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민>/<자유문학>의 매체이념과 김송의 단편소설

        김준현 ( Kim Junhyun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80

        이 논문은 <백민>과 <자유문학>에 실린 김송의 단편소설 작품들을 해당 문예지의 매체이념과 비교하며 살펴보았다. 김송은 두 문예지에서 주된 발간 주체로 활동한 동시에, 소설가로서 두 잡지의 매체이념을 실천하기 위한 단편소설을 해당 지면에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이는 김송과 그의 작품을 문예지의 매체이념과 수록 작품 사이의 관계를 살피기 위한 좋은 사례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김송의 단편소설은 그 작품이 수록된 문예지의 주된 매체이념을 직접적으로 표방하는 성격을 띠고 있었다. 평론 활동을 거의 하지 않고, 문예지의 매체이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글(창간사, 간행사 등)과 단편소설만을 발표했다는 점 또한 그의 창작과 문예지 간행 활동의 관계를 특별한 것으로 만든다. 김송의 작품은 다른 어떤 작가의 작품보다도 수록지면과의 상호연관성을 강하고 갖고 있었다. <백민>/<자유문학>의 매체이념과 김송의 작품을 상호 비교해 보면, 우리가 당시의 문학 장, 정치 장을 기억하면서 편리한 재구의 관점으로 썼던 이분법적 대립(좌우 대립, 임정/인공파 대립, 순수/정치참여 대립)등이 모두 상당히 불분명한 경계선을 가지고 존재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김송의 작품들은 그가 참여했던 매체의 이념들이 그러한 경계의 중간지점에 위치해 있었다는 것을 더욱 확실히 보여주면서, 그 이분법의 균열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 역할을 해준다. 후대의 연구자는 발표지면을 제공했던 정기간행물의 매체이념을 통해서 김송의 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을 얻을 수도 있지만, 김송의 작품을 통해서 역동적이고 유동적인 매체이념을 구체적으로 재구하는 자료를 확보할 수도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 of the media-ideologies of < Baek-min >/< Jayu-munhak > and the short stories of Song Kim. The media-ideology tend to be refracted and changed in the texts in the literary magazines. Song Kim took a major role in publishing these two magazines in 1945~1960, and at the same time he inserted his short stories in the magazines as a writer. This fact make him and his works good examples of the relation between media ideology and inserted (literary) text in magazines. This study proved 3 theories: 1) The short stories of Song Kim and his publishing act were related to each other; He tried to use his stories as practices of the media-ideologies of his magazines. 2) The shared memories of these magazines were distorted by remembrance of Song Kim himself and literary people at the period, which was revealed by comparison of the media- ideologies and his stories of the magazines. 3) Song Kim had an aspect of activist, and because of that his writing and philosophy of literature were influenced by literal discourse of other ideologues of the magazines.

      • KCI등재

        실용음악 전공자의 웹리터러시 역량 필요성 연구

        김준현(Junhyun Kim),최정한(Junghan Cho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서 실용음악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설문과 실용음악을 수행하고 있는교수자들의 자문을 토대로 하여, ‘실용음악 전공 교육’에서 ‘웹리터러시’ 교육 수요와 필요성을 파악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여 진행되었다. 실용음악 전공생들이 실제로 음악 학습 및 감상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음원 전문 플랫폼, 유튜브, SNS 등의 ‘웹미디어/플랫폼’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고, 제작자로서 가지는 웹이 ‘음악 발표 및 유통’ 미디어로 갖게 될 위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 실용음악교수자들이 학생들의 ‘웹리터러시’ 관련 교육 필요성과 수요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도 함께 살폈다. 교수자와 학생 모두 음악교육, 감상, 유통 등 전 과정에 걸쳐 웹미디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 그와 관련한 교육이 도입되고 확대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확인되었다. ‘웹리터러시’ 교육의 확대 및 교과과정 도입의 필요성은 높은 정도로 공유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Based on surveys of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at a four-year university and consultations with professors engaged in applied music,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mand and necessity of 'web literacy' education in 'applied music major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much 'web media/platform' such as music streaming platform, YouTube, and SNS actually play a role in music learning and listening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and also explored the awareness of the web's status as a 'music presentation and distribution' media as a production subject of music content.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d how applied music professors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demand of education related to 'web literacy' of stud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educational providers and recipients recognize the proactive role of web media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including music education, listening, presentation, and distribution, that education related to these aspects of web media should be introduced and expanded to keep pace with the evolving landscape.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 widely shared recognition of the substantial need for the expansion of educ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curriculum related to 'web literacy'.

