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을 위한 기능성 게임 연구의 확장적 정의와 범주화를 통한 기능성 게임 연구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김사훈(Kim, Sa-Hoon H.) 한국게임학회 2012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국내외의 기능성 게임에 관한 학문적 성과물을 이론적 통찰을 바탕으로 응집하고 간학문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하에 수행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기능성 게임 연구의 확장적 정의를 도출함으로써, 국내외의 다양한 학문분야에 산재해있는 게임 연구와 기능성 게임 연구 분야의 통합을 도모한다. 둘째, 교육적 기능성 게임 연구의 범위를 범주화하여 기존 연구 성과를 결집, 분석하여 향후 기능성 게임 연구 활성화를 위한 초석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기능성 게임의 확장된 정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교육을 위한 기능성 게임 연구는 교육적 유용성을 고찰하는 게임에 관한 연구로서, 명시적 혹은 암묵적인 교육목적을 가지고 설계 혹은 활용된 게임에 관한 연구를 의미하며, 교육적 의미를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무형식 학습을 포괄하는 일련의 활동 속에서 추구하는 연구를 포함한다. 다음, 연구자는 기능성 게임에 관한 선행연구를 네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교육적 목적을 가진 형식적 혹은 비형식적 교육을 위한 게임연구', '상업적 게임을 교육현장에 적용한 연구', '무형식 학습을 목적으로 설계된 기능성 게임 연구', '게임 행위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는 연구'가 그것이다. 이러한 범주 속에 결집된 기능성 게임 연구성과에 대한 고찰은 추후 교육적 기능성 게임의 간학문적 활성화를 도모하는 연구자에게 초석으로서 의미를 가질 것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for cohering academical achievement of serious game studies as well as for attempting to give directions for interdisciplinar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first, it provides a rationale for integrating game studies lied scattered into a game study field or game industry. Second, by providing exemplary studies according to categories and by analyzing how those studies have been studied, this study provides a milestone for futur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serious game studies. In the article, the author suggests the extended definition of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y. The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y is "the study which investigates educational affordances of game including both explicitly intended designed for education and designed for fun but having implicit educational meanings, through the context of formal educational settings as well as informal environments." The author also researched how extended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ies have been researched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game studies which researched educationally designed serious games, commercial games used for educational fields, educational serious games for informal learning, and those found meanings of games. This study has scholarly significance, especially on game study fields. for delineating game studies, a range of proposed and actual applications of educational serious game are reviewed, guiding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국제비교 연구

        김사훈(Kim, Sa-Hoon),이동엽(Lee, Dong-Yub),이영아(Lee, Young-A),백경선(Baek, Kyeong-S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4

        교육과정의 미래 방향 탐색을 위해 세계 주요국의 교육과정 등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편제를 수업시수와 연계하여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데, 이는 각 국가 교육과정 편제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분석 대상 국가 및 분석 준거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이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비교적 명확하게 제시된 캐나다, 프랑스, 핀란드, 일본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를 비교·분석하여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국가 수준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과정 편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상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시수는 비교 국가보다 다소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1~2학년의 교과 시수가 비교 국가에 비해 적게 편제되어 있다. 둘째, 국어, 수학의 편제시수는 비교 국가에 비해 다소 적었다. 이 역시 초등학교 저학년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를 통해 발견한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국어 교육은 프랑스의 경우 초등학교 1학년부터 편제되어 있고, 핀란드는 3학년부터 편제되어 있지만, 학교 선택에 따라 1학년부터 자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캐나다는 4학년, 일본은 5학년에 편제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차기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심도 있게 논의될 필요성이 있는 사항을 제시하였다. Despite increased attention to research that enable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icula of the world's major countries;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s in connection with class hours. Identifying a research target and comparison criteria is the major difficulty because curricular are diverse in each country. Thus,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nationa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of Korea by comparing with Canada, France, Finland, and Japan. They are offering relatively clear general guidelines. The result firstly showed that class hours in Korea especially for the first two years of elementary school, is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Second, annual instructional time of languages, mathematics is allocated less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across countries are shown as follows. France allots school hours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first year of school.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of Finl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officially begins in the third grade, but it can be started from the first year depending on school management. Canada starts it in the fourth grade and Japan assigns it to the fifth grade.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policies in Korea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주5일 수업제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 프로그램 연계의 쟁점과 발전 방안 탐색

