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南宋代 性理學者들의 宗敎 改革

        김한신(Kim, Han-Shin)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본 연구는 남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던 민간신앙 개혁과 선현사 제사 개혁이라는 두 가지 움직임 사이의 기존에 인식되지 못하였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여, 두 가지 움직임이 남송대 향촌사회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일관되게 유교화시키고자 하였던 일종의 유교적 종교개혁의 일환으로서 진행되고 있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의해 지역중심주의적인 태도를 강하게 표출하게 되었던 주희를 비롯한 남송대 성리학자들은 기층사회의 민간신앙에 대해서 유교적 가치를 기준으로 개혁하고자 하였고, 더 나아가 성리학적 가치에 부합되는 인물들의 영혼을 선현사에 안치시킴으로서 새로운 숭배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주희를 비롯한 성리학자들은 그 지역사회에 유교적 가치를 확산시키고자 하였다. 비록 민간신앙에 대한 개혁은 지역의 일반대중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던 반면에 선현사의 확산은 주로 지역 사인들을 대상으로 유교적 士風의 진작이라는 측면에서 분명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지만, 이 두 가지 움직임은 당시 그들이 지역사회에서 추진하고 있었던 전면적인 유교적 개혁의 종교적 측면으로서 종교적 환경의 개선 즉 종교적 개혁이었다는 점에서 일관된 특성을 갖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북송대 신법당에 의해서 추진되었던 민간신앙 개혁에 대해서 남송대 성리학자들은 그것이 지역사회의 종교적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지역사회의 종교적 관습을 유교적 가치에 따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교적 소양을 갖춘 지역 사인들이 민간신앙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그것에서 더 나아가 성리학적 가치를 구현하였던 지역의 인물들을 보다 이상적인 숭배의 대상으로서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유교화를 더욱 강화할 수 있었다. 새롭게 중화문명의 일원이 된 지역에 대한 상징적 조치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공자묘 즉 文廟가 건설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남송대 성리학자들은 민간신앙에 대한 개혁과 더불어 성리학적 가치에 부합하는 인물을 새롭게 숭배의 대상으로 하는 先賢祠를 확산시킴으로서 관습적 질서가 지배하고 있었던 지역사회를 유교화 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1127-1279), the Daoxue(or Cheng-Zhu School) literati who had met with serious political persecution since they failed in the political struggles began to be concerned with the local communities. Actually, since they could not go into the government office, they should establish their foundation in the local communities. On the contrary to the Northern Song Reformers’ state-centered argument, the Daoxue literarti argued that the reform must be carryed out by the Daoxue oriented intellectuals in the local society. The Southern Song Daoxue literati who were inspired by the local centered ideas desired to spread the Confucian values in the local communities by reforming the local religious cults and building up the temple of local worthies. First of all, they involved themselves in the local religious cults through writing prayers to the local deities or temple inscriptions, which stressed the Confucian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daoxue literati had strong urges to enshrine the local worthies, who deserved to be worshipped according to their Confucian principles, in the official temple. The impact of the religious reforms by the Doxue literati on the local religious environment had been relatively limited until the late Southern Song. However, their reformation spirits enormously influenced their later generations when the Daoxue values were promoted to the State Ideology.

      • KCI등재

        과학관 과학 논증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글쓰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신 ( Shin Han ),중한 ( Junghan Kim ),형범 ( Hyoungbum Kim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0 생물교육 Vol.4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6 weeks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ience Experiment Class” program at ‘S Science Museum’ in Seoul. Through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ir argument elements and types of argument structures changed,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 of this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tinuous argumentative writing activity and feedback varied the argument elements used by the student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rgumentation activities. Second, the “claim type” and “reason type” decreased, and the “acknowledgment type” and “rebutted type” increased. This shows that the ability to actively utilize objective fact information is improved. Third, as a result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cientific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continuous writing, and feedback.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cognition of these students not only develops the type of argumentation structure but also enriches the argument elements and allows them to be used in various ways.

