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상전환기 지식인의 방황과 신념 모색, <남염부주지>

        김수연 ( Soo Youn Kim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3 No.-

        김시습은 한국의 대표적 지식인이다. 그가 살았던 조선 초기는 다양한 교설(敎說)이 난무하며 팽팽하게 그 세(勢)를 겨루던 시대였다. 신라와 고려를 거치는 1,500년 이상, 사회의 보편이념으로 자리 잡았던 불교가 새 왕조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건재함을 과시하였고, 13세기 말과 14세기에 신흥사대부의 약진과 더불어 새로운 사상으로 부각되고 마침내 새 왕조의 공식적 지지를 받은 유교 또한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천 년에 걸쳐 기층문화 속에 유전(流傳)해 온 민간도교의 힘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렇듯 다양한 이념들이 다투어 서로의 입장을 옹호하는 가운데, 오히려 사회의 보편이념은 부재하게 되는 사상의 춘추전국시대가 된 것이다. 이러한 보편이념의 부재에 대한 자각이 지식인 김시습을 혼란에 빠뜨렸고 방황하게 하였다. 김시습의 <남염부주지>는 이념 간 갈등과 보편이념의 부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이 소설은 난무하는 이념들의 주장과 갈등에 의해 사회적으로 소외된 지식인의 고뇌를 담고 있다. 수많은 종교와 학설이 소리 높여 자신의 입장을 내세우고, 모두가 나름의 논리로 사람들을 혹하게 하지만 그들 중 어느 하나도 개인에게 확고한 신념을 제공하지 못한다. 오히려 그들은 다른 입장과 갈등하고 상대를 타자화하는 과정에서 개인을 소외시킬 뿐이다. 이에 대해 김시습은 서로 다른 권역(圈域) 사이에 ``경계역``을 설정하고 ``유(遊)``의 방식으로 경계를 넘놀 것을 제안한다. 작가는 쟁론적 이념들의 영역,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인물을 자신의 문학적 자아로 설정하고 그로 하여금 ``경계역``에서 ``넘놀며(遊)`` 독한 회의(懷疑)를 충분히 들어주고 답을 제시해주는 또 다른 자아를 만나게 한다. 지식인 스스로 신념의 부재와 나약한 실체를 정직하게 인정하고 나서야 비로소 바른 이념을 모색할 수 있는 대화가 가능해진 것이다. 신념도 없이 주류적 의론에 얹혀 제 목소리인양 큰 소리 내는 위선적 지식인이 판치는 세상을 향해 김시습은 ``소통을 통한 이념 모색`` 그 자체가 의미 있음을 말하고 있다. 그렇기에 박생의 죽음은 좌절이나 실패가 아니다. 그의 죽음은 정직한 사람만이 계승할 수 있다는 염왕의 지위를 잇는 것이며, 염왕의 선위는 그가 신념부재를 인정하고 회의에 대해 소통하려는 정직한 지식인임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믿고 따를 수 있는 보편이념은 부재하고, 난무하는 의론들과 갈등하는 이념들 사이에 개인이 소외되는 현상은 21세기 문명갈등과 무관하지 않다. 그렇기에, 김시습이 제안하는 전망은 현재의 우리, 특히 지식인이라 자처하는 이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가 될 것이다. Kim-Siseop is a Korean representative intellectual.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he spent was an age various doctrines continued to swirl and competed for their power with well matched in strength. Buddhism, established as the universal ideology of the society for more than 1,500 years from Silla to Goryeo, was still maintaining its prosperity despite the pressure of the new dynasty. Confucianism, emerged as a new idea with advance of the newly-rising nobility in the end of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nd supported officially by the new dynasty, also was making its position secure.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folk Taoism which had spread into basic culture for thousands of years was the thing in no way negligible, A variety of ideas were safeguarding their own positions, however, it led to the Period of Spring & Autumn Warring States in ideas the universal ideology of the society was absent. Consciousness on such absence of the universal ideology made an intellectual Kim-Siseop fall into confusion and wander about. <Nam-Yumboozoo Zi> by Kim-Siseop raises a question about conflict among ideologies and absence of the universal ideology. This novel deals with anguish of an intellectual alienated socially by the voice and conflict of the swirling ideas. Many religions and doctrines strongly stand on their places and mislead people with their own logic, neither of them give an individual a firm belief. Rather, they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alienate individuals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someone otherness. So, Kim-Siseop sets a ``Borderline`` among different regions, and suggests ``strolling`` in the border. The author sets a character as a stranger who can`t belong to nowhere in the areas of the controversial ideas and makes him encounter alter ego who listens to his severe skepticism carefully and gives an answer while strolling in the ``Borderline``. When an intellectual himself recognizes the absence of faith and substance of weakness honestly, finally a dialogue is possible to grope for a right ideology. To the world ridden by hypocritical intellectuals who are talking big as if it were his real voice without a belief depending on mainstream arguments, Kim-Siseop tells us ``Groping for an ideology through communication`` itself is a meaningful one. So, the death of Park Saeng is neither frustration nor failure. Because his death succeeds to the status of the king of the underworld, which only honest man can inherit. The reason he can be the king of the underworld is that he is an honest intellectual to recognize absence of faith, trying to have mutual understanding about doubt. The phenomenon, a reliable universal idea is absent and individual is alienated in the swirling arguments and conflicting idea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21st century`s conflict of civilizations. Therefore, an outlook Kim-Siseop suggests will be a meaningful message for us where we are, especially for ones who look upon themselves as intellectuals.

