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조합의 고용효과 분석

        김인경,Kim, Inkyung 한국개발연구원 2013 韓國 開發 硏究 Vol.35 No.4

        본고에서는 2005년, 2007년, 2009년 사업체패널을 이용하여 노동조합이 총 근로자 수, 비정규직 비중, 직접고용 비정규직 비중,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중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노조가 있는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근로자 수의 증가가 활발한 사업장에서 노조가 결성되었을 반대의 가능성이 발견되어 확정된 결과를 추정할 수 없었다. 한편, 노조 및 무노조 사업체에서의 고충처리절차 모두 비정규직 비율을 높이지만, 그 효과는 고충처리절차보다는 노조가 존재할 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노조규약상 직접고용 비정규직이 노조에 가입할 자격이 주어진 경우에 한해 직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노조의 존재 및 무노조 사업체에서의 고충처리절차의 형성으로 인한 비정규직 비율 증가는 온전히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의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직접고용 비정규직이 기존 노조에 가입할 수 있는 유노조 사업체에서는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직접고용 비정규직으로 대체함으로써 전체 비정규직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Using Workplace Panel Survey of 2005, 2007 and 2009 waves,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s of trade unions on employment and the proportion of irregular workers, short-term and part-time workers, and agent temporary and outsourced workers. While the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the percentage of hired workers increases under union presence, these results seem to be contaminated with bias because the differences between unionized firms before union establishment and non-unionized firms are not completely controlled even after adjusting for observed characteristics. Meanwhile, unionized firms and non-unionized firms with grievance procedures employ higher proportion of irregular workers. The proportion of short-term and part-time workers increases only when they are entitled to join trade unions. These imply that the rise in the percentage of irregular workers due to unions and grievance procedures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agent temporary and outsourced workers. Also, when short-term and part-time workers are allowed to join the union, the firm replaces agent temporary and outsourced workers with short-term and part-time workers, so that the proportion of irregular workers do not change.

      • KCI등재

        옥외 정치광고가 유권자에게 미치는 효과 : 명함형 정치광고와 벽보용 정치광고를 중심으로

        김인경(Kim Inkyung),박진우(Park Jinwoo) 한국옥외광고학회 2008 OOH광고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정치광고 중 이동 형태의 명함형 정치광고와 고정형인 벽보형 정치광고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광고 접촉도는 명함형 광고는 남자가 벽보형 광고는 여자가 많이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명함형 정치광고에 노출될수록 후보자의 인지, 후보자의 정당이나 경력, 후보자에 대한 이미지, 후보자에 대한 능력 평가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벽보형 정치광고는 명함형 정치광고에 비해 핵심 이슈나 이미지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ame card-style political advertising which is portable and also poster-style political advertising which is fixed. More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tangibility of name card and poster-style political advertising. To summarize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male students had higher tendency of recognizing the tangibility of name card-style political advertising. on the other hand, female students had higher tendency of recognizing the tangibility of poster-style political advertising. Students had higher recognition of political party, career, image, ability about candidate when exposed to name card-style political advertising. Also, Students had higher recognition of issue or image when exposed to poster-style political advertising.

      • 기계학습 기반의 낙상 검출

        김인경 ( Inkyung Kim ),김대희 ( Daehee Kim ),허성실 ( Seongsil Heo ),이재구 ( Jaekoo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1

        노인인구의 급증에 따라 노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노인 낙상을 발견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함께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낙상 사고의 경우 낙상을 일으킨 원인보다 낙상이 제때 감지되지 않아 발생하는 이후의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낙상이 발생했을 때, 바로 낙상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다양한 낙상 검출을 위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그 중 착용이 쉽고 원격지에서 관찰 및 관리가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기기의 센서 데이터를 사용한 낙상 검출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 러닝 모델들을 사용해서 낙상 검출 성능 비교 및 적절한 모델을 제안한다. 기계 학습 기반의 모델인 결정 트리(Decision Tree), 랜덤 포래스트(Random Forest),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하여 실제 측정된 데이터에 낙상 검출 학습 능력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모델의 입력 값에 적용한 데이터 분할, 전처리 및 특징 추출 방법을 통해서 효율적인 낙상 검출을 위한 기계학습 관점에서의 타당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 Temporal Fusion Transformer 모델을 활용한 다층 수평 시계열 데이터 분석

        김인경 ( Inkyung Kim ),김대희 ( Daehee Kim ),이재구 ( Jaekoo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1