      • 건축실내 바닥재의 난연성 시험방법에 대한 고찰 및 제안

        김준현(Kim Junhyun),정옥영(Chung Ok-Young),이정훈(Lee Jeong-Hun),김수민(Kim Sumin)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2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3

        This paper analyzes the flammability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dequacy of a newly proposed sampling method for wood materials that are commonly used for residential flooring.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 wood produ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sampling method, where the peak heat release rate (PHRR) had either two peaks for case 1 or a single peak for case 2, and smoke production rate (SPR) also differed according to the case. This study presented another HRR evaluation method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 and the size of HRR to reduce the fire hazards in flooring.

      • PUF 수지의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된 목질보드의 오염물 방산량 평가

        김준현(Kim Junhyun),이정훈(Lee Jeong-hun),김수민(Kim Sumi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In this thesis, the amount of pollutant emission from PUF resin was conducted. Each of two PUF resins was made by the mole ratio and synthesis method of the resin as following the method of the basic product. And after verifying the properties of the resin, the quantity of pollutant emission from the boards made by the PUF resins were evaluated. The case of the boards made by each resin, the emission of Formaldehyde was the lowest at the #7 PB, and it showed good quality as eco-friendly resin since the quality of MDI emission was the half.

      • KCI등재

        행정사례연구 접근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전망과 한계

        김준현(Kim Junhyun) 서울행정학회 201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1 No.2

        This paper introduces the grounded theory for theory building in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tudies. Many scholars have criticized the methodological tendency to emphasize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techniques frequently in Korea. However, case study, representative non-quantitative research method, has still been one of the major approaches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tudies. It means the real task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tudies is not the methodological tendency towards quantitative approaches, but the lack of new theory. From this perspective, what needs to develop the theory should be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or means to do theory building. In this paper. Grounded Theory is introduced and evaluated about its strengths and limits for building or supporting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theories. Grounded theory and its methodology are expected to help find and develop a new hypotheses concerning the Korean public sector, and it will be a helpful development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tudies.