        김사훈 ( Sa Hoo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2012학년도부터 전국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주5일 수업제가 전면 자율 실시되었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혹은 지역사회 시설 및 프로그램 현황 분석 등이 있다. 현 시점에서 요구되는 쟁점은 양자 간의 입장을 이해하고 간극을 좁혀서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양자의 입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계가 지향해야 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정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5일 수업제와 관련하여 학교현장과 지역사회 프로그램 연계 측면에서 추출할 수 있는 쟁점은 무엇이 있는가? 둘째, 학교 교육과정 측면에서 분석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은 어떻게 편성 및 운영되고 있는가?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을 연계할 수 있는 유형에는 무엇이 있으며, 해당되는 사례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도출된 연구 질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대다수는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학교는 지역사회 프로그램에 기대하는 교육과정 내용이 있으며, 이는 교육과정 운영까지 포함한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 유형은 지역사회 문화유산 중심, 주제 중심, 교과 중심, 돌봄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과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연계를 활성화 하는 방안과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curricula and local programs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To fulfill the purpose, first, this study explored present conditions of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of the country focusing on the contents of local programs, second, it investigated the needs of local programs and schools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ird, it suggested categorizations as well as analyzed examples of curriculum connections. As a result, first, the major curriculum connection was limited to the subject of Physics, Musics, and Arts. first, Second, the study reported teachers expected local programs to be connected with the school curriculum. Third, curriculum connections would be categorized into cultural heritage centered, thematic, subject intensive, and caring focused. After conducting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suggestions to foster local programs that connect with the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재한 몽골 유학생의 중도 탈락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양징르함(Jargalsaikhan Yanjinlkham),김사훈(Sa Hoo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등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유학생들의 중도 탈락 현상의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Tinto(1975)의 상호작용 모형을 이론적 분석틀로 활용하여 5명의 연구참여자들의 면담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중도탈락은 학업적, 사회적 통합의 어려움으로부터 비롯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는지, 어떠한 경험과 부적응이 학생의 중도 탈락의 결정적 계기가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본국에서보다 현저하게 낮아진 자신의 학업 성취 결과를 감수하기, 상호작용의 부재로 인한 고립감, 한국어 장벽 외에도 느껴지는 영어 장벽, 취직 관련 희망이 없는 유학 생활이라는 인식 등이 중도탈락을 하게 되는 결정적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봤을 때 중도 탈락에 관한 결정은 자의적 결정이라고만 간주하기는 어렵다. 대학, 사회, 유학생의 미래 진로 등에 대한 성공적인 연결 고리가 유기적으로 이어질 때, 유학생은 안정적인 학업 생활을 계속해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the phenomenon of withdrawal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interviews of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into (1975) s interaction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We have examined the specific difficulties, and how experience and maladjustment are crucial factors for the dropout of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Mongolian students who had failed in their studies due to uncertainty about their studies and distrust of the university experienced a dropout.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the decisive cause of dropping out due to low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lack of interaction, isolation, English barrier and difficulty in finding a job.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hard to dismiss the decision to drop out as a very arbitrary decision. When successful links to universities, societies, and the future course of international students go hand in hand, international students will be able to continue their stable academic life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y will successfully complete their stud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귀화 이주민 대상 한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양징르함(Jargalsaikhan Yanjinlkhan),이진우(Jin Woo Lee),김사훈(Sa hoo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으로 귀화한 이주민 대상 한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한국사 교육을 통하여 이주민은 한국 국민이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는 역사적 사실과 맥락을 학습할 수 있다. 하지만, 이주민에게 필요한 학습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기준이 설정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편이다. 이 연구는 교육부의 2015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역사과’ 성취기준을 모 성취기준으로 설정하여 이주민에게 필요한 성취기준을 재구성하였다. 성취기준 재구성을 위해 활용한 준거는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검정기준을 수정한 자료였다. 준거를 활용하여 한국에 10년 이상 거주한 귀화 이주민 5명을 대상으로 조사와 면담을 통해 성취기준을 재구성하였다. 2차례 면담을 통하여 성취기준은 중요도와 요구도를 바탕으로 점수화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이주민 대상 한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된 기준은 주제별로는 9개의 범주로 나누어지며 각 대주제는 약 3~4개 정도의 성취기준으로 나누어진다. 아울러 현대사 관련 내용 중 대상자에게 유의미한 내용을 별도로 추가하여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history curriculum for immigrants. Through Korean history education, immigrants would learn historical facts and contexts that are helpful for Korean lif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that sets criteria for what the learning elements are needed for migrants.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migrants by reconstructing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history subject. The criterion us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 was the revised through the criteria of the development of the text book. Based on the criteria, five naturalized immigrants who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10 year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to reconstruct the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two interviews, the achievement criteria were scored based o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requirement, and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criteria for accomplishing Korean history education for immigrants. The derived criteria are divided into 9 categories according to themes, and each major class is divided into about 3-4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we attempted to make meaningful learning possible by adding meaningful content to the subjects among contents related to modern history.