      • KCI등재

        南宋代 眞德秀의 民間信仰에 대한 새로운 인식

        김한신(Kim, Han-Shin) 역사학회 2014 역사학보 Vol.0 No.221

        The Daoxue literati of the Southern Song argued an autonomous rule over the local communit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onfucianism-oriented literati. Since they thought that the popular religious cults were not only the focal points of the local communities but also valuable methods for enlightening the ordinary people, they actively involved themselves in the popular worship. The unprecedented increase of the written prayers and the stele inscriptions for the local cult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in particular, obviously verifies the Daoxue literati’s act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y not only acknowledged the possibility of the worshiper’s communion with the spiritual beings but also tried to explain it through their theory of principle (li 理) and vital force (qi 氣). However, in terms of the social unrest that used to be caused by the popular worshipers’ enthusiastic participation in the popular religious practices like the temple festivals, they harshly criticized it also. Due to the Daoxue literati’s local activism, therefore, the popular religious cults became one of the biggest concerns for them. Consequently, the Southern Song thinkers chose the direct and practical approaches toward the popular religious cults to attain the goals of their local activism within each local community.

      • 중국(中國) 민간(民間) 불교결사(佛敎結社) 형성의 역사적(歷史的) 배경 고찰

        김한신 ( Kim Han-sh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중국 향촌사회의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 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다양한 명칭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 고유의 행사인 齋會와 중국의 전통적인 관습질서인 春秋二社의 社를 매개로 하여 형성되었다. 대단히 이질적인 성격의 두 요소들이 결합된 형태로 등장하게 되는 민간 불교결사는 당대에 이르러 국가권력의 통제 대상으로 주목될 정도로 크게 성장하였다. 당왕조는 처음에는 민간 결사에 대해서 금지시키려고 하였으나 이후 점차 향촌지배를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송대에 접어들어 민간의 불교결사는 더욱 크게 확산되었고, 이는 송왕조의 종교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교단불교에 대한 당왕조 시기의 간헐적인 탄압과는 달리 송왕조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통제정책 즉 승려에 대한 도첩의 발행과 불교 사찰에 대한 사액을 통해서 단불교를 적극적으로 통제하였다. 송왕조의 불교 통제 정책으로 인하여 교단불교는 그 교세가 정체 내지는 축소된 반면에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당시 상업의 발전으로 인한 기층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크게 활성화되었다. 주로 조상기나 몇몇 중요한 승려들에 대한 기록들을 통해서 부분적인 모습만 알 수 있었던 민간불교결사는 송대에 이르러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송조정은 민간불교 결사에 대해서 그 탈법적인 측면을 경계하고 있었지만, 『夷堅志』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자료들은 민간불교결사가 일반대중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전해주고 있다. 특히 송대에 이르면 이전에 비해서 규모가 크게 확대된 형태의 민간결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국가권력은 이러한 대규모 민간결사의 위험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면서 통제하려고 노력하였다. 비록 중국의 민간불교결사는 전통적인 시각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이는 국가권력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다. 반면에 여러 다른 사료들을 통해서 볼 때, 그 실제적인 모습은 상당히 평화로운 종교적 모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중국 향촌 사회의 관습적인 질서 속에 강력한 기반을 갖고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국가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통제 속에서도 더욱 크게 번성하였던 것이다. The lay Buddhist societies in Chinese local communities are originated both from the traditional Buddhist rituals like upavasatha(齋會) and from the traditional folk religious practices like the spring and autumn festivals(春秋二社). The lay societies of Buddhism had been formed even when the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China. However, they had been clearly show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since the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The lay societies gathered to have religious events such as chanting Buddhist prayers or presenting offerings to Buddha. In addition, they sometimes raised funds for building the Buddhist Statues or inscribing Buddhist texts on the stone stele. In the early period of the history of the Buddhist societies, most of them were led and assembled by Buddhist monks or Buddhist monasteries. However, the societies led mostly by lay people began to be overwhelmed from the Tang period. When the Great Anti-Buddhist Persecution of Huichang(會昌廢佛)(845) occurred, the institutional Buddhism(敎團佛敎) took the brunt of sharp decrease of Buddhist clergies and temples, while the lay socie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were scarcely affected and even became more prosperous. Song dynasty aimed to fully control the Buddhism through bestowing the official plaques or issuing the identification cards of monks which is official permit to become a monk (nun) and join a monastery. As a result, the monasteries and monks of the institutional Buddhism were systematically controlled. At that time, however, since the lay people enthusiastically involved themselves in the Buddhist ritual practices, the lay Buddhist societies could attract a large amount of believers and grow up to be major religious groups. The Chinese Dynasties had conventionally taken a stand against the popular religious assemblies like the lay Buddhist societies. However, the lay Buddhist societies had actually been neither the rebellious secret societies nor the licentious assemblies. In addition, they had peacefully coexisted with the state power at all times. Although the state power had assailed the lay Buddhist societies with a negative stereotyping of the societies, we need to take a true perspective on them beyond the face valu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which were mainly written with conventional perspectives.