      • KCI등재

        Synechocystis sp. PCC 6803의 에너지 대사 결함 돌연변이 균주에서의 Poly(3-hydroxybutyrate) 축적량 증진

        김수연,최강국,박연일,박영목,양영기,이영하,Kim Soo-Youn,Choi Gang Guk,Park Youn Il,Park Young Mok,Yang Young Ki,Rhee Young Ha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남세균인 Synechocystis sp. PCC 6803 (Syn6803)을 대상으로 transposable element Tn5를 이용하여 획득된 1,200여 돌연변이주로부터 모균주에 비하여 PHB 축적량이 크게 증진된 균주를 선별하고, Tn5 삽입에 의해 결함을 나타낸 유전자를 확인함으로써 Syn6803에서의 PHB 생합성에 영향을 주는 세포내 생리학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모균주인 야생형 균주의 경우 질소원이 제한된 $BG11_0$ 배지에서의 PHB 생합성량이 건체량의 $4\%$ (w/w) 수준인데 반하여, $10-34\%$의 생합성량을 보이는 25개의 돌연변이 균주를 얻을 수 있었다. Inverse PCR을 이용하여, 선별된 돌연변이 균주내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아직까지 그 기능이 규명되지 않은 유전자가 대부분이었으나,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O-succinylbenzoic-CoA ligase 또는 photosystem II PsbT protein과 같이 광합성과 호흡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4 균주와 histidine kinase가 결여된 1균주가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를 대상으로pulse-amplitude modulated fluorometer를 이용하여 세포내 $NAD(P)H/NAD(P)^+$비를 측정한 결과, 에너지 대사 흐름의 차단에 의해 세포내의 $NAD(P)HNAD(P)^+$비가 모균주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잉여의 전자로 포화된 세포, 즉 NAD(P)H에 의해 환원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세포의 경우 PHB 축적 이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실은 인위적으로 광합성과 호흡 관련 유전자가 제거되어 $NAD(P)H/NAD(P)^+$비가 높아진 것으로 알려진 다수의 Syn6803 돌연변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PHB 생합성량을 조사한 결과로부터 재확인되었다. Photoautotrophic bacteria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ate) (PHB) since they can address the critical problem of substrate costs. In this study, we isolated 25 Tn5-inserted mutants of the Synechocystis sp. PCC 6803 which showed enhanced PHB accumulation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After 5-days cultivation under nitrogen-limited mixotrophic conditions, the intracellular levels of PHB content in these mutants reached up to $10-30\%$ of dry cell weight (DCW) comparable to $4\%$ of DCW in the wild-type strain. Using the method of inverse PCR, the affected genes of the mutants were mapped on the completely known genome sequence of Synechocystis sp. PCC 6803. As a result, the increased PHB accumulation in 5 mutants were found to be resulted from defects of genes coding for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O-succinylbenzoic-CoA ligase, photosystem II PsbT protein or histidine kinase, which are involved in photosystem in thylakoid inner membrane of the cell. The values of $NAD(P)H/NAD(P)^+$ ratio in the cells of these mutant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wild-type strain as measured by using pulse-amplitude modulated fluorometer, suggesting that PHB synthesis could be enhanc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cellular NAD(P)H which is a limiting substrate for NADPH-dependent acetoacetyl-CoA reductase. From these results, it is likely that NAD(P)H would be a limiting factor for PHB synthesis in Synechocystis sp. PCC 6803.