        시계열 형태의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수집되고 응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시계열 예측은 많은 분야에서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분석 방법으로 고려된다. 그중 다층 수평 예측은 사용자에게 전반적인 시계열 데이터 경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계열 데이터는 데이터에 내재한 이질성(heterogeneity)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한 방법을 통해서만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많은 시계열 분석 모델들이 데이터의 이질성을 반영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우리는 Temporal Fusion Transformer 모델을 사용하여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데이터에 적용하여 이질성을 고려한 향상된 예측을 수행하였다. 실제, 주식 데이터와 미세 먼지 데이터와 같은 실생활 시계열 데이터에 적용하였고 실험 결과 기존 모델보다 Mean Squared Error(MSE)가 0.3487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기초미적분학의 내용 영역별 수학학업성취도 비교분석

        김인경(InKyung Kim),황인아(InAh Hwa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대학교 1학년 내용 영역별 수학학업성취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과 2021년 지방소재 공과대학 입학 직후 시행한 진단평가와 1학기 중간⋅기말고사 점수를 100점으로 환산하여 여러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코로나19 전후 비교를 통해 2021년 수학학력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함수, 적분 영역은 대면 수업이, 미분, 미분의 응용 영역은 온라인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집단의 경우에는 초월함수, 함수와 극한, 미분, 미분의 응용 영역에서 온라인 수업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하집단의 경우에는 함수, 초월함수, 함수와 극한, 적분 영역에서 대면 수업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2019년 대면 수업을 통한 상⋅하집단 간 내용 영역별 비교 결과 모든 영역에서 하집단의 학업성취도가 상집단 보다 더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 로, 2021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상⋅하집단 간 내용 영역별 비교 결과 모든 영역에서 상집단의 학업성취 도가 하집단 보다 더 높았지만 적분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in certain content areas of freshmen before and after Covid-19. For this purpose, in 2019 and 2021, the diagnosis assessment and the mid-term and final exam score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local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ere converted into 100 points and compared in various aspects. As a result, first, the scores seem to confirm a decline in mathematics achievement in 2021 when compared to the scores achieved before the Covid-19 pandemic. Second, in the case of the upper group, online classes were more effective concerning the study of transcendental function, function and limit, derivatives, and the application of derivatives. Third, in the lower level group, the face-to-face classes were more effective regarding the study of function, transcendental function, function and limit, and integrals. Fourth,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content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evel groups in 2019 showed that the lower level group’s achievement was higher than the upper level group’s in all areas, but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evel groups in 2021 showed that the upper level group’s achievement was higher than the lower level group’s in all areas, bu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when it came to the learning of integrals., in addition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courses in the liberal arts area regarding the basic nature of a major.

      • KCI등재

        1D CNN과 기계 학습을 사용한 낙상 검출

        김인경 ( Inkyung Kim ),김대희 ( Daehee Kim ),노송 ( Song Noh ),이재구 ( Jaekoo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고령자를 위한 개별 웨어러블(Wearable) 기기를 이용한 낙상 감지에 대해 논한다. 신뢰할 수 있는 낙상 감지를 위한 저비용 웨어러블 기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두 가지 모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한다. 기계 학습 모델인 의사결정 나무(Decision Tree), 랜덤포래스트(Random Forest),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심층 학습 모델인 일차원(One-Dimensional)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사용하여 낙상 감지 학습 능력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입력 데이터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분할, 전처리, 특징 추출 방법 등을 고려하여 검토된 모델의 유효성을 평가한다. 실험 결과는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보여주며 심층학습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In this paper, fall detection using individual wearable devices for older people is considered. To design a low-cost wearable device for reliable fall detection, we presen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wo representative models. One is a machine learning model composed of a decision tree,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SVM). The other is a deep learning model relying on a one-dimensional(1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By considering data segmentation, preprocessing, and feature extraction methods applied to the input data, we also evaluate the considered models’ validity. Simulation results verify the efficacy of the deep learning model showing improved overall performance.

      • KCI등재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과 출산 여부에 따른 차이 분석

        김인경(Inkyung Kim)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20 재정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을 이용해 우리나라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배우자의 가사분담이 여성의 경제활동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장에서 출산전후휴가를 제공할 때 출산 확률이, 육아휴직을 제공할 때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확률이 증가하였다. 부부 전체의 주당 가사노동시간 중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여성의 근로 확률과만 양의 관계에 있었다. 시간제 일자리에 종사할 경우 여성의 근로지속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발적으로 시간제 일자리를 선택했다면 출산 확률은 상승하였다. 이러한 실증 결과와 연계해 일-가정 양립과 남성의 가사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논의하였다.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this study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sharing of the housework with a spouse on the fertility rate an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The results show that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respective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giving birth and women’s participate rate in the labor market. The proportion of the husband’s working hours of the total housework hours by a married couple was in positive relation to the probability of wife’s taking work. Women are less likely to continue working when they have part-time jobs. However, the probability of having children increases only when the part-time work is voluntary. Implications for the related policies further follow.