      • 류성룡의 송대(宋代) 대외관계 인식과 「북변헌책의(北變獻策議)」 건의

        김한신 ( Kim Han-shin ) 서애학회 2020 서애연구 Vol.2 No.-

        류성룡은 긴 시간 동안 국가와 ‘외이(外夷)’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역사에 관심을 두었다. ‘외이’가 일으키는 외침이 그 국가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며, 그 전형적인 사례가 송대(宋代)의 대외관계사였다. 류성룡의 당대를 전후로 조선의 지식인은 송이라는 국가가 지닌 상징성을 중시하고 있었다. 송과 ‘외이’와의 관계는 곧 ‘화(華)’와 ‘이(夷)’가 극명하게 대조되는 양상을 보여주며, ‘화’의 보전을 위해 ‘이’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관한 감계(鑑戒)였다. 류성룡이 「독사려측(讀史蠡測)」을 저술한 취지도 당대에 송대 역사를 학습하던 경향 속에서 류성룡 자신의 ‘화이론(華夷論)’을 반영하며 조선의 입장에서 ‘외이’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관한 오랜 고민을 정리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역사의식 아래 국가와 ‘외이’의 대외관계에서 구체적인 방안으로 드러난 것이 「북변헌책의(北變獻策議)」였다. 1583년(선조 16) 회령진에 거주하는 여진 부족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었던 니탕개가 우을지와 함께 함경도 관리의 부당한 대우에 반발하여 변란을 일으켰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류성룡이 「북변헌책의」를 제시했다. 류성룡이 「북변헌책의」에서 제시한 정책은 기존의 연구성과에서 보았듯이 조선초기 이래 시행된 대여진 정책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 그러나 조선초기의 대여진 정책이 상황이 달라진 선조대와 같을 수 없으며, 선조대안에서도 인물마다 견해가 동일할 수가 없다. 심지어 고정관념과 편견에도 편차가 있다. 시기별 대외인식과 정책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인물의 역사 인식과 현실인식 그리고 그가 제시한 대안을 살펴보아야 한다. 류성룡은 임진전쟁기 전쟁국면을 총괄한 인물로서 중요성이 크며, 선조대 대외관계와 정책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그의 「독사려측」과 「북변헌책의」를 병행하여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For a long time Yu Seong-ryong had paid attention to the history of 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barbarian’. The invasion of ‘the barbarian’ had given effective momentum on the destiny of ‘the state’. Yu found its classic model in the foreign relation of Song dynasty which served as the ideal state for many Joseon literati. The relation between Song dynasty and ‘the barbarian’ showed a sharp contrast on ‘the Civilized’(華) and ‘the Barbaric’(夷) to the Literati. In this regard the Literati of Joseon had pondered over how they could control the barbarian movement to make sure of preservation of ‘the Civilized’. Yu Seong-ryong wrote Doksaryeocheuk(讀史蠡測): A review on the history of Song dynasty with similar intention. He tried to record his long-standing thought about how Joseon could respond to the barbarian’s threat reinforcing his prejudice on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華夷論). His prejudice on ‘the barbarian’ was grounded in the general trend that the Literati of Joseon had studied the history of Song dynasty invaded by ‘the barbarian’. In this perspective, Yu Seong-ryong proposed Bukbyeonheonchaekeui(北變獻策議): A suggestion for northern border issue to the Joseon Court including concrete measures about the foreign relation on ‘the barbarian’. In 1583, the year of Seonjo’s 16th reign, a huge rebeillion by ‘the barbarian’ happened, which was led by Nitanggae(尼湯介) who was the chief of Jurchens having lived at Hoiryeongjin(會寧鎭) area. The Jurchens resisted the arrogation of Hamgyeong Province(咸鏡道) officers. And Yu proposed Bukbyeonheonchaekeui as the foreign policy to restrain and subdue ‘the barbarian’. The policy Yu Seong-ryong proposed wa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foreign policy of the Joseon Court from its early days. Given the conditions of time, the policy for Jurchens in the former period of Joseson could not be same with that of Seonjo’s reign. Moreover among policies of Seonjo’s reign there were many opionions of leading figures. Even in prejudice and bias there were so many differences through this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foreign relations and policies in each period we should examine one’s historical awareness, view of reality and plan for action individually. As for Yu Seong-ryong, he is important as the prime minister and chief director for armament in Imjin war. For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his Doksaryeocheuk and Bukbyeonheonchaekeui connectively to bring light on the study for the foreign relation and policy of Seonjo’s reign.

