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래종 팥의 작물학적 형질 특성

        노창우(Chang Woo Rho),손석용(Suk Yeong Son),홍성택(Seong Taek Hong),이경희(Kyeong Hee Lee),유인모(In Mo Ryu)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6 No.2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재래종 팥 361개의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집재래종 팥의 초형은 직립형이 77.8%로 제일 많고 중간형이 15.3%, 만성형이 6.9%로 제일 적었다. 엽형은 원형, 타원형, 점선형 순으로 많았고 화색은 황색 이 89.5%로 가장 많았고 담황색 9.4%, 농황색 1.1% 순이었다. 종피색은 적색 60.6%, 회색 26.9%이며 그 외 녹색, 백색, 담흑색, 적지흑, 암지흑, 백지갈색 은 1.4∼3.3%로 매우 적었다. 개화일수는 69∼75일, 결실일수는 41∼50일, 생육일수는 111∼120일인 수집종들이 가장 많았다. 경장은 41∼60 cm에서 50,2%, 개체당 협수는 16∼20개에서 40.2%, 100립중은 8-10g이 30.5%로 가장 분포비율이 높았다. Agronomic characters of the 361 Korean adzuki beans(Vigna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collected in Korea were examined. Korean adzuki beans had predominantly up right growth habit types, followed by the intermediate types (15.3%) and the climbing types (6.9%). Round leaf type was the majority among the collections and followed by elliptical and xiphoid leaf type. Adzuki beans with yellow, light yellow and dark yellow flowers were 89.5%, 9.4% and 1.1%, respectively. The 60.6% of the collections had red seeds and 26.9% had gray seeds. And collections with green seeds, white seeds mixed with gray spot, brown spots on red seeds, black spots on red seeds and dark gray spots on black seeds were also observed. Korean adzuki beans whose number of days from planting to flowering were 69∼75 days were the majority among 361 Korean adzuki beans. The number of days from flowering to majority were 41∼50 days and the number of days from planting to maturity were 111-120days. Adzuki beans having the stem length of 41-60 cm, the pod number per plant of 16-20 and the 100 seed weight of 8∼10 g were 50.2%, 40.2% and 30.5% of collections, respectively.

      • 충북지역 포도원에서 꽃매미의 부화시기

        안기수,김선국,노창우,박홍현,김길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충북 청주․청원에 위치한 4곳의 포도원과 진천군에 위치한 포도원 3곳에서 포도 나무 가지에 산란된 난괴를 흰색 망사자루를 이용하여 주변과 격리시키면서 부화 되는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5월 13일부터 6월 4일까지 23일간, 부화된 꽃매미 약충수로 조사하였다. 청주․청원지역에서 꽃매미 부화시기는 5월 15일에 처음 부화한 것을 시작으로 5월 19일부터 23일까지 꽃매미 부화가 집중되었고, 진 천지역에서는 5월 17일에 부화한 것을 시작으로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꽃매미 부화가 집중되었다. 꽃매미 총 부화기간은 청주․청원지역은 19일간, 진천지역은 15일간이었다. 꽃매미 부화가 끝난 시기는 청주․청원은 6월 2일, 진천지역은 5월 31일 이었다. 꽃매미 방제는 알 기간인 겨울철에는 알집제거, 약충시기에는 약제살포로 방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꽃매미 부화시기 조사는 꽃매미 방제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국화 광선택성 차광망 처리가 화색 발현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주형,이희두,노창우,이철희,백기엽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7 화훼연구 Vol.15 No.1

