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의 역량이 공공기관의 청렴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경률,한동숙 감사연구원 2020 감사논집 Vol.- No.34

        The roles of internal auditors in public institutions are important as much as integrity and anti-corruption are. To secure integrity in public institutions, the government obliges them to systemize internal audits an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Though the government monitors internal audits’ capacity as an indicator of evaluation, studies to examine the impact of audits’ capacity on the organizations’ integrity are sca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audits’ expertise and independence or morale as factors of capacity on the organizations’ integrity. We classify the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into four categories, and examine the degree of expertise, independence or morale and integrity by the types. Furthermore, we find that the expertise of internal audits has an impact on their organizations’ integrity.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organizational integrity. 공공기관의 청렴도와 반부패 정립이 중시되는 만큼 조직에서 내부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청렴도 확보를 위해 공공기관은 감사제도를 의무화하거나 감사직무실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감사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있다. 감사의 역량 또한 평가지표로 점검하고 있지만, 감사의 역량이 기관 청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사의 역량을 전문성과 독립성・윤리성으로 구분하여 기관 청렴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을 유형에 따라 4개로 구분한 뒤, 전문성, 윤리성・독립성, 청렴도 수준이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관 유형 중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의 상임감사 및 감사위원의 전문성과 청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임감사 및 감사위원의 전문성은 청렴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관 청렴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Quota by Public Institutions

        민경률,한동숙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3 국가정책연구 Vol.37 No.1

        It has been five years since employment quota system was implemented. To complement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quota system.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quota system was examined by comparing new employees who joined the company as local and those who did no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249 percent of men are more likely to quit within a year than women in terms of gender.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quitting within a year. Thirdly, it was found that 34 percent of unmarried people were more likely to quit than married people. Fourthly, it was confirmed that 22 percent of new employees in 2019 were more likely to quit than new employees in 2018. Fifthly, local talents show lower turnover probabilities by 10.5% than non-local talents in all other variables at their means. Based on the analysis,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is policy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인사공정성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민경률,한동숙 한국부패학회 2024 한국부패학회보 Vol.29 No.1

        공정성 이슈가 강조됨에 따라 공무원의 인사관리에 있어서도 공정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무원으로 입직하기 위한 채용에서부터 승진, 인력배치, 업무량, 평가 등 인사관리 전반에 대한 공정성 수준을 진단하고, 인사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인사공정성 수준은 채용이 가장 높고 업무량이 가장 낮았다. 둘째, 채용, 승진, 업무량, 평가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채용과 업무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ith the emphasis on fairness issues, the importance of fairness in personnel management for public servants is increasing. We examined the level of fairness in personnel management, from recruitment for public service to promotion, staffing, workload, and evaluation, and explored how fairness in personnel managemen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Analyzing the results, firstly, the level of fairness in recruitment was the highest, and workload was the lowest. Secondly, perceived fairness in recruitment, promotion, workload, and evaluation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ly, perceived fairness in recruitment and workload was found to decrease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members and reduce turnover intentions.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Cooperation

        민경률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5 No.1

        Diversity management is an important issue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as one of the practices to motivate employees and improve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diversity management affects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articular, analysis was attempted by dividing diversity management into two types. Along with thi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management and outcome variables. For the analysis, the 2019 FEVS data was us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n the outcome variable was opposite according to the type of diversity management. Second, coope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utcome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ooper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diversity management, and different approaches are needed for effective diversity management depending on organizational practices.