      • KCI등재

        임진왜란기 강화교섭과 유성룡의 외교활동(1593.4-1595.7)

        김한신 ( Kim Han-sh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7 No.-

        1593년(선조 26) 10월 유성룡이 영의정에 임명된 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안 중 하나가 강화교섭에의 대응이었다. 일본군이 같은 해 4월 부산 동래 등 남해안으로 후퇴했고, 경략 송응창 등은 일본군을 철수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일본과의 강화교섭을 선택했다. 선조는 명군과 협공하여 일본군을 패퇴시키기를 원했으나, 이는 송응창의 계획과 달랐다. 선조는 강화반대의 입장을 바꿀 수 없었고, 유성룡은 영의정에 임명된 이후에도 선조의 반대 원칙을 따라야 했다. 그럼에도 그가 중시했던 점은 조정 내 강화 반대분위기를 따르면서, 명의 군사적 지원을 유지할 수 있는 타협점을 찾아내는 일이었다. 그 때문에 영의정 유성룡의 조정작업과 설득은 그만큼 신중해야 했다. 기존의 연구성과에서 유성룡은 강화를 주장하여 나라를 그르친 인물 즉, ‘主和誤國’이라는 비난을 받았다는 측면으로 주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 유성룡과 강화교섭의 문제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영의정 유성룡이 강화교섭에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던 배경과 조정 내 논의를 수렴하는 과정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유성룡이 강화교섭 논의에서 어떤 논리로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에 관한 서술이 구체적이고 집중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After becoming the prime minister of Joseon in October 1593, Yu Seong-ryong had to consider significantly how to respond to the Ming's request to accept the Peace Negotiation between Ming and Japan. Seonjo(宣祖), his king had wished to defeat Japanese army into ruin but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 did not. Seonjo argued that only advocating war was the righteous cause, or way. Yu Seong-ryong followed the Seonjo's argument but he would find out a meeting point between the argument of upholding the cause and the request of accepting the Peace Negotiation.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treat war situation without Ming's military support. In order to assess the historical aspect about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behavior of Yu Seong-ryong,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background that he could not but include the Peace Negotiation as significant strategy. And then understanding of his coordinating process would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re were few ways but this not to be driven into critical situation in the war again.