      • KCI등재
      • 주거공간의 실내조경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연(Soo youn Kim),이종석(Jong Suk Lee) 한국실내조경협회 2001 室內造景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Vol.3 No.2

        On-site survey revealed many cases of utilization of residential indoor plants.<br/> It was found that selection of plants, arranging methods, and site was monotonous, and the relationship of functional and aesthetic and ecological and managemental aspects of plants with interior space was rarely considered.<br/> To utilize indoor plants in residential interior space, ecological, functional, aesthetic and managemental aspects of indoor plants and interior space are considered.

      • 마케팅전략으로의 호텔 실내조경 연구

        김수연(Soo youn kim),이종석(Jing Suk Lee),방광자(Kwang Ja Bang) 한국실내조경협회 2000 室內造景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Vol.2 No.1

        Today, the interior landscape design is recognized as indispensible part in green business activities and it is demanded as one of the management strategies. Since the ultimate goal of a hotel lies in the pursuit of profit. it is important that the interior landscape design of a hotel faithfully reflects the demands of management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planning.<b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br/> 1. The major where the interior landscape facilities were installed were such movement-including spaces as entrance, stairs and rails, in addition to seatting areas, coffee shops and restaurants. The styles of interior landscape could be divided into Island, Overlap, Water sincosized and Cascade. In case of the super deluxe hotels, Island, overlap, symetry styles accounted for 100% of their interior landscape. In every class of hotels, the container type of planting was used, followed by planter type, hanging type, alcove type and garden type.<br/> 2. The factors considered by consumer who visit to a commercial space are design, interior landscape, traffic, parking capacity, cleaness, price, kindness of employee and event.<br/> Factors are classified by three group. Factors concerned design include interior or exterior design, interior landscape, facilities and event. Factor concerned product include branch size, traffic, parking capacity, kindness of employee. Factor concerned facilities include branch size, traffic, parking capacity, kindness of employee.<br/> Among four commercial spaces, hotel is mast effected by interior 1andscape. To enheance the sales of hotel, further study of interior landscape about hotel is necessary. For bank and restaurant, further study of economic planter type and style are necessary. For department store, optimal use of spaces and case of maintenance are necessary also.<br/>

      • KCI등재

        민간도교의 서사전통과 제주의 날개 달린 아기장수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1 No.-