      • KCI등재

        공공기관의 공정채용 정책과 채용 공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민경률(Min, Kyoung Ryoul),한동숙(Han, Dong Sook) 한국부패학회 2021 한국부패학회보 Vol.26 No.2

        공공기관의 공정한, 투명한 운영에 대한 국민의 기대치는 다른 분야에 비해 높음에도 불구하고 크고 작게 지속적으로 공공기관의 채용비리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공공기관의 공정채용을 강조하면서 비리 근절을 위해 정책을 도입하였고, 실제적으로 적발되는 비위건수의 감소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의 공정채용 정책이 공공기관의 종사자나 취업 준비생의 채용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였다. 공정채용 정책이 도입되고, 해당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채용 공정성에 대한 인식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채용과정에 외부위원을 선정기준을 강화함으로써 절차의 투명성을 확보한다고 인지할수록 채용과정이 공정하다고 인식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그 밖에도 채용에 관한 정보 등록, 채용비리 연루자의 엄중처벌, 친인척 채용인원의 공개 등의 제도를 인지할수록 국민들의 공공기관 채용의 공정성을 확보하였다고 생각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공정채용 정책의 투명성 확보와 절차의 공개 방침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People have higher expectations on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th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an any other field. However, corruptions are frequently revealed in the recruitment process after special inspections over public institutions. Recently, government provided policies for corruption eradication in public institutions’ recruitment and the results come out with decreased corruptions. This study find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fair recruitment policies and fairness of recruitment process. In particular, the enforced standards of external members in recruitment committee help people have higher awareness of fair recruitment process. In addition, information regarding recruitment process, punishment of corrupt members, and disclosure of relatives’ recruitment are also effective to improve awareness of fairness in recruitmen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ransparency and information disclosure of recruitment process to secure trust in public institutions.

      • KCI등재

        평가제도 수용성, 기관장 리더십, 조직학습이 평가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경률(Min, Kyoung Ryoul),박성민(Park, Sung Min) 서울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를 받는 과정에서 책임운영기관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가를 탐색하고 검증함으로써,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평가결과 수용성, 평가지표 수용성, 조직학습이 평가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가결과가 공정하게 산출되고 있으며, 평가결과에 대한 예상이 일치하는 경우나 평가지표가 업무 내용을 잘 고려하고 기관의 비전과 목표가 잘 반영되었다고 생각할수록 평가활용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학습이 활성화될수록 평가를 받는 과정에서 얻는 정보와 경험이 조직 차원에서 원활하게 공유됨으로써 평가활용 수준도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evaluation system of the executive agency by exploring and verifying positive changes in the members of executive agencies during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acceptance of evaluation results, accep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evaluation utiliz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valuation utilization,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outcome of the assessment is fair or that the institution"s vision and goals are well reflected. In addition, as organizational learning becomes more active, information and experience gained during the evaluation process are shared smoothl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 KCI등재

        유연근무제가 조직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민경률(Kyoung Ryoul Min),박성민(Sung Min Park) 한국정부학회 2013 한국행정논집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정책의 한 부분으로서 실시되고 있는 유연근무제가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유연근무제와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조직 내 개혁가치가 조절요인으로써 작용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변수로써 유연근무제의 참여여부와 유연근무제 만족도를, 조절변수로써 조직 내 개혁가치, 결과변수로써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변수로 이루어진 연구 모형을 토대로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다. 유연근무제의 참여여부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f-test 및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그리고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 구성원들이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유연근무제를 이용할 경우, 유연근무제는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연근무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성과지향적이고 전략지향적인 개혁가치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와 비전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며, 자신이 맡고 있는 직무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이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직무수행하며, 성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flexible work schedul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has been adopted as a part of the Work-Life Balance (WLB) policies, as well as to reveal how reform values in public organizations come into play as moderating factors in relationship between the flexible work schedu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 schedule, reform values in organizations and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have been chosen as antecedent, moderating and result variables respectively. Then, drawing upon a research framework comprised of these variables, as well as using hierarchical and logit regression models, we have developed a set of research hypotheses. The overall findings suggest that if a system of flexible work schedule is properly managed and applied to be more congruent with an employee`s personal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i.e., reform values), we expect that it would provide meaningful impact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More interestingly, the findings imply that, while certain types of reform valu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 might anticipate that the relationships would be more positive when the flexible work schedules are actively implemented and well manage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public management (including WLB, alternative work schedule, and telework issues) context are provided in the concluding section as well as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