      • KCI등재

        기요 마르샹의 『죽음의 무도』 연구

        김준현(Kim, Jun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중세 후기, 유럽 전역에서 성행했던 주제인 ‘죽음의 무도’는 ‘죽게 될 것임을 기억하라’는 기치 아래 ‘만인 평등의 죽음’을 이야기했다.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을 한데 춤추게 한, 현란한 카니발을 닮은 ‘죽음의 행렬’은 피할 수 없는 숙명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생각들만을 반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죄악과 회개, 성별과 신분, 타락과 운명, 신의 섭리와 구원 등 조금씩 차별화되는 새로운 성찰들로 나아갔으며, 그 안에서 다양한 변신과 변주를 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죽음의 무도’라는 주제는 다양한 영역들이 상호 교차할 수 있는 접점인 동시에, 특히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을 통해 재현되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죽음의 무도’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긴밀한 상관관계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깊은 성찰을 이끌어냈고 그들의 기억 속에 강력한 잔상들을 남길 수 있었으며, 나아가 다층적인 해석 가능성과 새로운 시각의 투사가 이루어지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본고는 15세기 출판업자였던 기요 마르샹이 간행한 두 종류의 『죽음의 무도』 가운데, 남성들만을 등장시킨 ‘죽음의 무도’의 내용과 구성 방식을 국내 최초로 상세히 소개하는 데 우선적인 목표를 두었으며, 동시에 이 작품 안에 삽입된 목판화 이미지들과 텍스트가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에도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검토는 중세 후기 상이한 신분들이 가졌던 욕망의 실체가 피할 수 없는 존재인 ‘죽음’ 앞에서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중세 문화의 면면을 세밀히 규명하는 노력과 다르지 않은 것이기도 했다. 전통적인 ‘죽음의 무도’의 전반적인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그 안에서 교화적인 어조의 텍스트에 부합하는 성직자층의 시각과 목판화를 통해 시사되는 속인 계층의 시각이 혼재됨으로써, 기요 마르샹이 간행한 『죽음의 무도』가 ‘침묵 속의 이미지와 볼 수 없는 텍스트’의 연관 관계 속에서 ‘교화’와 ‘풍자’, ‘순종’과 ‘조롱’의 경계를 왕래하는 해석의 깊이를 간직하고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죽음의 무도’에 대한 꼼꼼한 연구를 통해, 중세 특유의 ‘연속성’과 ‘이질성’을 새로운 시각에서 되짚어보는 계기가 도출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late Middle Ages, the theme of Danse macabre, or the Dance of Death, was prevalent throughout Europe. Under the powerful emblem of memento mori, Danse macabre spread rapidly through European art, literature, drama and visual examples. But the Dance of Death resembling ‘gaudy carnival’, in which all social ranks in descending order dances all together, did not stay to repeat ceaselessly one simple ontological distillation: the inevitable fate of mankind, or death conquers all. In the crossroads of various areas, the theme of Danse macabre continued to enjoy greatpopularity, in particular using the myriad of visual and literary forms. But the Danse macabre reduces and expands its repertoire of characters and contents and makes a significant transition to other topics, for instance the reflection of sin, repentance, corruption, gender, fortune, divine providence and salvation, leaving possibility to be multi-dimensional interpret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a new angle. The aims of our study is to introduce in detai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Danse macabre of Men, published by Guyot Marchant in 1486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woodcut images in this edition. By analyzing the opposition between the living and dead, the ambiguity between the bodily postures and dialogues, the conflict between the didactic voice and the theatrical body language, we can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two conflicting modes of view, moving in satire from didactics and vice versa in the 1486 edition of Guyot Marchant. Through a follow-up study on the Danse macabre of women, we can make another opportunity for understanding about the ‘continuity’ and ‘alterity’ of the Middle Ages. 