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임상교육효율성을 위한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에 관한 혼합연구

        백경선(Baek Kyoung Seon),김지연(Kim Ji Youn) 다문화건강학회 2019 다문화건강학회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linical education effectiveness of practical teaching of clinical nurse.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3 clinical nurses who participating in practical teaching to 3rd year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ne, 2015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about clinical education effectiveness and open questions about experience of practical teaching.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content analysis of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ractical education is considered a nurse s job, satisfied with student education, and that practical student is helpful in ward task.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ree theme clusters were extracted from meaningful statements. The three theme clusters were Heavy burden , Challenging time for knowledge development , Systematic and organic relationships required .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o try to develop a model for structuring the concept of nursing students support for practical activities in the first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초등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백경선 ( Kyeong Sun Bae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형식과 구조 및 내용의 변화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는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교원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개념과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바람직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는 지역과 학교 규모 등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2) 교원의 교육과정 전문성 신장이 교육과정 자율화의 선결 조건이 되어야 한다. (3)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지역교육청의 장학자료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규제가 아닌 지원재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4)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한 실행 여건 조성을 병행해야 한다. (5) 학교 교육과정 평가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출발점이 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원들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가 성과를 높이고 우려를 줄이는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지속적인 정책적 보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based on the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under the premise that both of curriculum form and structure in national level and contents have been changed, as well as the school based curriculum would be accelate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examined the notion of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in the docu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lso, elementary teachers survey was conducted by the regional stratified sampling.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was suggested as followed; (1)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needs the discriminative approach regading region and school scale. (2) The improvement curriculum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uld be prerequisites. (3) Both of the organization .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school inspection data of local education authority should not be the regulation about organization . management of school based curriculum, the role of support-materials. (5) The evaluation of school based curriculum should become the start point of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In this resear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expectation and worries about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at the same time. Therefore, continuos supplementation would be followed, boosting up the outcome and diminishing the worries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 KCI등재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 나타난 판타지의 유형과 의의 - 2010년대를 중심으로 -

        백경선 ( Baek Kyung-se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8

        본 논의는 2010년 말 방영된 <시크릿 가든>의 성공 이후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판타지가 반복 소환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201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 나타난 판타지 양상을 개괄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텔레비전드라마에 나타난 판타지 모티프를 시간, 공간, 육체, 인간, 역사 등 크게 5가지로 유형화하고, 이를 다시 13가지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어 판타지 모티프와 장르의 절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201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 확산된 판타지의 특성 및 의의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서 판타지는 그 활용이 훨씬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확장되었다. 로즈마리 잭슨에 의하면 판타지는 불쾌한 현실이나 불편한 진실, 즉 숨기고 싶거나 가려진 것을 드러내는 은유로서 전복성을 띤다. 하지만 2010년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속 판타지는 불편하거나 불쾌하지 않다. 그것은 숨기고 싶은 진실을 드러내기보다는 오히려 그 진실을 은폐하면서 가볍고 코믹하게 그려진다. 이처럼 전복성보다는 대중성을 추구하는 판타지의 특성은 특히 장르와의 절합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서 판타지는 2010년대 이전에 비해 드라마의 중심에 정착하고 확장되긴 했지만, 그것은 대중성을 구축하는 데 머물면서 여전히 전복성이라는 측면에서는 불완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능성이 없진 않다. 판타지가 전복성을 전적으로 드러내지는 않더라도 불쾌한 현실과 불편한 진실을 미약하게나마 조금씩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시그널> 같은 드라마가 그런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비록 아직은 불완전하더라도 그 시도는 의미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begins with doubt that after broadcasting < Secret Garden > in the late of 2010, the fantasy aspects of Korean television drama has been repeatedly consumed. The ultimate goal is to summarize and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fantasy aspect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based on 2010s. For this, the fantasy types appearing in television drama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time, space, body, human and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rama were subdivided into 13. In addition, by looking into the articulation of fantasy and genre,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fantasy aspects that spread in Korean television dramas in the 2010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use of fantasy in Korean television dramas in 2010s expanded much more actively. It strengthened its position and influence by taking the lead in the genre articulation instead of staying on the periphery of a drama as a device or technique. According to Rosemary Jackson, fantasy is a metaphor for wanting to hide and cover (unpleasant reality, uncomfortable truth). However, the fantasy in Korean TV dramas around 2010 doesn't look unpleasant or ugly. It is portrayed lightly and comically, hiding the uncomfortable truth rather than revealing it. Likewise, the characteristic of fantasy, which pursues popularity rather than subversion, was evident through the aspects of the genre articulation. The fantasy of Korean television dramas has settled down and spreads to some extent compared to the previous decade of 2010s, but it is still incomplete in terms of subversion while staying on the establishing popularity. Nevertheless, it is not impossible. Although the fantasy does not fully reveal subversion, it gradually shows unpleasant reality and inconvenient truth. Drama like < Signal > proposes such possibilities. The attempt is meaningful even though it is still incomplete and inadequate.