        아기장수 서사는 한국의 대표적 광포설화이다. 아기장수 서사는 `구원자`를 소망해 온 민중의 심리를 담고 있다. 특히 제주의 날개 달린 아기장수 서사는 민간도교의 眞人서사와 밀접한데, 양자는 역사적 경험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한 집단의 內傷과 무관하지 않다. 양자 모두 주류질서의 힘에 억눌린 경험들에 대한 반응으로서 등장한 것이기 때문이다. 내상을 지닌 집단은 어느날 갑자기 뛰어난 개인/구원자이 등장하여 자신들을 아픈 기억에서 단번에 꺼내줄 것을 꿈꾼다. 그러나 그 소망은 내적 외적 이유로 인해 좌절되고 절망이 더해진다. 좌절의 이유 중에는 선험적 공포가 만들어낸 집단 내의 배신과 갈등도 있는데, 이 경우는 자신들 스스로 자신의 구원자를 죽였다는 죄책감이 더해져서 내상은 더욱 심각해진다. 실제 진인서사를 집단 지도의 서사로 삼아 結社를 만들고 급진적 사회개혁을 시도했던 민중 종교적 반란의 세력들은 이러한 좌절을 경험했던 역사가 있다. 제1유형의 서사는 이러한 경험들이 사람들의 내적 서사에 강하게 내재화되어 있었음을 알게 한다. 반면 좌절과 절망의 시기를 겪으면서, 어떤 집단은 스스로의 내상을 성찰하고 회복에 대한 모색을 시도하기도 한다. 제주의 날개달린 아기장수 서사 중 제2유형과 제3유형은 이러한 모색들을 보여준다. 두 유형의 서사는 내면의 공포를 숨기지 않지만, 공포와 두려움에 미리부터 머리를 숙이지도 않는다. 날개 달린 아기장수 서사의 전승자들은 세상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집단 전체가 이야기 형식을 통해 공유하고 그것에 대해 토론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영웅성의 확산이 일어난다. 제1유형의 깊은 절망은 절대적 구원자를 뛰어난 개인으로 표상하고 있는데, 그렇기에 그의 죽음은 구원의 실패이자 집단의 죽음이 된다. 그러나 제2와 제3의 유형에서는 두려움에 대한 공유와 모색 과정에 집단의 구성원들이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날개를 잘렸지만 날개가 있었던 기억을 지닌 진인을 지상의 삶에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성공과 신뢰를 경험하고 진인이 떠난 후에도 그 흔적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세상에 대한 공포로 인해 부득이하게 구원자의 날개를 자른 사람들의 죄책감을 어루만지고 있다는 점에서, 진인/구원자가 지닌 메시아성/영웅성은 공생적 극복의 힘으로 변화하고 전승 집단 전체의 것으로 확산되는 것이다. 제주도의 날개 달린 아기장수는 본토의 것만큼 비극적이고 슬프다. 그러나 그 슬픔은 죄책감이 얹어진 좌절로만 끝나지는 않기 때문에, 그리고 여전히 새로운 구원자를 소망할 수 있는 힘 있는 기다림을 드러내기에 멋지다. 이러한 이유로 날개 달린 아기장수 서사는 근현대 이후에도 여전히 새로운 서사적 모색으로 재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pic tale of Agijangsu is the typical fury story of Korea. It contains popular psychology of desire for a saviour. Especially, the tale of winged Agijangsu is close to Zhenren(眞人) epic of private Taoism, both of which have relevance to internal injury of group originated from historic experience accumulation. It`s because both of them appeared as a response to suppressed experiences by the power of the mainstream. The group received an internal injury dreams that a great saviour, all of a sudden, will deliver them from bitter memories. The desire, however, dies on the vine for reasons of internal or external causes, acquiring despair. Among the reasons of frustration, there are betrayal and conflict within group made by transcendental fear. In this case, though, an internal injury becomes more severe because of the sense of guilt for killing their saviour themselves. The rebels of popular religion who really took Zhenren epic as that of group guidance, making organization and tried to reform society have this history of frustration. The first type of epic tells that these experiences are strongly built into the people`s own epic. On the other hand, other groups would introspect their internal injury and try to seek restoration through the time of discouragement and despair. Among Winged Agijangsu in Jeju, the second and the third type of epic show these efforts. The two epic tales wouldn`t hide inner fear and don`t bow the head in advance with fear. The transmitters of Winged Agijangsu epic share and debate the fear and panic of the world together through the form of storytelling. In this process, the spread of heroism would occur. Bitter despair in the first type represents an absolute saviour as an outstanding individual, therefore, whose death symbolizes the failure of salvation or the death of group. In the way that the group members participate in sharing and seeking fear in the second and the third type, that zhenren who cut his wings but having memory about his own wings comes under earthly life, that after his experiencing success and faith, leaving them, they maintain his mark, and especially that they stroke the sense of guilt of people who clipped saviour`s wings for fear of the world, saviour`s heroic character changes into symbiotic surmountable relationship and spreads into the whole transmission group. Winged Agijangsu in Jeju is as tragic and sad as that of the mainland. However, it is gorgeous in that the grief does not end frustration with the sense of guilt, and still reveals the powerful wait wanting a new saviour. That`s why Winged Agijangsu epic has recreated through a new descriptive groping sinc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 KCI등재