      • KCI등재

        3차원 가상세계를 활용한 초등 영어교육 프로그램 적용연구 : 교육과정 설계와 적용, 분석 모형개발

        김사훈,박상욱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한국에서 3차원 가상세계를 활용한 영어교육이 이루어질 때, 가져올 수 있는 변화와 그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교육학에 근거한 실천적인 예시와 모형을 제안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제안하고 적용하기 위해 연구자는 미국 인디애나의 I 대학과 교신하며 연구 절차를 설계하고 설계된 교육과정을 시행할 수 있는 3차원 가상세계의 계정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이행하기 위한 훈련을 수료하였다. 본 연구는 I 대학의 승인 절차를 거쳐서 시행하였으며, 적합한 교육과정 설계, 적용 대상, 적용 시기 등의 연구 설계에 있어서는 3차원 가상세계, Quest Atlantis 교육 설계자와의 협의 하에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설계중심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근거이론의 코딩 기법을 부분적 차용하였다. 학생들에게 방과 후 교실동안 부여된 교육과정은 영어로 된 스토리 보드를 이해한 후, 두 가지 입문 미션을 수행하고 실재 Quest를 접해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실재적 환경에 학생들을 적응시키고 친구를 추가하여 지속적인 연락관계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S초등학교의 방과 후 교실의 수업 목표였다. 제시된 모형을 바탕으로 가상세계를 활용하는 초등학생의 방과 후 영어수업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 번째로, 3차원 가상세계를 통한 영어학습은 학생들의 학습방법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두 번째, 가상세계를 활용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영어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세 번째, 가상세계를 활용하는 학생들이 그것을 교육도구로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네 번째, 학부모는 가상세계를 활용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학부모가 가상세계를 활용한 기대효과를 성적 향상으로 인식한다면 학생의 가상세계 속에서의 언어학습 활동을 촉진하지 못하였다. 다섯 번째, 가상세계를 활용하여 영어교육을 행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교실구조 등의 학교시설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3D virtual environments have potential to provide communicative and interactive opportunities in English language classrooms. Even though 3D virtual environments are studied in the English field throughout the world,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them according to the local context.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virtual environment in South Korean English classroom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design-based research methodology and 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Patterns which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have been found: conditions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environment. Individual condition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earning style, basic English skills, and perception of the virtual world. Finally, environment condition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arents’ perception and school environment. Considering these conditions, we recommend a model and suggest how to implement a 3D virtual environment in English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