      • KCI등재

        모의 이른 경제활동 및 부모역할과 유아 발달의 관련성 분석

        김인경 ( Inkyung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1

        본 연구는 2008~2013년 한국아동패널을 이용해 모의 이른 경제활동, 부모역할과 유아의 인지적·사회정서적 발달의 관련성을 다중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이른 경제활동은 출산 후 0~6개월의 근로시간과 7~12개월의 근로시간으로 구분해 나타내고, 부모역할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양육 스트레스, 부의 양육 참여 정도, 부모-자녀의 상호작용 방식, 물리적 가정환경 조성 수준 등으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인지 능력은 표현어휘력, 수용어휘력 점수로, 사회정서적 능력은 또래와의 상호작용, 내재적 문제행동, 외현적 문제행동 점수로 가늠하였다. 분석 결과, 모의 출산 후 7~12개월 내 근로시간과 자녀-또래의 상호작용은 부(-)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는 아동의 발달단계 상 6~8개월부터 애착 대상과의 분리불안이 시작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모든 사회정서적 발달 지표와, 아버지 양육 스트레스는 수용어휘력, 자녀-또래 상호작용과 관련 있었다. 어머니 양육행동은 표현어휘력, 자녀-또래 상호작용, 외현적 문제 행동과, 아버지 양육행동은 수용어휘력, 내재적·외현적 문제행동과 관련되어 있었다. 부모-자녀 상호작용 방식은 수용어휘력, 자녀-또래 상호작용, 외현적 문제행동과 연관되어 있었다. 한편, 부모의 학력은 유아의 인지 능력과 정(+)의 관련성을 보였지만, 사회정서적 능력과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양육지원정책과 부모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sociations between early maternal employment, parenting practices and the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I us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unique dataset in Korea that measures development of preschoolers with a rich set of fami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 find that a new mother working 7 to 12 months after birth has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 child`s peer interactions. It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tarting from 6~8 months, children feel highly anxious when they are separated from attachment figures. This result suggests that new mothers need to take parental leave or obtain a flexible work schedule in the second half of their child`s first year. Parenting variables such as maternal depressi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yles and the quality of parent-child interactions are associated with various measures of a child`s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appears to be positively linked to the child`s vocabulary. This supports the possibility that effective parenting practices can suppress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education and a child`s cognitive skills. On the other hand, no firm link is apparent between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and a chil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is implies that parent education programs need to reach parents who fall short of parenting skills rather than target those with lower education attainment.

      • KCI등재

        뉴 노멀(New Normal) 시대와 문학의 변화 - ‘문예지’를 중심으로

        김인경(Kim, Inkyu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본고에서는 ‘문예지’를 중심으로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문학의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지향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본고에서 다루는 ‘문예지’는 출판사 운영과 유통으로 발간된 문학 매거진과 정부산하 기관에서 운영하는 웹 매거진이다. 먼저 문학사상사, 민음사, 문학동네, 은행나무 등의 출판사에서 발간된 문학 매거진에서는 표지와 내용, 체제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출판사 내에서 웹진을 개설해 온라인으로 영역을 확장해 가는 모습을 살펴 보았다. 다음으로 웹 매거진 <비유>와 <문장웹진>에서는 다양한 플랫폼 방식을 통해 독자들과 소통을 하여 수용층을 확대해 가는 모습을 살펴 보았다. 이것은 문예지의 변화를 통해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새로운 가치와 기준 , 그리고 디지털 전환을 추구하는 문학의 변화를 알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문학의 전통성과 고유성을 바탕으로 한 문학의 지향점에 대한 논의의 계기를 준다. In this high school, we wanted to look at the changes in literature in the New Normal era with a focus on "literature magazines" and discuss future directions. The literature magazine, which is covered by the Dong-A Ilbo, is a literary magazine published through the operation and distribution of publishing companies and a web magazine run by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First, literary magazines published by publishers such as Munhaksa Temple, Minumsa Temple, Munhakdongne, Ginkgo Tree, etc.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cover, contents, and system. Then, we opened a webzine within the publishing company to see how it expanded its scope online. Next, the web magazines Biyu and Munjang Webzine looked at how they communicated with readers through various platforms to expand their acceptance base. This discussion allows us to see the new values and standards of the New Normal era, as well as the changes in literature pursuing digital transformation. Furthermor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direction of literature based on its traditions and uniqu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