        부녀서사의 전통과 현대 콘텐츠의 서사적 분기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61 No.-

        이 글은 세대문제와 젠더문제가 결합된 부녀서사의 전통과 현대 콘텐츠에 나타난 서사적 분기를 고찰한 것이다. 먼저 원형적 부녀서사의 특징을 살핀 후 중세와 현대에 수용된 부녀서사의 성격을 비교했다. 원형적 부녀서사의 대상은 <바리데기>의 바리공주, <삼공본풀이>의 가믄장아기, <온달>의 평강공주, <서동요>의 선화공주 이야기이고, 중세와 현대의 부녀서사는 소설 <심청전>, 드라마 <하나뿐인 내편>, 웹툰 <그녀의 심청>을 대상으로 했다. 원형적 부녀서사에는 아버지의 속성과 딸의 선택이 다양하게 존재했으나, <심청전>은 그 중 가믄장아기와 평강공주 부친의 소유욕과 선화공주 부친의 경솔함을 선택하고 거기에 무능함을 더했으며 딸/자기서사는 기본적으로 바리공주의 자기서사를 차용했다. 그 결과로 만들어진 ‘무력한 아버지와 구원자 딸’의 서사는 권위의 유무와 상관없이 딸에게 희생을 요구할 수 있는 가부장의 욕망을 반영하게 되었다. 현대의 부녀서사는 매체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부모세대/남성이 주로 보는 공중파 드라마 <하나뿐인 내편>에서는 사회적ㆍ경제적 무능하지만 성실한 아버지를 그려서 딸들에게 화해와 이해를 요청하는 반면, 자녀세대/여성이 중심 향유층인 웹툰 <그녀의 심청>에서는 딸들이 아버지의 세계로부터 탈주를 시도한다. 이러한 부녀서사의 차이는 부녀관계에 대한 아버지와 딸의 심리적 거리를 나타낸다. 아버지는 딸에게 미안하다는 말과 함께 다시 자신을 사랑해주는 딸로 돌아오기를 부탁하지만, 딸은 아버지의 성실한 사랑과 희생 안에 여전히 남아 있는 집착과 소유 욕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두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시점에서, 아버지와 딸에게 어떠한 서사적 실천전략을 처방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문학치료학의 향후 과제라고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radition of father-daughter’s narratives and narrative branches in modern media, in which the generational issue and the gender issue are combin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daughter’s narratives in ancient times were examined,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daughter’s narratives accepted in the middle ages and modern times were compared. The subjects of original father-daughter’s narratives were Princess Bari in < Baridegi >, Gamyeonjang-agi in < Samgongbonpuri >, Princess Pyeonggang in < Ondal >, and Princess Seonhwa in < Seodongyo >, drama < My Only One >, and the webtoon < Her Simcheong >. In the original father-daughter’s narratives, the father’s attributes and positions and the daughter’s choices existed in various ways, bu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ather’s possessiveness and frivolity were selected and incompetent among the original father-daughter’s narratives. By choosing the Bari's narrative, it composed a daughter-narrative that was helpless but active to save her father. This shows that “Simcheongieon” was created and enjoyed against the background of a patriarchal society in which sacrifices were demanded of a daughter, regardless of her father’s social stature. Modern Father-Daughter’s narratives ar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media. In the TV dramas that the parents' generation mainly watch, they draw a father who is socially and economically incompetent but sincere and asks for reconciliation and understanding from the daughters. This difference in the narratives of the father-daughter indicates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father and the daughter in relation to the father-daughter relationship. The father apologizes to her daughter and asks her to return as a daughter who loves him again, but her daughter is trying to break free from the obsession and desire for possession that remains in her father's sincere love and sacrifice. At a point where the two positions are sharply opposed, it will be the future task of literature therapy to consider what kind of narrative action strategy can be prescribed to fathers-daughters.