      • KCI등재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 분석 연구

        백경선(Baek Kyung Sun),한혜정(Han Hye Chong),민용성(Min Yong 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사안들을 중심으로 교원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실태 분석을 통해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바가 단위학교에서 안착되기 위한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 교원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을 위한 설문 조사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3개년의 교육과정 편성안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그 개정 취지에 부합하여 현장에서 실현되기 위해서는 1) 진로 집중 과정과 대학 입시와의 연계를 통한 실효성 제고, 2) 읍면지역 및 소규모 학교에 대한 교육과정 역량 제고, 3) 학교를 넘어선 학습자의 교육과정 특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진로 지도, 4) 교육과정 자율권의 차이에서 오는 학교의 교육력 격차 방지, 5)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과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 사이의 괴리를 해소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som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its present practice. This study uses the two following research method. Firstly, it conducts surveys on about 1,080 high school teachers nation-wide to collect data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concerned with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Secondly, it analyzes the organization and time-allocation tables for the 1st-grade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in 2011, which is the first year of the implementation of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e number of the organization and time-allocation tables collected for this analysis is 181, which is estimated at 12.4% of the nation s total general high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1) guaranteeing the articulation between pathway-focused course an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2) enhancing teachers competence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small-sized high school, 3) strengthening career and pathway education for the curriculum tailored to each student s need and aptitude, 4) lessening the educational ability gap among high schools due to the policy for the curriculum autonomy, 5) establishing practical ways for securing all-round education for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문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임상실습교육의 만족도, 자율성, 성취종기와의 관계 -모아임상실습을 중심으로-

