의가 오고 갔음을 잡지 《포름》을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미시적인 과거 사건을 발굴,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디자인 현장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읽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기록되지 않은 실재했던 디자인 관련 사건을 사료화 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reviewed the situations of the times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Form as well as its editorial system, content, and desig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the magazine. It also shed light on which issues Form paid attention to regarding Korean design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and what its significance was. For the study, researchers obtained all the original versions of 11 volumes (excluding Form no. 4 and no. 7) for analysis. In addition, oral data was obtain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magazine’s editor from the time, Lee Daeil (now an honorary professor at Myongji University).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relevant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books and theses on Korean design history of the 1970s and 1980s. In terms of content, Form asked fundamental questions about design, offering readers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acquire and explore design concepts. In the 1980s, the magazine dealt with issues by serially translating Western writings and materials, and introduced design scenes from the time in various ways, trying to reflect upon the reality of design in Korea. It also dealt with criticism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magazine design, Form avoided applying very decorative, different editorial designs to different articles or issues of the magazine. Instead, they faithfully followed a certain grid system to deliver designers’ philosophy, ideas, works, and remarks to readers without distortion. It used the original slide films from foreign creators and dealt with clear, high-quality color illustrations. The design magazine Form published a total of 13 issues from 1980 to 1982, introduced many foreign design works and theories as well as the situations of the design community in the 1970s and 1980s, raised issues surrounding them, and presented discussions and criticism about them. Most of all, the magazine pursued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design is.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discovering that the lively self-reflective discussions surrounding design were conducted in the early 1980s, when the issues of design and discourse were forced to take a back seat to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revival.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cavated and recorded microscopic events from the past, providing the basis to figure out design scenes from a time in the overall historical flow. The researchers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ata collection of numerous design materials that have been forgotten over time, but have existed as a chapter in the history of Korean design.

      • KCI등재

        로봇분야 국내 표준화 활동 현황

        김현아(Hyuna Kim),문승빈(Seungbin Moon),양동원(Dongwon Yang) 표준인증안전학회 2012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2 No.2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발전하고 있는 로봇 분야의 국내 표준화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로봇분야 국내 표준화 활동의 . 대표적인 기구는 2005년에 설립된 “지능형로봇 표준 포럼”으로, 이를 통하여 산학연이 중심이 되어 포럼 표준(KOROS 표준)을 개발하여 오고 있다. 현재 약 80여건의 표준을 제정한 바 있으며, 이중에서 15건은 KS 국가 표준으로 제정된 바 있다. 또한, 이러한 표준 활동을 바탕으로 2009년부터는 품질인증 제도와 연계하여, 지능형로봇 품질인증 제도를 또한 운영하고 있다. 현재 청소로봇 및 교구로봇에 대한 인증이 진행중이며, 향후에 교육보조로봇, 안내로봇, 오락로봇 등의 인증을 준비중에 있다. 특히, 청소로봇 인증의 결과로 국내 청소로봇 제품이 세계시장에서 가장 앞선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 KCI등재

        다문화상담자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현아(Hyuna Kim),이자영(Ja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본 연구는 현재 다문화상담지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다문화상담자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다문화 현장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박사 2인과 석사1인이 실시하였으며, 외부 다문화 전문가 1인에게 검수를 받았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자료 분석 결과 5개의 범주의 13개 하위영역 4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5개의 각 범주는 다문화상담의 문제점, 효과적인 다문화상담전략, 필요한 다문화적 지식 요소, 다문화적 태도와 인식을 갖춘 상담자 자질, 효과적인 다문화상담의 교육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연구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blems of a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as a support for the families in order to suggest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for counselor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used interviews of three focus-groups consisting of 11 experts each other, and then the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by two doctors and one master and investigated by a multi-cultural counselor. As a result, 5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46 definitions were identified. Each five categories wer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effective multi-cultural counseling skill, the qualities of a counselor with multi-cultural attitude and recognition, multi-cultural knowledge factor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t last, implications, practical us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한국어에서 이중 접근성과 확장된 현재 시점

        김현아 ( Hyuna B. Kim ) 한말연구학회 2012 한말연구 Vol.- No.31

        본고는 영어의 내포문 시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이중시점 접근성이 한국어나 일본어에서도 발견되는가의 문제를 다루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본 현상에 복잡하게 얽힌 요소들을 제거하여 혼란을 없애고 논의의 기반을 닦아, 본고에서는 한국어에 나타나는 이중시점접근 효과가 의미론적 현상이 아닌 화용론적 현상임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일본어에서 나타나는 이중시점 접근 효과를 시제 이동이라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다룬 Ogihara(1996)의 설명의 한계를 보이고, 강화(strengthening)와 확장된 현재시점(extended now)의 개념을 활용하여 이중시점 접근 효과를 설명하는 것이 더 이점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ccount for double accessibility effects found in Korean. Clearing out the interfering factors entangled in the phenomenon, it claims that Korean does not have a double access reading in a semantic sense, unlike English, but double accessibility effects arise as a result of pragmatic repair which is employed in order to interpret a focused indexical element causing a conflict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The advantages of the pragmatic analysis defended in this paper over the movement based analyses out in the literature will be shown in deta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