중세 후기, 유럽 전역에서 성행했던 주제인 ‘죽음의 무도’는 ‘죽게 될 것임을 기억하라’는 기치 아래 ‘만인 평등의 죽음’을 이야기했다.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을 한데 춤추게 한, 현란한 카니발을 닮은 ‘죽음의 행렬’은 피할 수 없는 숙명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생각들만을 반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죄악과 회개, 성별과 신분, 타락과 운명, 신의 섭리와 구원 등 조금씩 차별화되는 새로운 성찰들로 나아갔으며, 그 안에서 다양한 변신과 변주를 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죽음의 무도’라는 주제는 다양한 영역들이 상호 교차할 수 있는 접점인 동시에, 특히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을 통해 재현되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죽음의 무도’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긴밀한 상관관계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깊은 성찰을 이끌어냈고 그들의 기억 속에 강력한 잔상들을 남길 수 있었으며, 나아가 다층적인 해석 가능성과 새로운 시각의 투사가 이루어지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본고는 15세기 출판업자였던 기요 마르샹이 간행한 두 종류의 『죽음의 무도』 가운데, 남성들만을 등장시킨 ‘죽음의 무도’의 내용과 구성 방식을 국내 최초로 상세히 소개하는 데 우선적인 목표를 두었으며, 동시에 이 작품 안에 삽입된 목판화 이미지들과 텍스트가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에도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검토는 중세 후기 상이한 신분들이 가졌던 욕망의 실체가 피할 수 없는 존재인 ‘죽음’ 앞에서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중세 문화의 면면을 세밀히 규명하는 노력과 다르지 않은 것이기도 했다. 전통적인 ‘죽음의 무도’의 전반적인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그 안에서 교화적인 어조의 텍스트에 부합하는 성직자층의 시각과 목판화를 통해 시사되는 속인 계층의 시각이 혼재됨으로써, 기요 마르샹이 간행한 『죽음의 무도』가 ‘침묵 속의 이미지와 볼 수 없는 텍스트’의 연관 관계 속에서 ‘교화’와 ‘풍자’, ‘순종’과 ‘조롱’의 경계를 왕래하는 해석의 깊이를 간직하고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죽음의 무도’에 대한 꼼꼼한 연구를 통해, 중세 특유의 ‘연속성’과 ‘이질성’을 새로운 시각에서 되짚어보는 계기가 도출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late Middle Ages, the theme of Danse macabre, or the Dance of Death, was prevalent throughout Europe. Under the powerful emblem of memento mori, Danse macabre spread rapidly through European art, literature, drama and visual examples. But the Dance of Death resembling ‘gaudy carnival’, in which all social ranks in descending order dances all together, did not stay to repeat ceaselessly one simple ontological distillation: the inevitable fate of mankind, or death conquers all. In the crossroads of various areas, the theme of Danse macabre continued to enjoy greatpopularity, in particular using the myriad of visual and literary forms. But the Danse macabre reduces and expands its repertoire of characters and contents and makes a significant transition to other topics, for instance the reflection of sin, repentance, corruption, gender, fortune, divine providence and salvation, leaving possibility to be multi-dimensional interpret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a new angle. The aims of our study is to introduce in detai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Danse macabre of Men, published by Guyot Marchant in 1486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woodcut images in this edition. By analyzing the opposition between the living and dead, the ambiguity between the bodily postures and dialogues, the conflict between the didactic voice and the theatrical body language, we can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two conflicting modes of view, moving in satire from didactics and vice versa in the 1486 edition of Guyot Marchant. Through a follow-up study on the Danse macabre of women, we can make another opportunity for understanding about the ‘continuity’ and ‘alterity’ of the Middle Ages.