      • KCI등재

        영웅소설을 활용한 한국적 지혜 읽기 -<소대성전>을 중심으로-

        김수연 ( Soo Youn Kim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한국고전연구 Vol.0 No.27

        이 글은 고전소설 가운데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던 영웅소설의 대표작 <소대성전>을 중심으로, 오늘날의 외국인 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의 문학?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텍스트의 문학적 특징을 지식 층위에서 살펴, 남녀결연 담과 천상?지상의 이원구조를 ``용자와 용녀의 천정인연’으로 설명하고, 작품 전반의 영웅 일대기 구조를 ``고아 거지의 영웅 일대기’로 논의하였다. 작품의 핵심 구조와 내용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진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문화와 가치관의 뿌리를 지혜 층위에서 고찰하도록 하는 과정을 두었다. 이에 전생에서부터 이어진 ‘용자와 용녀의 천정인연’은 한국인이 지닌 ‘연분관’ 즉 관계를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으로 읽어냈으며, 불우한 처지의 고아 소년이 일국의 왕이 되는 ‘영웅 일대기’ 구조는 한국인 고유의 ‘정성관’인 ‘치성과 지극정성’의 마음과 연결시켰다. 이러한 마음이 곧 소설 속 주인공을 거지에서 왕으로 변화시키듯, 우리의 삶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힘임을 역설하였다. 고전은 단순한 ‘이야기 책’이 아니라 ‘지혜의 서(書)’이다. 외국인 학습자에게 현대적 작품을 통해 한국사회가 최근 몇 십 년 사이 이룩한 물질적 편리함이나 현대화된 문명을 가르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나, 오랜 시간을 걸쳐 한국인 내면에 자리한 긍정적 가치를 가르칠 때, 외국인 학습자는 한국인의 진정한 모습을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오늘날의 세계인이 당면한 불신과 조급함이 불러오는 인재(人災)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혜가 바로 고전의 힘이다. ‘지혜의 서(書)’ 고전은 외국인 학습자는 물론 고전을 외국어처럼 여기는, 또 다른 층위에서 외국인 학습자가 되어버린 현대의 젊은 학습들에게도 유의미한 텍스트가 될 것이라 믿는다. This study is for finding Korean literature & culture educational methods for advanced foreign learners, centering around <Soudeasungjeon>, the representative work of a popular heroic novel among the classical novels. For this, I primarily look around the feature of the text, explain the story of man-woman connection and the dual structure of heaven-ground as ``a match made in heaven`` of Yonga and Yongnyeo, and discussed hero`s life story structure as a orphan and begger`s life story through the whole work. After understanding of the core structure and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I contemplated the root of Korean culture and values in the level of wisdom. ``A match made in heaven of Yonga and Yongnyeo`` continued from the previous life, was read with ``the view of tie``, a relation-oriented mind, and a storyline which a poor orphan boy become into a king of a country was connected with the Korean traditional value, ``devotion and lots of love``. As though this kind of mind make a begger,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nto a king, they emphasized that above mentioned mind is the power which can change our lives qualitatively. Classics are not merely ``story books`` but ``a collection of wisdom``. For foreign learners, it is meaningful to teach material convenience or modernized civilization that Korea society made in recent decades through modern works, but when we instruct a positive value deep-seated in many Koreans for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y can understand Koreans`` true character, and simultaneously, get a wisdom to overcome the man-made disasters caused by immediate distrust and hastiness for citizens of the world. This wisdom is the power of classics definitely. ``A collection of wisdom`` is the meaningful text for foreign learners or modern youthful students, another level of learners, thinking of classics as second-language literatures.