        백경선 ( Kyoung Seon Baek ),송애리 ( Ae Ri Song ),김영희 ( Yeong Hie Kim ),김태경 ( Yae Kyung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학생들이 실제 임상 상황의 맥락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반영 하고 이로 인해 사고력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질적인 임상실습 교육의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실제적인 문제에서 학습이 시작하게 되며,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문제는 자신이 실제 임상세계에서 경험하는 문제이어야 한대 따라서, 모아임상실습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실제 임상사례에 바탕을 둔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간호과 2학년 학생의 모아임상실습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임상실습을 시행하기전에 사전에 교과목을 통하여 문제중심학습 에 대한 학습방법의 지식을 습득하였으며,이 방법을 통하여 이론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다. 이러한 사전경험으로 학생들은 새로운 학습법으로 인한 시간소요나 혼란을 줄일 수 있었으며, 임상실습을 통하여 시나리오의 사례를 실제로 경험하면서 보다 역동적으로 실습에 임하고, 지식 습득 및 문제해결에 대한 높은 흥미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는 3.34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반족도를 연구한 Kim과 Oh(2000) 의 연구결과 인 2.96점과 Park과 Lee (2002)의 2.86점 보다 높은 점수이다. 또한, 임상실습만족도의 하부영역 중 ``임상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3.49)가 타 하부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200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환경영역의 점수(3.11)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반되는 결과이다. 실제 본 연구대상자들은 임상실습지도 (3.46), 환경(3.31) 평가(3.23) 및 시간 (3.16) 등과 같은 임상실습의 외부적인 부분이 다소 열악한 상황에서도 실습의 내용적인 면에서는 만족하고 있었으며, 이는 현재 우리나라 간호대학 임상실습의 환경이 주로 수동적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문제 중심학습법이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태도와 학습 동기 유발 및 흥미를 상승시킨 효과로 볼 수 있다. 자율성(Autonomy)이란 의미는 자기- 규율, 자기·결정, 자기·통치 및 독립성이란 용어로 오늘날 전문직 자율성의 개념은 간호 전문직 내에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현 시대의 간호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종합적인 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복잡한 간호현장에서 중요시되는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에서부터 자율성을 신장시켜 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Shin, 1996). 본 연구 대상자의 자율성은 평균 3.83점으로 Kim (1998)의 4년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3·53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본 연구가 간호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해가는 자율적 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로 이해 되어진다. 간호사는 대상차의 건강과 관련된 요구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지식의 소유자이며, 대상자를 위한 이타적인 가치관을 소유한 전문가로써 간호사 자신 뿐만 아니라 대상자에 대한 존중을 기본적인 소양으로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이에 간호사의 진정한 자율성은 대상자에 대한 존중에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지율성 하부영역에서 ``타인에 대한 존중`` 이 4.15점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이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의 실제 적용을 넘어 대상자를 존중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사정하여 적합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기회로 간호전문가로써의 기본 자질을 함양할 수 기회를 제공 한것으로 보인다. 성취동기는 어떤 훌륭한 일을 이루어보겠다는 내적 의욕으로 과업을 성취해나가는 과정에서 만족하는 성취의욕이며 후천적으로 학습되고 습득되며 육성된다.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수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성취동기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 요소로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과 학생들의 성취 동기는 3.8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 (2002) 의 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취동기는 이론학습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나타났지만, 실제 임상실습시에도 높은 성취동기는 임상실습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중심학습법은 학습의 동기유발을 통하여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이를 통하며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유발 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 만족도를 살펴보며 성취동기,자. 성이 학과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와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결국 학과에 대한 만족도는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Park, 1992), 본 연구에서도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게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습시기에서 임상실습만족도 중 ``임상실습내용`` (t=2.219, P<0.35)과 자율성 중 ``타인에 대한 존중``(t=3.133, P<.005)이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교수업을 한후 실습`` 을 하는 실습이 ``실습 후 학교수업``을 하는 경우보다 임상실습에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 후 실습을 할 경우 실습에 조금 더 자신 감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임상실습의 시기는 이론 강의가 이루이진 후 시행 되는 현재의 간호교육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중심 학습법을 임상실습에 적용한 본 연구대상자들의 성취 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r=.476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Jang(2000)의 연구에서 성취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가 순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 같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어떠한 일을 잘 이루어 내겠다는 욕구가 내재 화되어 있는 사람은 임상교육에서도 그 욕구가 작용하여 성공적으로 그 일을 끝마치려는 행동을 보이고 그 결과 좋은 교육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도 Park(2003)의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자율성 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328), 자율성과 성취동기도 유의한 상관 관계 (r=.468)를 보였다. 성취동기는 후천적 학습에 의해 더욱 강화되므로 단시간의 훈련으로 높일 수 있으며 지능과 관계없이 육성될 수 있는 좋은학습 신장도구이므로, 현장실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육학습법이 요구되어진다. 문제중심학습법은 임상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통한 자율성 증대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하고 급변해 가는 임상현장 에 적합한 간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수학습법이다. 이론 강의시 사용되는 문제중심학습법은 실무와 떨어진 교육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한계점을 여전히 수반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지식의 습득에 대한 접근을 달리하는 방법으로만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현장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 강의의 적용에서 오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주어진 사례를 직접 임상실습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학습과정이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성취동기와 자율성을 증가시켰고, 이는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실습교육을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유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학습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서는 학생들의 성취동기 및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학습법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이 기존의 이론강의뿐만 아니라 임상실 습교육에서도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 자율성을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간호학생을 위한 임상실습 의 학습법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PBL-based clinical practice, their autonomy, achievement motivation and what affected them in those regards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8 nursing sophomores at J college who participated in PBL-based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y got a mean of 3.34, 3.83 and 3.83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respectively.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level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otivation of choosing the major and time for undergoing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decided to major in nursing at their own option(3.6l) were most contented with practice teaching(F=6.356, p<.0l), and those who underwent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3.82) were most pleased with the content of the clinical practice (t=2.129, p<.05).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autonom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volving ag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time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were at the age of 22(3.92) valued themselves the most(F=3.003, P<.05). And those who found their major satisfactory (4.28) and undergo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4.37) respected others the most(F=3.l33, p<.0l). As to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were contented with their major(4.00) excelled the others who weren``t in that aspect(F6.038, p<.0l).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utonomy (r=.328, p<.0l) and achievement motivation(r.476, p<.01). Conclusions: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express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older students who were 22 years old were more autonomous, and those who took part in the clinical practice after receiving theoretical instruction were more autonomous and more pleased with the practice. The students who found their major more satisfactory surpassed the others i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level,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getting a profound grasp of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geared toward nursing students. The development of modules for PBL-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was required. How to provide PBL-based theoretical education to nursing students should be studied.

      • KCI등재후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백경선(Baek Kyoung Seon),김지연(Kim Ji Youn) 다문화건강학회 2018 다문화건강학회지 Vol.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pract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first clinical practice and to use the concep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clinical practice support strategi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students in the 3rd year of Nursing University who had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The data were analyzed by van Kaam. Results: The pract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first clinical practice was derived from 27 technical expressions from 88 original sources and categorized into 8 common elements. The common elements are: pressure to punctuality , expectation of exciting experience , opportunity for self-maturity , applying theoretical knowledge , thinking of me as a future nurse , Feeling burdened by the pressure of mind and body , feeling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 , loneliness to be alone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o try to develop a model for structuring the concept of nursing students support for practical activities in the first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