      • KCI등재

        마리 드 프랑스의 단시 읽기 (II)

        김준현(Kim, Junhyun),정하영(Jung Ha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본고의 주안점은 12세기 여성 작가 마리 드 프랑스가 남긴 열두 편의 단시 가운데 하나인 「라우스틱」의 다양한 특징들을 재조망해 보고, 이를 통해 마리 드 프랑스라는 중세 작가와 단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있다. 여러 선행 연구들에 대한 확인과 검토를 기반으로 삼는 한편 여기에 우리의 주체적인 시각을 더함으로써, 연구자는 ?라우스틱?에 대한 꼼꼼한 ‘다시 읽기’를 지향했으며, 그 안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들과 ‘해석’의 문제, 저자의 의도와 ‘다시 쓰기’의 의의등을 파악하고, 의미의 ‘중층 복합구조’에서 파생되는 여러 특징적인 면들을 짚어보고자 했다. 연구자는 복수의 제명이 갖는 함의들, 영화의 줌 기법을 닮은 축소지향적인 외부 공간의 변화가 내면의 심정의 문제와 연결되는 과정, 「라우스틱」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상호 텍스트성, 은밀한 사랑과 비극적인 결말을 ‘기억’ 속에 간직하고자 했던 연인들의 무언의 대화, ‘다시 쓰기’를 통해 후대의 기억 안에 과거의 사랑이 살아 숨쉬게 되는 변화상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아울러, 선행 연구에 대한 재확인 작업의 일환으로, 텍스트 안에서 불명료하게 제시된 특정 구절(49-50행)의 ‘해석’ 문제를 되짚어봄으로써, 이웃한 두 연인의 은밀한 사랑의 시작과 남편의 의혹 등의 사안을 재검토하였다. 텍스트 안에서 진행되는 ‘밤꾀꼬리’의 변용 양상과 중첩되는 상징적인 의미 등을 살펴봄으로써, 처음에는 일종의 ‘구실’처럼 등장했던 밤꾀꼬리가 이후 모든 사건의 중심 동력이자 사랑의 화신으로 변모하는 지점들을 짚어보았으며, 마리 드 프랑스의 ‘다시 쓰기’가 어떻게 침묵 속에 잠겨있던 비극적인 사랑의 무덤을 계속해서 후대의 기억 안에 살아 움직이는 새로운 ‘해석’의 장이자 ‘소생’의 공간으로 재생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lace emphasis on examining some of the features found in the lay Laustic, written by Marie de France. Our research is based on a firm identification and review of a number of previous researches, and we aimed for a “critical re-reading” of the lay Laustic, focusing on the following points: various symbolic signification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lay, etc. We would start by discussing the plurality of the title and its implications. Then we would review the following issues in detail: how the changes in the external space correlate with internal feelings of the characters; and how the secret love affair of two lovers and their tragic ending could be preserved in “memories” so as to be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Moreover, as a part of our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we would analyze the ambiguous passages in the text (lines 49-50) in order to examine certain matters such as, how the love affair began between the two neighbors or why the husband started to suspect these lovers. In addition, we would look into different aspects of the transformation of nightingale which are overlapped with its symbolic significations. It is important that we focus on the process in which the nightingale, which at first appeared in the scene as an excuse, transfigure into a central force that leads a whole series of events. Finally, we would like to make some remarks on the method of “re-writing”, by which Marie de France revived the tragic love story that has been kept in silence and gave a new life enabling fresh and original interpretations for the future generation. 본고의 주안점은 12세기 여성 작가 마리 드 프랑스가 남긴 열두 편의 단시 가운데 하나인 「라우스틱」의 다양한 특징들을 재조망해 보고, 이를 통해 마리 드 프랑스라는 중세 작가와 단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있다. 여러 선행 연구들에 대한 확인과 검토를 기반으로 삼는 한편 여기에 우리의 주체적인 시각을 더함으로써, 연구자는 ?라우스틱?에 대한 꼼꼼한 ‘다시 읽기’를 지향했으며, 그 안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들과 ‘해석’의 문제, 저자의 의도와 ‘다시 쓰기’의 의의등을 파악하고, 의미의 ‘중층 복합구조’에서 파생되는 여러 특징적인 면들을 짚어보고자 했다. 연구자는 복수의 제명이 갖는 함의들, 영화의 줌 기법을 닮은 축소지향적인 외부 공간의 변화가 내면의 심정의 문제와 연결되는 과정, 「라우스틱」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상호 텍스트성, 은밀한 사랑과 비극적인 결말을 ‘기억’ 속에 간직하고자 했던 연인들의 무언의 대화, ‘다시 쓰기’를 통해 후대의 기억 안에 과거의 사랑이 살아 숨쉬게 되는 변화상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아울러, 선행 연구에 대한 재확인 작업의 일환으로, 텍스트 안에서 불명료하게 제시된 특정 구절(49-50행)의 ‘해석’ 문제를 되짚어봄으로써, 이웃한 두 연인의 은밀한 사랑의 시작과 남편의 의혹 등의 사안을 재검토하였다. 텍스트 안에서 진행되는 ‘밤꾀꼬리’의 변용 양상과 중첩되는 상징적인 의미 등을 살펴봄으로써, 처음에는 일종의 ‘구실’처럼 등장했던 밤꾀꼬리가 이후 모든 사건의 중심 동력이자 사랑의 화신으로 변모하는 지점들을 짚어보았으며, 마리 드 프랑스의 ‘다시 쓰기’가 어떻게 침묵 속에 잠겨있던 비극적인 사랑의 무덤을 계속해서 후대의 기억 안에 살아 움직이는 새로운 ‘해석’의 장이자 ‘소생’의 공간으로 재생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lace emphasis on examining some of the features found in the lay Laustic, written by Marie de France. Our research is based on a firm identification and review of a number of previous researches, and we aimed for a “critical re-reading” of the lay Laustic, focusing on the following points: various symbolic signification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lay, etc. We would start by discussing the plurality of the title and its implications. Then we would review the following issues in detail: how the changes in the external space correlate with internal feelings of the characters; and how the secret love affair of two lovers and their tragic ending could be preserved in “memories” so as to be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Moreover, as a part of our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we would analyze the ambiguous passages in the text (lines 49-50) in order to examine certain matters such as, how the love affair began between the two neighbors or why the husband started to suspect these lovers. In addition, we would look into different aspects of the transformation of nightingale which are overlapped with its symbolic significations. It is important that we focus on the process in which the nightingale, which at first appeared in the scene as an excuse, transfigure into a central force that leads a whole series of events. Finally, we would like to make some remarks on the method of “re-writing”, by which Marie de France revived the tragic love story that has been kept in silence and gave a new life enabling fresh and original interpretations for the future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