      • KCI등재

        생체모방 기반 융합 학습 모델을 적용한 ‘골격근의 구조와 수축’에 대한 디지털 교재 개발

        김수연 ( Soo-youn Kim ),권용주 ( Yong-ju Kw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생체 모방 기반 융합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골격근의 구조 및 수축 메커니즘에 대한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골격근의 구조 및 수축 메커니즘 단원은 고등학교 생명과학Ⅰ에 포함된 내용이다. 융합 학습 모델은 3D 모델링 및 프린팅을 포함하는 3단계의 생체 모방 기반 융합 학습(Exploration-Design-Implementation)으로 설계되었다. 개발된 디지털 교재는 8차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골격근 탐색, 스케치 앱과 3D 모델링을 이용한 골격근 모방 창의적 설계 2개 차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설계안의 융합적 구현, 근수축의 탐색, 스케치 앱과 3D 모델링을 이용한 근수축 모방 창의적 설계 2개 차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설계안의 융합적 구현 등으로 구성되었다. 각 차시는 대화 형 및 모바일 학습을 위해 갤러리 위젯, 미디어 위젯, 프레젠테이션 위젯, 스케치 위젯, 클라우드, 설문 위젯 및 평가 위젯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개발 된 디지털 교과서를 고등학생 20 명에게 투입한 결과 학생들의 생명과학 학습에 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생체 모방 기반 융합 학습 디지털 교재는 학생들의 창의적 설계 및 구현 능력의향상에서 효과적인 학습자료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디지털 교재는 학생들의 흥미와 생명과학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에 유용한 자료임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gital textbook on ‘structure and contraction mechanism of skeletal muscle' with the learning model for biomimicry-based convergence. The unit of 'structure and contraction mechanism of skeletal muscle' is a part of Life ScienceⅠ in high school. The convergence learning model was designed with three phases of biomimicry-based convergence (Exploration-Design-Implementation) including 3D modeling & printing. The developed digital textbook was composed of 8 sessions which contains the following learning contents : Exploration of skeletal muscle, creative designing of skeletal muscle using sketch application and 3D modeling, convergent implementing of the designed using 3D printing, exploration of muscle contraction, creative designing of muscle contraction using sketch application and 3D modeling, and convergent implementing of the designed using 3D printing. Each session is also involved in the contents of gallery widgets, media widgets, keynote widgets, sketch widgets, the cloud, polling widgets, and review widgets for interactive and mobile learning. After administering the developed digital textbook to 20 high school students, it was shown a positive effectiveness on life science learning for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the digital textbook was evaluated as to promote student's abilities on creative designs and implementation related to biomimicry-based convergence. The digital textbook was also shown a favorable response on students’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life science.