        청색, 흑색, 적색 및 회색 차광망을 이용하여 광질 의 선택적 투과를 통한 효과적인 화색 발현과 시설내 기온 및 엽온 저하를 통한 국화의 생육 증진을 목적 으로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조도는 차광망의 종류에 관계없이 48~51% 저하되었으며 기온은 흑색과 청색, 엽온은 적색 및 청색 차광망 처리시 낮게 측정되었다. 적색과 회색 차광망 처리시 초장, 절화장, 화수경경 및 화폭은 크고 굵었으나 청색과 흑색 차광망 처리시는 반대의 경향이었으며 개화소요일수는 청색과 흑색 차 광망 처리시 8~9일 지연되었고 소화수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엽록소 함량은 청색차광망 처리 시 높았고 안토시안 함량은 회색을 제외한 청색, 흑색 및 적색 차광망 처리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볼 때 청색과 흑색 차광망 처리는 엽록소 함량과 안토시 안 함량 및 색도 a값은 높았으나 생육이 저조하였으며 개화 지연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적색 차광망 처리시에 는 초장과 절화장이 크고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엽록소 함량과 안토시안의 함량 또한 높게 나타나 하절기 유 색국화 화색퇴화 방지를 위한 차광망 처리에는 적색 차광망 처리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hoto-selective colored shading screens on expression of flower colors, growth and development of spray chrysanthemums. Light intensity was reduced by 48% to 51%, air temperature was lowered in the black and blue shading screen treatments, and leaf temperature was lowered in the red and blue shading screen treatments.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and flower diameter increased by red and gray shading screen treatments, while they decreased in the blue and black shading screen treatments. Also blue and black shading screen treatments delayed flowering by 8 to 9 days and decreased numbers of florets.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by the blue shading screen treatment and anthocyanin content increased by the blue and red shading screen treatments. Overall blue and black shading screen treatments improved chlorophyll content, anthocyainin content and a value of chromaticity. On the other hand, general growth, such as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and diameter of flower, decreased under shading screens of blue and black colors, and flowering was delayed by blue and black shading screen treatments. However, red shading screen treatment improved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chlorophyll content and anthocyainin content. The result shows that useful shading screen treatment for prevention of flower discoloration was a red shading screen.

      • KCI등재후보

        들깨 유전자원의 단백질함량과 지방 및 지방산 특성

        홍성택,손석용,노창우,이경희,정재현,박재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4

        공시된 들깨 지방재래종 90개 품종의 단백질함량, 지방 및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숙기별로는 중ㆍ만생종의 평균단백질 함량은 22.4%로 비교적 낮았고, 품종분포가 대부분 평균치에 가까웠으며, 조생종은 평균단백질 함량이 24.1%로 비교적 높았다. 2. 평균단백질함량은 소립종(천립중3.0~4.0g이하)이 23.0%로, 중립종(천립중 4.0~5.0g)이나 대립종(천립중 5.0~6.0g)의 22.1%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3. 기름함량은 조생종이 42.6%로 가장 적었고, 중생종이 44.5%, 만생종이 45.5%로 기름함량이 많았으며, 립중별로는 소립종이 44.2%, 중립종이 43.1%, 대립종이 41.5% 대립종일수록 낮은 경향이었다. 4. 지방산조성은 숙기가 늦어짐에 따라 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다소 많았고, Linoleic acid는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Linoleic acid는 극대립종에서 15.5%로 가장 높았고 립중이 가벼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기름함량과 지방산 비율간의 상관 정도를 보면 기름함량과 Palmitic acid, Linoleic acid는 負의 상관이나, Stearic acid, Linolenic acid는 正의 상관을 보였다. Stearic acid는 Oleic acid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 Linoleic acid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Oleic acid는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와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을, Linoleic acid는 Linolenic acid와, 포화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다. Korean local collected strains or varieties of perilla analyzed on their protein and oil content and fatty acids composition in the seed. The strains analyzed were 90 of which grown in the experimental field of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t Cheongwon and Umseong from 2001 to 2002. The seed protein contents of 90 perilla varieties ranged from 19.1% to 29.0% and the average content was 22.8%. There differed by the seed coat color showing 1.9% higher content in light gray than that of dark brown, which may suggest that the seed coat color could be used as a marker gene for breeding high protein varieties. Oil content of medium and late varieties in maturity showed higher as compared to early varieties, and appeared differences by seed coat color, and small seed varieties showed higher seed oil content than in large seed varieties by seed size.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ntent of which major fatty acids in perilla seed were 74.4% in average of tested varieties. Fatty acid composition of perilla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maturity, seed coat color and 1,000 seed weight. Oil content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stearic and linolenic acid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linoleic ac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