      • KCI등재

        과학관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논증구조 변화에 주는 영향 : 에너지와 기후변화 주제를 중심으로

        한신(Han, Shin),중한(Kim, Jung-Han),형범(Kim, Hyoungbum)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에너지 및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 글쓰기 활동을 6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그들의 논증 구조가 어떠한 형태로 발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교육을 받기 전 초등학생들은 이유와 주장과 같은 논증 요소를 사용하였으나, 피드백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교육을 받은 후 이유, 근거, 반론수용, 반박과 같은 논증 요소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글쓰기 초기에 학생들은 주장과 이유로 이루어진 ‘이유형’의 과학 글쓰기 유형이 가장 많았으나, 점차 주장, 이유, 근거, 반론수용, 반박의 논증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반박형’ 유형으로 발달하였다. 셋째, 지속적인 과학 글쓰기 활동과 피드백은 학생들의 논증 수준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반구조화된 면담 결과 꾸준한 글쓰기와 지속적인 피드백, 그리고 과학 글쓰기 관련 수업이 학생들의 논증구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science writing activities related to ‘energy and climate change’ fo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 6 weeks, and investigated how their argument structure was develop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st, before receiving writing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argument elements such as claim and reason, but after receiving science writing education using feedback, the frequency of use of argument elements such as ‘reason, evidece, acknowledgement and rebuttal’ increased. Second, in the early days of writing, “reason types” were the most common, but gradually developed into “rebuttal types” that included all argument eleme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science writing activities and feedback improved the students level of argument. Forth, as a result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constant writing, continuous feedback, and science writing- related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argument structure.

      • KCI등재

        임진왜란기 남부지역 조선군 지휘부의 갈등 양상과 대응방안(1593. 7~1597.7)

        김한신(Kim, Han-shin)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7 No.-

        임진왜란기 조선 조정에서는 필요한 지역에 대신을 도체찰사로 파견하여 宣撫와 召募 그리고 三都(평양 개성 한성)를 회복하도록 조처했다. 1594년 4월 일본군이 부산 동래 일대로 후퇴한 이후 조선 조정은 위기국면에서 벗어났고, 최전선이 경상 전라 등 남부지역에 형성되었다. 이에 조정에서는 1593년 2차 진주성전투 직후 전라감사 권율을 도원수에 임명하여 남부지역의 조선군 지휘를 담당하도록 했다. 그러나 조정의 시각에서 볼 때 남부지역의 군사지휘에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를 위해 1595년 8월 우의정 이원익을 하사도 도체찰사로 파견했다. 본 논문에서는 남부지역의 지휘체계 상 드러난 문제 중 주로 도원수와 도체찰사 등 지휘부 내에서 발생했던 문제와 지휘부에 속한 諸將들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했다. 조선 조정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들이 전력을 약화시킬 것이라 우려하여, 시간을 두고 관찰하며 해결책을 모색했던 것이다. 앞으로 임진왜란기 전반의 지휘체계와 17세기 조선군의 지휘체계가 어떻게 운영되고 어떤 문제를 드러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16세기 말의 전란을 계기로 재구성된 조선군지휘부에서 권한과 책임의 획정, 소속 장수들 간의 관계 조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가 우선적으로 밝혀져야 한다.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1592~1597 the Joseon Court dispatched ministers or secretaries as Dochechalsa(都體察使), a supreme commander who had priority in supervising civil and military service both over several provinces. Dochechalsa pacified people`s insecurity and ordered conscription. In April 1594 the Japanese army retreated to the area of Pusan(釜山) and Dongrae (東萊) from the Capital, Hansung(漢城). Therefore the front line was formed at the southern provinces, Gyeongsang and Jeolla. This time the Joseon Court dispatched Dowonsu(都元帥), a Field Marshal to make him handle troops of southern provinces. His name was Kwon Yul(權慄). But after that the assessment toward Kwon Yul(權慄) was not good at the Joseon Court. To make it better, the Court also dispatched Yi Won-ik(李元翼) as Dochechalsa to the southern provinces. There are many problems of command system between Dowonsu(都元帥) and other subordinate generals. The king and his subjects worried it would cause military weakness more than `now`. This theme would give understanding how the Joseon Court and army dealt with military problem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period. Futhermore it would give the ground for the study of command system of 17th Joseon ar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