      • KCI등재

        명통(冥通)의 상상력, 죽음과 불사의 대화 -<주씨명통기(周氏冥通記)>와 <설공찬전>을 중심으로-

        김수연(Kim, Soo-you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The mortality and the immortality is an everlasting theme of human beings and their relation is a topic of the Taoist thinking and imagination. The Taoism has been interested in a desire for the longevity and immortality, and there are a lot of scriptures narrating such a desire in <Dojang>, a collection of the Taoist scriptures. In the early Taoist scriptures, <Jussimyeongtonggi(周氏冥通記)> is the successful work in narrating such a craving. ≷Jussimyeongtonggi≸ is based on the empathic exchanges(感通) of the character Jujaryang with the Taoist officials (仙 官) of the afterlife(夢界) in the dreamy world(夢界), an unrealistic space of the reality. Empathic exchanges as the point of encountering this life with afterlife, the living and the dead, human and Taoist hermit have a variation of the possession by a spirit in the later literature. <Seolgongchanjeon(薛公瓚傳)> by Chae Su is the work narrating the experience of possession, a specific form of empathic exchanges. <Seolgongchanjeon> was called <Seolgongchanhwanhonjeon> too but here Hwanhon has an example different from the general. The reason why is that spirit of the dead does not come back to the real world as it is. Besides, <Seolgongchanjeon> is not a ghost narrative. Also the reason why is that possession narrative adopted by this work as a central frame keeps its distance from a ghost narrative for getting rid of personal resentment. Seolgongchan s possession plays a role in making family members of this world identify the existence of the next world and both worlds encounter. It is regarded that the Taoism puts emphasis on a real life compared with other religions. The Taoist view of life and death, prolonging a real life and delaying the death, imagined another narrative related to the death unstoppable by human power and the world after the death. It is a story about the warning-purposed afterlife . Land purchase records of Royal Tomb of King Muryeong provide us with a cue on how those days people structured a narrative of the warning-purposed afterlife. Records on the warning-purposed afterlife show that they constructed the afterlife through narrative mirroring of space and order of the human world. A novel archetype that <Jussimyeongtonggi> contains is also organized by narrative mirroring of this world. Besides, the tradition of the Taoist narrative is tied with the narrative of reality. The representative is a narrative of worship of and respect for women. <Seolgongchanjeon> also presumes the view of the next world and as a method for realizing it, uses mirroring of a narrative of this world. Furthermore, in a mirroring process of the narrative of this world, it embraces the Taoist tradition of the narrative that equates humanity of the weak/female with that of the strong/male and maximizes their values. In <Jussimyeongtonggi> and <Seolgongchanjeon>, imagination of Myeongtong realized by empathic exchanges and possession by a spirit offers information on the next world, through structuration, constructs and enhances the imaginary fiction as the narrative knowledge. Such imagination of Myeongtong has desire for continuity and expansion of realistic relations. Key Words <Jussimyeongtonggi>, <Seolgongchanj ‘죽음’과 ‘불사(不死)’는 인류의 영원한 테마이며, 죽음과 불사의 관계는 도교적 사유와 상상력의 화두이다. 도교는 장생(長生)과 불사에 대한 욕망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도교 경전 모음집인 <도장>에는 그러한 욕망을 서사화한 경전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초기 도교 경전에서 이러한 욕망을 서사화하는 데 성공한 작품이 <주씨명통기(周氏冥通記)>이다. <주씨명통기>는 주자량이라는 인물이 ‘현실 안의 비현실 공간’인 몽계(夢界)에서 명계(冥界)의 선관(仙官)들과 만나 교류했던 감통(感通)의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이승과 저승, 생자와 사자, 인간과 선인이 만나는 지점으로서의 감통은 후대 문학에서 빙의라는 방식으로 변주되기도 한다. 채수의 <설공찬전>은 감통의 특수 형태인 빙의 경험을 서사화한 작품이다. <설공찬 전>은 <설공찬환혼전>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지만, 여기서의 환혼은 일반적 용례와 다르다. 죽은 이의 영혼이 자기 모습으로 현실계에 돌아오지 않기 때문이다. <설공찬전>은 원귀 서사도 아니다. 이 작품이 핵심 틀로 채택한 빙의 서사는 개인적 원한을 해소하는 원귀 서사와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설공찬의 빙의는 이승에 있는 가족들에게 저승의 존재를 확인시키고, 두 세계가 만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도교는 다른 종교에 비해 현실 생명을 중시하는 것으로 논의된다. 현실 생명을 연장하고 죽음을 지연하려는 도교의 생사관은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 없는 죽음및 죽음 후의 세상과 관련하여 또 하나의 서사를 상상하였다. 그것은 ‘계세적 내세에 대한 이야기’이다. 무령왕릉의 매지권은 당시 사람들이 계세적 내세에 대한 서사를 어떠한 방식으로 구조화했는지를 알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계세적 내세 관련 기록들은 당시 사람들이 인간계의 공간과 질서를 서사적으로 미러링하여 내세를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씨명통기>가 담지하는 소설 원형 또한 현세 질서의 서사적 미러링을 통해 구성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실 서사 사이에 도교 서사의 전통을 결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여성에 대한 숭배와 존중의 서사 이다. <설공찬전>도 내세적 세계관을 전제하고 있으며, 그 구현의 방식으로 현세 서사의 미러링를 사용했다. 또한 미러링 과정에 약자/여성의 인간성을 강자/남성의 그것과 동등하게 보고, 그들의 가치를 극대화하려는 도교의 서사 전통을 수용 하고 있다. <주씨명통기>와 <설공찬전>에서 감통과 빙의를 통해 구현한 명통의 상상력은 이승 너머의 세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것을 구조화하여 상상적 허구를 하나의 서사적 지식으로 구축하고 강화한다. 그러한 명통의 상상력에는 현실적 관계의 지속과 확대에 대한 욕망이 담겨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